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AI와문화정책_앞표지_36229_20250512
양현미 지음, 2025년 5월 23일, 125쪽, , 128*188mm

인공지능이 문화예술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윤리·저작권·문화 다양성 문제를 분석한다. 기술과 인간의 창의성을 조화롭게 연결하는 정책적 해법을 제시한다.



영국헌정_앞표지_23159_20250429
월터 배젓 (Walter Bagehot) 지음, 김종원 · 이태숙 옮김, 2025. 5. 20, 472쪽, , , , 사륙판(128*188)

영국 빅토리아 시대 가장 중요한 헌법 해설가인 월터 배젓의 헌정 분석서로, 내각제 옹호론의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민주주의를 성공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고려할 필수 사항들, 즉 내각제와 대통령제의 대비, 의회 작동에서 관건이 되는 요소들, 여론과 언론의 기능, 국민의 정치의식과 정치제도의 관계 등을 논의한다.



AI와생성음악_앞표지_36278_20250507
최영신 지음, 2025년 5월 20일, 101쪽, , 128*188mm

생성형 AI 기술이 음악 창작과 소비의 방식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를 짚는다. 기술의 발전이 열어젖힌 창작의 문, 그 안에서 인간은 여전히 주체일 수 있을까?



AI와XMZ세대_앞표지_36281_20250508
김현정 지음, 2025년 5월 22일, 162쪽, , 128*188mm

X세대부터 Z세대까지 각 세대의 특성과 AI 수용 방식을 분석하며, 기술이 세대 간 소통과 사회 변화를 어떻게 이끄는지를 다각도로 살핀다.



AI발전사_앞표지_36302_20250508
이규택 지음, 2025년 5월 22일, 100쪽, , 128*188mm

기술의 진보와 함께 공존의 방향을 고민해야 할 시점, 인공지능의 역사와 기술의 흐름을 짚으며, 그 사회적 영향과 윤리적 과제를 함께 탐색한다.



AI시대퍼블릭스피킹_앞표지_36245_20250508
우상수 지음, 2025년 5월 22일, 157쪽, , 128*188mm

생성형 AI와 퍼블릭 스피킹의 융합 가능성을 실용적으로 제시한다. 스피치 준비부터 청중 분석, 피드백까지 AI가 어떻게 공적 말하기를 돕는지 구체적으로 안내한다.



AI,양자기술과사이버보안_앞표지_36316_20250509
이은주 · 김영기 · 레티퀴엔(LE THI QUYEN) · 박종민 · 소천용(SO CHIEN JUNG) · 이정 · 이주민 · 향준의(XIANG JUNYI) · Ella Lee 지음, 2025년 5월 20일, 143쪽, , 128*188mm

디지털 전쟁 시대의 보안 전략을 인공지능과 양자 기술의 관점에서 총체적으로 해석한다. 기술이 곧 영토인 시대, 우리는 어떻게 주권을 지켜야 하는가를 묻는다.



인공지능과의식_앞표지_36282_20250507
한정규 지음, 2025년 5월 20일, 124쪽, , 128*188mm

인간의 자각과 기계의 지능이 만나는 지점에서 의식의 본질을 탐구한다. 철학과 과학, 기술이 얽힌 이 복잡한 질문은 여전히 우리를 가장 깊은 사유로 이끈다.



교사를위한AI툴_앞표지_36269_20250430
임태형 지음, 2025년 5월 16일, 137쪽, , 128*188mm

2020년, 교사들의 AI 역량 강화를 위한 ‘AI융합교육전공’이 개설되었지만 초기엔 전공과 무관한 커리큘럼으로 혼란이 있었다. 2025년 현재, 대부분의 교사는 AI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적극 활용하고 있으나 기술 격차도 커지고 있다. 이 책은 예비 및 현직 교사를 위해 AI와 교육의 접점을 쉽게 설명하고, 다양한 활용 도구와 실제 사례를 제공하며 교사의 변화와 적응을 돕고자 한다.



AI와예술창작자동화_앞표지_36275_20250507
정성훈 지음, 2025년 5월 16일, 122쪽, , 128*188mm

AI가 예술을 창작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인간 지능과 창작의 본질을 짚으면서 생성형 AI가 예술의 주체가 될 가능성을 논의한다. 단순한 도구를 넘어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는 존재로서 AI를 조명하고, 창작자에게 변화에 대응하는 태도를 제안한다.



AI와윤리이슈_앞표지_36161_20250429
김용환 · 임희정 지음, 2025년 5월 9일, 192쪽, , 128*188mm

AI, 인간을 비추는 윤리의 거울
『AI와 윤리 이슈』는 초지능 시대를 앞두고 우리가 반드시 고민해야 할 인공지능의 윤리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룬다. 기술 발전의 그늘 속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편향, 프라이버시 침해, 책임 불명확성, 딥페이크 등 다양한 이슈를 조망하며, 인간 존엄성과 공공선이라는 기준 위에서 AI의 방향을 제시한다.



AI와이스포츠_앞표지_36279_20250429
최은경, 이승연 지음, 2025년 5월 15일, 118쪽, , 128*188mm

경기 분석, 훈련, 팬 경험, 메타버스 운영까지 AI가 이끄는 이스포츠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조망한다. 기술과 인간의 협업 속에서 이스포츠 산업이 맞이할 미래를 제시한다.



AI얼굴인식과보안_앞표지_36287_202504293
유영준 지음, 2025년 5월 15일, 97쪽, , 128*188mm

얼굴 인식 기술의 가능성과 프라이버시 침해, 감시사회화의 위험 사이에서 균형 있게 고민해야 할 쟁점을 다룬다. 기술과 책임의 교차점에 선 독자를 위한 안내서다.



생성형AI와미디어리터러시_앞표지_36280_20250425
박선미 지음, 2025년 5월 10일, 168쪽, , 128*188mm

생성형 AI 시대를 살아가기 위한 필수 역량을 제시한다. AI와의 소통과 학습 과정에서 필요한 비판적 사고, 윤리적 감수성, 정보 해석 능력을 다루며, 인간 중심의 리터러시 방향을 모색한다.



놀이와게임AI_앞표지_36283_20250425
이영아 지음, 2025년 5월 9일, 124쪽, , 128*188mm

인간 놀이 본능과 인공지능의 결합이 가져온 변화를 탐구한다. 게임 속 AI는 학습과 감정 교류를 통해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만들어내고 있으며, 교육, 의료, 메타버스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AI로사업계획서쓰기_앞표지_36251_20250425
이지형 지음, 2025년 5월 9일, 120쪽, , 128*188mm

챗봇을 활용해 사업 계획서를 효율적이고 전략적으로 작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시장 조사, 재무 모델링, 스토리텔링까지 챗봇의 지원으로 사업 계획서 작성의 정확성과 설득력을 높이는 실질적 방법을 안내한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