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스포츠투어리즘과AI_앞표지_36104
정구현 지음, 2025년 1월 9일, 118쪽, , 128*188mm

4차 산업혁명이 스포츠 관광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AI, IoT, VR 등 혁신 기술은 경기 운영 효율성, 팬 경험의 개인화, 맞춤형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AI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스포츠 투어리즘의 효율을 높이며 새로운 직업 기회를 창출한다. 스포츠 투어리즘의 미래 가능성을 제시하며 산업 종사자들에게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지만지드라마인형의집_앞표지_26615
헨리크 입센 (Henrik J. Ibsen) 지음, 조태준 옮김, 2024년 12월 31일, 300쪽, , , 128*188mm

《인형의 집》은 1879년 초연 이후 격한 논란에 휩싸임과 동시에 페미니즘 문학의 시초라는 타이틀을 거머쥔다. 입센은 이 작품으로 세계적 작가로 부상했다. 1925년 한국 초연 이후 100년간 수없이 번역, 공연되었던 작품을 다시 번역하면서 무엇보다 원전에 충실하고자 했다. 크고 작은 오류와 왜곡을 바로잡고 마주한 《인형의 집》으로부터 고전의 진짜 힘과 가치를 온전히 실감하게 될 것이다.



지만지드라마마른입술은카퍼스카싱으로가야해_앞표지_26614
톰슨 하이웨이 (Tomson Highway) 지음, 박정만 옮김, 2024년 12월 20일, 226쪽, , , 128*188mm

캐나다 원주민 보호 구역을 배경으로 남성들의 갈등과 협력을 통해 공동체의 지속 가능성을 탐구하는 2막 희비극이다. 여성 하키 팀 결성을 둘러싼 갈등 속에서 전통 회복과 연대를 모색하며, 제국주의의 희생자이자 피해자인 원주민들이 폭력의 악순환을 극복하고 희망을 찾는 모습을 그린다.



원서발췌문화에서의불안_앞표지_21597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 지음, 강영계 옮김, 2024. 11. 15, 130쪽, , , , 사륙판(128*188)

독특한 정신분석학 체계를 확립한 프로이트는 무의식의 세계까지 들추어냈다. 프로이트는 의식을 가리켜 엄청나게 큰 빙산의 수면 위로 나와 있는 지극히 작은 한 부분이라고 했고, 무의식이야말로 바다 밑에 숨겨져 있는 엄청난 빙산 덩어리라고 했다. 인류 전체의 삶을 움직이는 근원적인 힘은 무의식적 에너지인 것이다. 다양한 문화 현상에서 발견되는 충동과 이성적 자아의 억압, 이러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다룬다.



AI콘텐츠크리에이터_앞표지_36099_20241223
정시영 지음, 2025년 1월 9일, 112쪽, , 128*188mm

생성형 AI가 창작에 미친 영향을 다룬다. AI는 창작의 문턱을 낮추고 누구나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는 시대를 열었으며, 텍스트, 이미지, 음악 등 다양한 콘텐츠를 쉽게 만들 수 있게 했다. AI와 창작자의 협업 방식을 탐구하고, AI의 한계와 창작물의 가치 판단 기준에 대해 논의한다.


 


세드릭프라이스_앞표지_08519
김정수 지음, 2025년 1월 15일, 155쪽, , 128*188mm

현대 건축의 기틀을 마련한 세드릭 프라이스의 건축을 해설한다. 프라이스는 형태에 집착하는 기념비적 건축이 아니라 사람과 사회에 유용한 건축을 추구했다. 첨단 기술과 사이버네틱스를 건축에 적극 도입해 시간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고 불확정성을 받아들였다. 우리가 공간을 경험하고 사용하는 방식에 대한 색다른 통찰을 제공한다.



아네마리몰_앞표지_08520
서보경 지음, 2025년 1월 17일, 128쪽, , 128*188mm

돌봄은 의료 산업을 떠받치는 허드렛일의 총칭이 아니다. 아픈 몸을 보살피는 일을 이끄는 큰 힘이다. 어떻게 하면 돌봄의 힘을 더욱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지금과 다른 종류의 의료를 구체적으로 상상할 수 있을까? 돌봄을 건강과 질병에 관한 모든 실천의 기초 논리로 생각하자고 청하는 아네마리 몰의 작업을 통해 그 실마리를 찾아본다.



AI와엔터테인먼트_앞표지_36088_20241223
황서이 지음, 2024년 12월 31일, 111쪽, , 128*188mm

AI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창작, 유통, 소비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탐구한다. AI는 콘텐츠 제작 효율성을 높이고 개인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며 팬덤 문화와 비즈니스 모델에 혁신을 일으킨다. AI가 직면한 법적·윤리적 문제를 다루며 AI와 엔터테인먼트의 미래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전략적 대응을 제시한다.


 


헬스케어AI윤리_앞표지_36047_20241220
김준혁 지음, 2024년 12월 31일, 124쪽, , 128*188mm

AI가 보건 의료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며 AI의 도입에 따른 윤리적 문제를 분석한다. 전통적인 의료 윤리를 넘어, AI가 인간과 환경의 건강을 고려하는 포괄적 접근을 제시한다. 헬스케어 AI 윤리는 다양한 학문을 통합해 현실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며 AI가 인류와 생물권의 건강을 지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AI와미디어아트의진화_앞표지_36086_20241223
최소영 지음, 2024년 12월 31일, 119쪽, , 128*188mm

AI와 미디어 아트의 융합이 창조한 새로운 예술적 가능성을 탐구한다.예술과 기술의 만남이 어떻게 혁신적인 창작 방식을 만들어냈는지 설명한다. AI 모델이 예술에 미친 변화와 미디어 아트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며 AI가 예술의 정의와 경계를 확장하고 새로운 예술적 형식을 탄생시킨 과정을 조망한다.


 


초거대인공지능_앞표지_36091_20241220
전원 지음, 2024년 12월 30일, 139쪽, , 128*188mm

초거대 인공지능의 발전과 기술적 배경을 탐구한다. 초기 인공지능에서 GPT-4와 같은 초거대 AI까지 AI가 어떻게 발전했는지와 이를 가능하게 한 하드웨어 기술을 다룬다. AGI와 그에 따른 사회적 변화를 분석하며 AI가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오드리로드_앞표지_08518
박미선 지음, 2025년 1월 15일, 147쪽, , 128*188mm

교차성 이론을 정초해 현대 페미니즘 이론을 혁신한 오드리 로드의 사유를 해설한다. 로드는 흑인 레즈비언 여성으로서 자신의 경험을 지식으로 생산한다. 이로써 여러 권력 체계가 서로를 강화하며 작동하는 양상을 밝힌다. 로드의 존재론·인식론·관계론에서 억압과 혐오에 맞서 우리의 존재를 새롭게 정의할 방법을 찾아보자.



헤이추모노가타리_앞표지_21731
작자 미상 지음, 민병훈 옮김, 2025. 1. 10, 249쪽, , , , 128*188mm

지식을만드는지식에서 소개하는 우타 모노가타리 그 세 번째 책. 우타 모노가타리란 일본 고유의 정형시 와카와 그 와카가 지어진 배경을 이야기로 소개하는 시와 소설 사이의 독특한 문학 형식이다. 헤이추라는 당대 제일 풍류남의 연애담을 와카와 함께 소개한다. 와카라는 낯선 시 형식을 좀 더 쉽고 재미있게 만날 수 있다. 바람둥이지만 어딘지 모르게 허술하고 인간적인 헤이추의 모습이 정겹다.



인공지능과영화,기술,관객_앞표지_36103
이석창 지음, 2025년 1월 2일, 133쪽, , 128*188mm

영화와 인공지능의 융합을 탐구하며 AI가 영화 제작의 각 단계에서 어떻게 혁신을 이끄는지 다룬다. 영화 제작의 윤리적 문제와 사회적 영향을 논의하고 인공지능을 통해 영화 창작의 문턱을 낮추는 기회를 제시한다.


 


AI와과학교육_앞표지_36069
이경건 지음, 2024년 12월 30일, 122쪽, , 128*188mm

AI가 과학 교육에 미친 영향을 탐구하고 AI가 과학적 사고와 교육에 어떻게 융합될 수 있는지 설명한다. AI는 과학 모델링, 데이터 분석, 개인화된 학습 경험을 제공하며, 과학 교육의 미래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킨다. 최신 AI 기술들이 과학 평가와 교수 학습에 미친 영향을 다루고 AI 시대의 과학 교육 방향을 제시한다.


 


AI와기술영상_앞표지_36079
이호은 지음, 2024년 12월 31일, 109쪽, , 128*188mm

AI가 영상 콘텐츠 제작에서 혁신을 이끄는 방식을 탐구한다. AI는 편집 자동화, 얼굴 인식, 배경 제거 등에서 효율성을 높이며 시간과 비용을 절감한다. 창의성 확장을 위한 협력자로서 AI의 역할을 강조하며 전문가가 아닌 사람도 고품질 영상을 제작할 수 있도록 돕는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