Page 15


파블로네루다_앞표지_10166_20250325
애덤 파인스타인 지음, 김현균, 최권행 옮김, 2025년 4월 7일, 882쪽, , , 128*188

20세기 대표 시인이자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인 파블로 네루다 전기다. 저자는 저널리스트 특유의 방대한 자료 조사를 통해 일련의 화려한 수식 어구로 요약되기 힘든 네루다의 파란만장한 생애와 광대한 시 세계를 상세하게 그려 낸다. 스페인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피노체트 군부 쿠데타 등 굵직굵직한 역사적 사건들과 세 번의 결혼을 비롯하여 우여곡절을 거듭한 내밀한 연애사가 교차하는 가운데 네루다의 작품 세계가 어떻게 변화를 거듭했는지 보여 준다.



헤르만헤세_앞표지_10164
베른하르트 첼러 지음, 박광자 옮김, 2025년 1월 3일, 262쪽, , , 128*188

실러 국립박물관 관장, 독일 문학 아카이브 초대 관장을 지냈던 문학사가 베른하르트 첼러가 쓴 헤르만 헤세 전기다. 헤세에게 무한한 영감의 원천이었던 그 자신의 생애를 헤세가 남긴 일기, 편지 등 풍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충실히 재구성했다. 헤세의 작품은 대부분 자전적 성격이 강하지만 그는 자서전이나 회고록을 하나도 남기지 않았다. 이 책은 헤세를 처음 접하는 독자에게 친절한 입문서가, 그의 작품을 즐겨 읽는 애독자에게 생애와 작품의 긴밀한 관계를 톺아볼 수 있는 충실한 자료가 될 것이다.



AI와반도체_앞표지_36181_20250402
최종수 지음, 2025년 4월 14일, 114쪽, , 128*188mm

AI 시대를 이끈 반도체 기술의 진화와 역할을 조명한다. GPU·TPU·NPU 등 AI 특화 칩과 뉴로모픽, 양자 컴퓨팅까지 AI와 반도체의 공진화를 소개한다.



AI기계지식과창의성_앞표지_36205
부경호 지음, 2025년 4월 14일, 114쪽, , 128*188mm

인간보다 창의적인 AI의 등장이 제기하는 쟁점들을 깊이 있게 탐색한다. 기계 지식의 본질과 사회적 영향, 인간 창의성의 미래를 통찰력 있게 조명한 책이다. AI가 만들어 내는 ‘하이퍼지식’과 인간 고유의 창의성이 어떻게 충돌하고 융합하는지를 고찰한다. 인문학적 관점에서 AI 창의성의 가능성과 위기를 함께 짚어 본다.



생성형AI와미디어산업비즈니스모델_앞표지_36254
백상기 지음, 2025년 4월 11일, 119쪽, , 128*188mm

음악, 게임, 영상, 웹툰 등 미디어 산업 전반에 미치는 AI의 영향과 가능성을 조망하고, 저작권 등 새로운 과제와 비즈니스 모델을 함께 탐색한다. 생성형 AI 시대 콘텐츠 산업의 미래를 고민하는 이들에게 필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장뤽마리옹_앞표지_08524
김동규 지음, 2025년 4월 15일, 204쪽, , 128*188mm

장뤽 마리옹은 철학과 신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우리 시대의 현상학적 철학자다. 데카르트를 비롯해 근대 형이상학을 독창적으로 해석했고, 탈형이상학적 신-담론으로 종교철학과 신학에 큰 족적을 남겼다. ‘주어짐의 현상학’을 정초해 인간의 의식이 온전히 포착할 수 없는 현상까지 폭넓게 다루었다. 형이상학의 틀에서 해방된 사유가 여기 있다.



삼방록_앞표지L_24087
미상 지음, 이대형 옮김, 2025.4.4, 393쪽, , , 사륙판(128*188)

필사자와 필사 연대가 알려지지 않은 한문 단편소설집이다. “세 편의 꽃다운 이야기”라는 뜻의 “삼방록(三芳錄)”은 이 작품집에 수록되어 있는 〈왕경룡전〉, 〈유영전〉, 〈상사동기〉가 남녀 간의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를 다루기 때문에 붙인 제목이다. 표지에는 “삼방요로기(三芳要路記)”라고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세 편의 애정소설에 〈요로원기(要路院記)〉라는 풍자소설이 부록으로 첨부되어 있는 것과 관련 있다. 세 편의 꽃다운 이야기와 한 편의 날카로운 풍자, 《삼방록(三芳錄)》을 완역해 소개한다.



AI와보험_앞표지_36199
황현아 지음, 2025년 4월 4일, 132쪽, , 128*188mm

AI 시대의 새로운 위험에 보험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다룬다. 자율주행차, 의료 로봇 등 AI 활용이 늘며 사고 위험도 증가하는 지금, 보험이 예방과 보상의 핵심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AI흐름읽기_앞표지_36188
김영욱 지음, 2025년 4월 4일, 150쪽, , 128*188mm

AI의 발전은 빠르게 진행 중이며,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가 산업과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AI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이를 잘 활용하기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AI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특히, AI와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사람들은 AI 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와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기를 필요가 있다.



예측형AI와대학입시_앞표지_36243
이기호 지음, 2025년 4월 10일, 150쪽, , 128*188mm

AI 기술이 교육과 입시 평가를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 탐구한다. 정량 중심의 한국 입시 구조를 비판하며, 예측형 AI를 통한 공정하고 미래 지향적 평가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AI와공공정책_앞표지_36219
유거송 지음, 2025년 4월 10일, 134쪽, , 128*188mm

《AI와 공공 정책》은 AI를 공공 정책 수립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정책 설계, 데이터 분석 등 내부 행정에 AI를 접목해 효율성과 공정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 급변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 정부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



인공지능,영혼의존재_앞표지_36167_20250326
박욱주 지음, 2025년 4월 4일, 158쪽, , 128*188mm

인공지능이 단순한 기계 지능을 넘어 인간의 영혼과 인격을 가질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서구 철학의 영혼 개념과 AI 기술 발전을 연결하고, 일본 애니메이션과 서구 대중문화의 사례를 살피며 인간됨의 본질을 재조명한다.



기상과AI_앞표지_36235
최예지 지음, 2025년 3월 31일, 149쪽, , 128*188mm

인공지능은 인간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 발전해 왔다. 그리고 2024년 현재 이 단어가 언급되지 않은 연구 주제를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날씨도 그렇다. 한국 기상청에서도 2019년부터 기상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한 알파웨더를 개발해 2025년부터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초단기 강수 예측에 활용할 계획을 발표했다. 최근 획기적인 기술적 발전을 이끌고 있는 인공지능이 과연 초단기 강수 예측에서도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고 우리가 만족할 만한 예보 정확도를 보일 수 있을지 기대가 된다.



인공지능과영화교육_앞표지_36240
이아람찬 · 오세섭 지음, 2025년 4월 4일, 111쪽, , 128*188mm

인공지능 시대, 영화 교육의 새로운 길을 묻다
인공지능 기술이 영화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새로운 교육 방향을 제시한 책이다. 대화형 AI, TTV, 멀티모달 모델을 활용한 시나리오 쓰기와 영상 제작 교육부터 저작권과 창작 윤리 문제까지 폭넓게 다룬다. AI 시대의 교육자는 기술과 인간 사이의 균형을 이끄는 지렛대가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AI윤리가이드_앞표지_36162
김용환 · 임희정 지음, 2025년 4월 4일, 173쪽, , 128*188mm

AI 기술의 비약적 발전 속에서 마주한 윤리적 과제를 조명한다. 인간과 유사한 사고 · 행동 능력을 지닌 AI는 산업 전반에 빠르게 확산하고 있지만, 동시에 인권 침해, 편향, 책임 불분명 등 다양한 윤리적 위험도 안고 있다. 이 책은 유럽 연합의 AI법, GDPR 같은 규제 흐름과 ESG 연계 전략을 통해 기술과 윤리가 조화를 이루는 방향을 모색한다.



AI와디자인교육_앞표지_36204
정다운 지음, 2025년 3월 31일, 125쪽, , 128*188mm

디자인 교육 실무자를 위한 안내서로, 강의형·실습형·프로젝트형 수업에서 AI 툴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실제 사례와 교수 전략을 제시한다. 수업 준비부터 진행, 기록, 학생 관리에 이르는 교육자의 전반적인 업무 흐름 속에서 AI를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미래 디자이너에게 요구되는 데이터 분석, 협업, 윤리적 사고 역량을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도 함께 담고 있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