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4


소비의 진화심리학_앞표지_01849_190603
윤선길 지음, 2019.6.5, 120쪽, , , , 128*188



5월_앞표지_21327_20190528
카렐 히네크 마하 (Karel Hynek Mácha) 지음, 권재일 옮김, 2019년 5월 31일, 134쪽, , , , 99원, 128*188mm

체코의 국민 시인이자 체코 현대시의 아버지 카렐 히네크 마하의 서정적 서사시 ≪5월≫을 국내 최초로 소개한다. 시인은 사랑의 계절인 5월을 배경으로 비극적인 사랑과 인생의 고독을 이야기한다. 국수주의와 집단주의가 팽배했던 문단에서 홀로 개인의 내적 진실을 노래한 이 작품은 체코 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20세기 체코의 대표 화가인 얀 즈르자비의 삽화도 함께 실었다.



첸리췬_앞표지_08147_190523
임춘성 지음, 2019년 5월 28일, 112쪽, , 128*188mm

이 책은 20세기 중국 민간 이단 사상을 연구했던 비판적 지식인 첸리췬의 사상을 10가지 키워드로 소개한다. 1949년 마오쩌둥은 중국에서 봉건사회를 무너뜨리고 중화인민공화국을 건설한 후, 조직적이고 계획적으로 사회주의 국민성을 만들었다. 지식인들은 사회주의적 개조에 적극적이기도 했고, 지향이 다름을 인식하고 물러나기도 했으며, 공화국을 지지하면서도 비판적 견해를 제시하다가 비극을 겪기도 했다. 공화국의 민간 지식인 사상에 초점을 맞추면 공산당 중심 역사에서는 볼 수 없던 또 다른 중국이 나타난다.



지드도둑들_앞표지_21326_20250910
데아 로어 (Dea Loher) 지음, 장은수 옮김, 2019년 5월 28일, 180쪽, , , 128*188mm

독일의 국립극단으로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도이체스테아터가 첫 내한 공연으로 선택한 작품. 현실을 직시하지 못한 채 과거에 매여, 혹은 허황된 미래를 꿈꾸며 현재를 허비하는 현대인을 “자신의 인생을 도둑질하는” 도둑에 빗대고 있다.



취재기사작성법_앞표지_08146_190516
김문환 지음, 2019.5.22., 266쪽, , , , 128*188

기자가 되어도 좋은 기사를 쓰기는 쉽지 않다. 블로거나 SNS 활동가가 현장을 맞닥뜨려도 유려한 문장으로 서술해 내기는 어렵다. 탐방 기사에 초점을 맞춘 이 책은 언론사 시험 준비, 초년 기자들을 위한 기사 작성 능력 키우기, 탐방 글쓰기 능력 기르기를 목적으로 한다. 저널리즘과 기사 작성에 관한 이론적 접근을 배제한 현장 실무 교재다. 완벽한 취재 기사 작성 노하우를 확인할 수 있다.



청소년을살게하는연극교육_앞표지_08143_190507
이시이 미치코 (いしいみちこ) 지음, 서울문화재단 엮음, 고주영 옮김, 2019.4.25., 236쪽, , , 신국변형(150*210)

총서의 저자인 이시이 미치코씨는 학교에서 동아리 활동이 아닌 교과목으로 연극을 가르치는 교사다. 저자는 일본에서도 몇 안 되는 드라마티처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학생들과 협업해 제작한 연극 <블루시트>가 일본 대표 연극상인 ‘기시다구니오희곡상’을 수상하는 과정을 통해 일본 연극 역사에 청소년들의 희망을 만들어간 기록 등 직접 가르쳐 온 연극교육의 과정을 10개의 챕터로 나눠 진솔하게 털어놓는다.



2019서울연극제희곡집_앞표지_21694_190409
홍지현, 이은진과 백두산, 극단 신세계, 이우천 지음, 2019년 5월 15일, 284쪽, , 153*224mm

2019년 40회 서울연극제 공식 선정작을 엮었다. 홍지현 작 <어떤 접경지역에서는>, 이은진·백두산 작 <댓글부대>(장강명 소설 원작), 극단 신세계 공동창작 <공주(孔主)들>, 이우천 작 <중첩(重疊)> 4편이다. 모두 국내 창작극으로, 이 시대가 지닌 다양한 문제들을 각자의 시선으로 개성 있게 풀어냈다.



블록체인거버넌스_앞표지_08145_190515
김대호 지음, 2019년 5월 20일, 132쪽쪽, , , 128*122mm



내러티브와세미오시스_앞표지_08144_190508
이윤희 지음, 2019년 5월 15일, 144쪽, , 128*188mm

내러티브는 세계, 삶, 경험을 재현하는 상징적 매개이자 소통을 위한 인지적 도구다. 문화 공동체 구성원은 내러티브의 형식, 매체, 장르에 기초해 수행되는 내러티브 활동으로 세계, 타인, 자기 자신과 소통한다. 스토리는 말로 전해지고 행동으로 드러나며 이미지로 표현된다. 말, 행동, 이미지, 기호가 재현하는 스토리 세계는 말하기와 보여 주기의 내러티브 모드의 상호적 과정에서 실현된다. 구성원은 세계와 타인에 대한 지식이 수반되는 자기 자신에 대한 앎과 자기 해석의 과정을 거치며 사고의 지평을 확장시킨다. 이 책은 시, 영화, 에세이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내러티브와 그 기호 과정인 세미오시스에 실용적으로 접근하고, 내러티브 기호 해석 범주 커뮤니케이션을 설명했다.



통계법의이해_앞표지_08136_190507
정용찬 지음, 2019년 5월 10일, 112쪽, , , 128*188mm



이백시선집4회고_앞표지
이백 (李白) 지음, 이백시문연구회 옮김, 2019년 5월 15일, 282쪽, , , , 128*188mm

이백시문학회에서 이백 시전집을 완역한다. 오랫동안 이백을 연구해 온 14명의 전문 학자가 국내외 모든 이백 관련서를 참고하고 수차례의 윤독과 토론을 거쳐 가장 완벽한 정본에 도전한다. 제4권은 <회고> 37수를 모았다. 정확한 번역과 방대한 주석, 다양한 교감과 상세한 해설은 이백 시를 처음 만나는 사람부터 전문 연구자까지 모두에게 이백 시의 진정한 면모를 보여 줄 것이다.



편세경의실전기업강의매뉴얼(2019년개정판)_앞표지_08142_190502
편세경 지음, 2019.05.08, 222쪽, , , , 153*224mm

인공지능 로봇이 인간의 일을 대신하는 게 먼 미래의 일이 아닌 세상이다. 하지만 강의 분야만은 절대 로봇이 대신할 수 없다. 그뿐만 아니라 로봇처럼 이미 입력된 내용만을 단순 반복하는 구태의연한 강사 역시 살아남을 수 없다. 자신만의 새로운 강의 영역을 구축하고 탁월한 공감 능력을 지닌 미래 지향적 강사가 되는 법이 여기 있다. 국가공인 강사자격시험 ICPI 실기심사단장인 편세경의 실전 강의 스킬 20단계를 다양한 사례와 함께 정리했다.



PR의힘(2019개정3판)_앞표지_08140_20190425
김주호 지음, 2019.4.30, 510쪽, , , , 176*248mm



한국의미디어법제와정책해설2019개정판2_앞표지_08138_20190424
김재철 지음, 2019.4.30, 644쪽, , , 153*224mm)

초판 출간 4년, 그사이 정권이 바뀌었고 그에 따라 정책도 바뀌었다. 정책의 변화는 곧 법령의 변화를 의미한다. 특히 미디어정책은 여러 가치와 이해관계의 타협이다. 정권의 변동이 정책의 변화를 수반하는 까닭이다. 그리고 미디어정책의 핵심 줄기는 미디어법이다. 초판 이후 바뀐 정책과 법령을 꼼꼼하게 수록하고 설명했다. 미디어 다양성, OTT와 VOD 서비스, 홈쇼핑 심의,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 언론중재제도 등의 장을 더하고, 기존 장들도 변화된 내용을 충실히 반영했다. 한국 미디어 법제와 정책을 망라한 종합 안내서다.



한국의미디어법제와정책해설2019개정판1_앞표지_08137_20190424-1
김재철 지음, 2019.4.30, 674쪽, , , 153*224mm

초판 출간 4년, 그사이 정권이 바뀌었고 그에 따라 정책도 바뀌었다. 정책의 변화는 곧 법령의 변화를 의미한다. 특히 미디어정책은 여러 가치와 이해관계의 타협이다. 정권의 변동이 정책의 변화를 수반하는 까닭이다. 그리고 미디어정책의 핵심 줄기는 미디어법이다. 초판 이후 바뀐 정책과 법령을 꼼꼼하게 수록하고 설명했다. 미디어 다양성, OTT와 VOD 서비스, 홈쇼핑 심의,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 언론중재제도 등의 장을 더하고, 기존 장들도 변화된 내용을 충실히 반영했다. 한국 미디어 법제와 정책을 망라한 종합 안내서다.



문과생을위한ICT이야기_앞표지_08139_190425
김석준 지음, 2019.4.30., 284쪽, , 128*188

이 책은 정보통신기술의 개념과 서비스 사례를 가장 쉬운 말로 설명한다.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5G 이동통신,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로보틱스,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자율주행 스마트카, 블록체인 등 정보통신기술 서비스의 개념부터 구현 기술 원리를 친절하게 설명하고, 4차 산업혁명으로 달라질 사회 변화까지 전망했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