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


로봇종인간,자연종인간_앞표지_36107_20250204
정대현 지음, 2025년 2월 20일, 117쪽, , 128*188mm

AI 시대에 인간이 주체로 남을 것인지, 로봇과 역할을 분담하며 공존할 것인지 탐구한다. 로봇이 노동을 맡고 인간이 창조와 놀이에 집중하는 사회를 전망하며, 이에 따른 철학적·윤리적 문제를 분석한다. AI가 인간의 정체성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고민하는 이들에게 통찰을 제공한다.


 


원서발췌미학강의_앞표지_21598
게오르크 헤겔 (Georg W. F. Hegel) 지음, 서정혁 옮김, 2025. 2. 15, 156쪽, , , , 사륙판(128*188)

‘헤겔 미학’은 무엇인가? 헤겔은 진정 ‘예술의 종말’을 고했는가? 이 책은 헤겔 미학의 기본 사유를 확인해 볼 수 있는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미학의 보편적 부분과, 건축·조각·회화·음악·시문학 등 특수한 부분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담고 있다. 원전의 중요 부분 25%를 발췌해 헤겔 이론의 핵심을 쉽게 읽을 수 있게 했다.



원서발췌메타역사_앞표지_23139
Metahistory: The Historical Imagination in Nineteenth-Century Europe (Hayden White) 지음, 천형균 옮김, 2025. 2. 15, 248쪽, , , , 사륙판(128*188)

미슐레, 랑케 등의 역사가들과 헤겔, 마르크스 등의 역사철학자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해, 19세기 유럽의 주된 역사의식의 형태를 파악하고 해석한다. 역사 연구의 토대와 그것을 표현하는 여러 비유 형식들을 해명한다. 이로써 19세기의 탁월한 사학 사상가들을 이해할 수 있으며 연구의 공통적인 전통과 관계되는 연관성을 밝힐 수 있다. 원전의 중요 부분 25%를 발췌해 헤이든 화이트 이론의 핵심을 쉽게 읽을 수 있게 했다.



미셸바렛_앞표지_08521
하수정 지음, 2025년 2월 26일, 122쪽, , 128*188mm

풍부한 상상력으로 관습적 사유에 도전하는 미셸 바렛의 문화정치학을 해설한다. 바렛은 마르크스주의와 정신분석학, 포스트주의의 현대 이론들을 두루 경유해 가족, 섹슈얼리티, 인간 본성 등 다양한 주제를 아우른다. 버지니아 울프의 페미니즘을 조명하고 전쟁과 인종차별의 얽힘을 이론화한다. 바렛이 정초한 ‘즐거운 문화정치학’에서 현실과 단단히 결합한 지식을 톺아본다.



원서발췌미국헌법의경제적해석_앞표지_23140
찰스 비어드 (Charles A. Beard) 지음, 양재열 옮김, 2025. 2. 15, 150쪽, , , , 사륙판(128*188)

미국의 건국 선조들이 제정한 신성한 문서라는 미국 헌법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을 정면으로 비판한 것이다. 찰스 비어드는 미국 헌법이 동산 소유자·채권자와 소농민·채무자 이익집단들 간 대립의 결과로 생겨난 것이며, 전자의 이익을 대변하는 경제적 문서라는 새로운 해석을 시도했다. 이 책은 출간 이후 큰 반향을 일으켰지만, 그의 확고한 신념에 따른 경제적 분석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미국 헌법과는 다른 전혀 새로운 해석을 만날 수 있게 해 주었다. 원전의 중요 부분 24%를 발췌해 찰스 비어드 이론의 핵심을 쉽게 읽을 수 있게 했다.



원서발췌공감의본질과형식_앞표지_23142
막스 셸러 (Max Scheler) 지음, 이을상 옮김, 2025년 2월 15일, 230쪽, , , , 사륙판(128*188)

근대 철학에서 최고조에 이른 이성 중심의 합리주의는 인간의 감성과 감정생활을 저차원의 삶으로 치부하고, 진리와 선에 도달하는 것은 전적으로 이성의 몫이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이성의 횡포에 반기를 든 막스 셸러가 감정의 자주성과 독립성을 주장한다. 원전의 중요 부분 25%를 발췌해 셸러 이론의 핵심을 쉽게 읽을 수 있게 했다.



경이로운나라오즈_앞표지_23144
L. 프랭크 바움 (L. Frank Baum) 지음, 강석주 옮김, 2025년 2월 28일, 339쪽, , , , 사륙판(128*188)

첫 출간 이후 12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전 세계적 인기를 끌고 있는 프랭크 바움의 오즈 시리즈 제2권이다. 판타지 고전의 면모를 회복해 1904년도 초판본 모습 그대로 정확하고도 아름답게 부활했다. 《경이로운 나라 오즈》는 1904년에 쓰인 이야기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성 역할에 대한 전복적이면서도 환상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다. 고전 독자를 위해 축약, 발췌, 과장 없이 충실하게 번역했으며 존 R. 닐의 삽화 133점을 완전 수록해 경이감을 더했다.



황릉몽환기_앞표지L_24081
미상 지음, 유요문 옮김, 2024.2.14, 137쪽, , , 사륙판(128*188)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조선의 두 선비 계암과 경암은 서로의 곡조를 이해하는 막역한 친구 사이. 어느 날, 중국의 소상강을 유람하던 이들은 순임금을 따라 절사(節死)한 아황과 여영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이후 술에 취해 잠이 든 두 선비는 꿈속에 홀연히 나타난 한 여자아이의 손에 이끌려 황릉묘에 가게 된다. 아황과 여영을 비롯해 황릉묘에 자리하고 있던 역대 현부와 열녀들은 역사서에는 기록되지 않은 수난에 찬 인생 이야기를 들려 주는데…. 아황과 여영을 만난 두 선비의 꿈 이야기, 《황릉몽환기》를 초역으로 소개한다.



AI화가와인간화가_앞표지_36139
나형민 지음, 2025년 2월 17일, 110쪽, , 128*188mm

생성형 AI가 어떻게 학습하고 창작하는지 탐구하며 AI가 예술가의 역할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살펴본다. AI 화가의 발전 과정과 기술적 배경을 분석하고 NFT 아트, 기업 브랜딩, 공공 예술 등에서의 활용을 다룬다. AI가 창의성을 가질 수 있는지, 인간 화가와 경쟁하거나 협업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제시한다.


 


AI와미디어아트_앞표지_36122_20250205
최지원 지음, 2025년 2월 13일, 114쪽, , 128*188mm

AI가 예술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며 이미지 생성, 인터랙티브 아트, NFT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다룬다. AI가 창작 도구를 넘어 예술적 협업자로 기능하는 과정과 대형 전시, 기업 브랜딩, 공공 예술에서의 역할을 조명한다. AI를 예술적 주체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철학적 논의도 소개한다.


 


AI에이전트와자동화_표지_36144_202502054
박현아 지음, 2025년 2월 20일, 131쪽, , 128*188mm

인공지능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그 영향력을 다룬다. 트랜스포머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등장으로 AI는 단순한 도구에서 자율적 에이전트로 진화했다. 기업과 개인은 이를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반복 업무부터 전략 수립까지 자동화할 수 있다. 그러나 AI의 자율성은 통제 불능의 위험을 내포하며, 윤리적·사회적 문제를 제기한다. AI 에이전트 시대에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한 통찰을 담았다.


 


특이점과슈퍼인공지능_앞표지_36114
허훈 지음, 2025년 2월 14일, 119쪽, , 128*188mm

인공지능의 발전과 특이점, 그리고 슈퍼 인공지능의 가능성에 대해 탐구한다. AI는 인간의 지능을 넘어서려 하며, 이는 긍정적 변화와 동시에 심각한 사회적, 윤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AI가 인간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AI와 인간의 관계,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한다. 특히, AI가 가져올 미래 변화에 대한 두 가지 상반된 관점을 제시하고 인간과 AI가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BCI와AI윤리_앞표지_36098
박형빈 지음, 2025년 2월 3일, 161쪽, , 128*188mm

BCI와 AI의 융합으로 인간 능력을 확장하는 기술 혁신과 그에 따른 윤리적 문제를 탐구한다. 기술은 인간의 정신적 경험과 신경학적 질환 치료를 변화시키는 한편, 자율성, 정체성, 프라이버시 등 윤리적 문제를 일으킨다. AI와 BCI의 융합이 인간 사회에 미칠 영향을 고찰하고 사회적 합의와 제도적 준비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AI페르소나_앞표지_36119
진설아 지음, 2025년 2월 4일, 130쪽, , 128*188mm

인간 얼굴의 사회적 의미와 AI의 역할 변화, 그리고 AI가 인간 사회와 윤리적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아이작 아시모프의 작품과 한국 SF 영화를 통해 인간과 AI의 관계를 탐구하고, AI의 경제적, 사회적 영향을 논의하며, 공존할 수 있는 미래 사회를 상상한다. AI와 인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서사를 통해 인간 정체성 유지 방안을 모색한다.


 


AI와다름의발견_앞표지_36132_20250122
서호건 지음, 2025년 2월 3일, 122쪽, , 128*188mm

AI가 인간의 인지 능력을 확장하고 ‘다름’을 발견해 혁신으로 이끄는 방법을 탐구한다. AI는 의료, 교육, 예술 등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며, 다름을 혁신의 원동력으로 활용해 삶을 풍요롭고 안전하게 변화시킬 가능성을 제시한다.


 


AI와정치철학_앞표지_36121_20250121
정진화 지음, 2025년 2월 3일, 122쪽, , 128*188mm

AI 기술이 정치철학에 던지는 새로운 질문들을 다룬다. AI의 발전이 인간의 자유, 평등, 정의 등 사회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며 AI 시대의 거버넌스와 민주주의적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AI가 인간의 활동과 존재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살피고 이를 공정하고 정의롭게 다룰 방법을 모색한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