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명화속AI_앞표지_36257_20250411
우지환 지음, 2025년 4월 25일, 124쪽, , 128*188mm

AI 기술이 명화를 해석하고 복원하며 창작에까지 이르는 과정을 다룬다. 회화의 역사와 AI 알고리즘의 접점을 짚으며, 예술과 기술의 공존 가능성을 탐색한다.



cover
문상현 지음, 2025년 4월 24일, 121쪽, , 128*188mm

AI는 감시를 자동화·정밀화하며 사회 통제의 핵심 도구로 부상하고 있다. 패놉티콘, 감시 자본주의 등 이론을 바탕으로 AI 감시 기술의 작동 방식과 윤리적 문제를 비판적으로 조명한다.



cover
이종욱 지음, 2025년 4월 24일, 117쪽, , 128*188mm

AI는 문화유산의 기록과 복원을 넘어, 새로운 전승과 활용 방식을 제시한다. 디지털 전환 시대에 AI가 문화유산에 가져온 변화를 다양한 사례와 함께 소개한다.



cover
김환 지음, 2025년 4월 24일, 114쪽, , 128*188mm

AI는 유튜브 영상 기획, 편집, 추천 알고리즘에 깊이 관여하며 크리에이터 생태계를 재편하고 있다. AI 도입이 가져온 변화와 그에 따른 기회와 위험을 함께 살핀다.



요아힘라트카우_앞표지_08526_20250416
박혜정 지음, 2025년 4월 28일, 150쪽, , 128*188mm

요아힘 라트카우는 환경 세계사 분야를 개척한 환경사학자다. 핵, 나무, 신경과민, 태양에너지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면서 환경사를 진정한 전체사로 우뚝 세웠다. 라트카우의 환경 세계사는 인간과 지역, 작은 차이에서 출발하는 아래로부터의 역사이자 대안적 가능성으로 가득한 미래의 역사다. 생동감 넘치는 라트카우의 이야기들에서 거대 서사가 대신할 수 없는 역사의 실천적 힘을 찾아본다.



AI기본법_앞표지_36220_20250409
이수경 지음, 2025년 4월 21일, 126쪽, , 128*188mm

2025년 제정된 대한민국 최초의 인공지능 기본법을 상세히 해설한다. 산업 육성과 신뢰 확보를 목표로 한 조문별 설명과 입법 배경, 향후 과제를 폭넓게 다룬다. 인공지능 시대의 법적 토대를 이해할 수 있다.



AI낙관론과비관론_앞표지_36196_20250409
유화선, 정도범 지음, 2025년 4월 25일, 101쪽, , 128*188mm

인공지능 발전이 초래할 미래 사회의 다양한 가능성을 다룬다. 인간과 AI의 공존, 기술의 긍정적·부정적 측면을 균형 있게 조망하며 바람직한 미래를 모색한다.



AI와미래사회_앞표지_36216
손현주 지음, 2025년 4월 18일, 119쪽, , 128*188mm

인공지능이 인간 삶과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알고리즘 인생, 지능 폭발, 윤리 딜레마 등 10개 주제로 AI 시대의 미래를 입체적으로 조망한다.



프리초프카프라_앞표지_08525_20250410
유권종 지음, 2025년 4월 23일, 169쪽, , 128*188mm

프리초프 카프라는 생명 시스템 패러다임을 구축한 과학 사상가다. 다양한 현대 이론을 종합해 생태적 연결망과 지구 생명 체계의 자기제작에 주목하는 시스템적 생명관을 발전시켰다. 이 관점에 기반해 생태문해력을 높이기 위한 여러 활동을 전개했다. 카프라의 학문과 삶의 궤적에서 지속 가능한 미래의 실마리를 찾아본다.



AI와넥스트미디어_앞표지_36252
박인수 지음, 2025년 4월 18일, 130쪽, , 128*188mm

인공지능 시대 미디어의 변화를 조망하며, 개인화·자동화 기술 속에서도 감동과 창의성은 여전히 인간의 몫임을 강조한다.



인공지능과콘텐츠비즈니스_앞표지_36209
이성민 지음, 2025년 4월 18일, 132쪽, , 128*188mm

생성형 인공지능의 발전은 콘텐츠 산업에 큰 변화를 가져온다. 기계가 창작을 대체하거나 보완하는 가운데, 콘텐츠 기업은 이를 기회로 삼을지 위협으로 여길지 고민해야 한다. 인공지능은 기획, 창작, 유통, 소비 전 단계에 영향을 미치며, 비즈니스 모델과 저작권 제도의 변화도 예고된다. 그러나 인공지능은 도구일 뿐, 인간의 창의성과 판단력이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업은 이를 어떻게 활용할지 전략을 세워야 한다.



AI와K-내러티브_앞표지_36224
손혜숙 지음, 2025년 4월 18일, 120쪽, , 128*188mm

2023년 제네바에서 열린 AI 로봇 기자 회견은 인간과 비슷한 방식으로 대화하는 로봇들의 모습을 보여주며 AI의 발전과 사회적 논의를 촉발했다. AI는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일으키고 있지만, 윤리적 문제와 편향적 판단, 교육적 고민 등 부작용도 동반하고 있다. 이 책은 K-내러티브를 통해 AI와 인간의 관계를 탐구하고, 공존을 위한 사유를 제시한다. AI의 미래를 위한 지속적인 논의와 관심이 필요하다.



AI와미래의사_앞표지_36263
임채영 지음, 2025년 4월 17일, 118쪽, , 128*188mm

인공지능이 의료 현장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를 살피며 AI와 협업하는 의사의 새로운 역할과 역량을 다룬다. 기술 발전과 윤리 문제를 함께 조망한다.



글로벌AI거버넌스와한국_앞표지_36212
김명신 지음, 2025년 4월 17일, 147쪽, , 128*188mm

AI는 이제 세계 질서의 판을 바꾸고 있다. 이 책은 AI 기술이 국제 정치, 경제, 안보, 윤리 등 전 분야에 걸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통합적으로 분석한다.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미국, 중국, EU, 한국 등 주요 국가들의 전략, 그리고 UN, 국제기구, 민간 기업과 시민사회의 거버넌스 구상까지 폭넓게 다루며, 글로벌 AI 거버넌스의 미래와 한국의 선택지를 제시한다.



AI와미디어윤리_앞표지_36244
박선미 지음, 2025년 4월 11일, 154쪽, , 128*188mm

생성형 AI 시대의 프라이버시, 저작권, 알고리즘 편향 등 주요 윤리 문제를 다양한 사례와 함께 짚고, 국제적·국내 윤리 기준과 대응 방안을 소개한다.



딥페이크생성과탐지_앞표지_36242
유하진 지음, 2025년 4월 13일, 155쪽, , 128*188mm

가짜 이미지·음성·영상을 만들어내는 AI 기술의 원리와 이를 구별하는 탐지 기술을 쉽게 설명한다. 생성형 AI의 구조, 활용 사례, 사회적 문제와 대응 방안까지 다뤄 균형 잡힌 이해를 돕는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