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1


문화지능이란무엇인가_홍종열_표지_초판1쇄_20151012
홍종열 지음, 2015년 11월 1일, 130쪽, , , , 9800원, 128*188mm

문화다양성 시대에 조화로운 사회의 실현을 위해 우리에게 가장 요청되는 것은 문화 간 소통을 위한 기술이자 능력이다. 상호문화능력이라 부를 만한 이 시대적 요청에 대한 해답의 실마리를 문화지능에서 찾을 수 있다. 문화지능은 다문화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이다. 이를 하나의 지능으로 간주한다는 것은 개인마다 차이가 난다는 사실과 의지와 노력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문화지능은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개념으로 이를 계발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오늘날 누구도 다문화성이 제기하는 문제들에 무관하다고 할 수 없다.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문화지능에 대한 이해와 이를 향상시킬 전략들을 제시한다.

인티 보기 1  

독일의미디어이론가들_서명준_표지_초판1쇄_20151013
서명준 지음, 2015년 11월 1일, 134쪽, , , , 9800원, 128*188mm

“좋은 이론만큼 실용적인 것은 없다.” 이는 수많은 철학자·문학가들이 강조한 말일 뿐만 아니라 오늘날 광고홍보 전문가에서 일상적인 시민 개인들의 대화에 이르기까지 널리 쓰이는 말이기도 하다. 자본주의사회에서 미디어 테크놀러지는 상품과 이데올로기로서 생산되고 있으며 이는 미디어의 민주주의적 성격을 잠식하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 현실을 올바로 반영하는 이론은 올바른 미디어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전제다. 마르크스 이론의 실용적 가치를 인식하고 자신의 미디어 이론으로 계승·발전시킨 독일 학자들을 소개한다. ‘체계이론’의 거두인 루만을 제외하면, 모두 마르크스적 이론과 방법으로 자신의 세계를 구축한 거장들이다.



대중문화론_백선기_표지_초판1쇄_20151013
백선기 지음, 2015년 11월 1일, 124쪽, , , , 99원, 128*188mm

최근 대중문화 논의에서 대중문화가 중심이 되는 경향이 줄어들고 있다. 그동안 대중문화에 대한 논의는 논자들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다. 그리고 현재는 대중문화 자체를 독립적으로 논의하지 않으며 문화연구, 문화콘텐츠, 기호학 및 담론연구 등과 연계시켜 논의하는 경향을 띠고 있다. 그러나 대중문화는 독립해서 논의할 가치를 지니는데, 여전히 현재의 가장 중심이 되는 문화 현상이기 때문이다. 대중문화에 대한 독립적이고 독자적인 논의가 약화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대중문화에 대한 핵심 논제들을 다시 끌어내고, 기존 개념들과 새로운 개념들을 융합해 현재의 문화현상을 조명하고 의미를 음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티 보기 1  

네트워크와 운하
박태순 지음, 2015년 11월 1일, 128쪽, , , 9800원, 128*188mm

네트워크는 인간의 사유와 연장을 가능하게 하고 증폭시키는 미디어인 동시에 일종의 매트릭스라 할 수 있다. 네트워크와 운하는 우리 사회의 현재를 설명하는 중요한 담론들이다. 세계에서 가장 앞서가는 인터넷과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국가적 난제가 되어 버린 4대강 사업 등의 중심에는 바로 네트워크가 있다. 네트워크적 사고에 대한 인류의 흔적은 문명의 발전 과정, 신화, 정치, 유기체, 테크놀로지, 인간의 지식 체계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운하는 이러한 네트워크에 대한 사유의 흔적들을 본질 속에 내재하면서 발전해 왔다. 그러므로 네트워크와 운하의 실체에 대한 인식론적 작업은 우리의 현실 이해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인티 보기 1  

UHD방송의쟁점과전망_전회경오창희_표지_초판1쇄_20151013
정회경·오창희 지음, 2015년 10월 31일, 136쪽, , , , , 9800원, 128*188mm

초고화질 영상 UHD TV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일반의 인식과 콘텐츠 수요, 방송 플랫폼 여건도 성숙되어 가고 있다. 본격적인 지상파 UHD 방송을 기대하면서 UHD가 가져오는 실감방송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기술 변화와 제작 과정의 변화를 다루었다. 또한 UHD 방송 시장을 국내와 글로벌 환경으로 나누어 알아보고, UHD라는 새로운 그릇에 담길 콘텐츠의 제공 현황과 이에 대한 사용자 니즈를 분석했다. 미래 TV의 지형은 사용자를 배려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경험의 경쟁 공간이다. 방송의 단순 시청이 아니라 차별성 있고 즐거운 경험이 되어야 한다. UHD 방송 정책 과제와 쟁점, 새로운 가능성 등을 살펴봤다.

인티 보기 1  

지만지드라마엔디미언_앞표지_26357_190709
존 릴리 (John Lily) 지음, 임성균 옮김, 2015년 11월 15일, 168쪽, , , 14500원, 128*188mm

엘리자베스 시대에 활동한 작가 존 릴리의 희곡을 초역으로 소개한다. 달에 사는 남자 엔디미언은 신화에서 영감을 얻어 당대 사정에 맞게 극화한 작품이다. 여왕을 향한 작가 자신의 충성을 달에 대한 엔디미언의 사랑에 비유했다.

인티 보기 1  

유럽문명의아프리카기원
장 필리프 오모툰드 (Jean-Philippe Omotunde) 지음, 김경랑·박규현·오정숙·유재명·이경래·이한규 옮김, 2015년 11월 20일, 348쪽, , , , 25000원, 128*188mm

아프리카는 어떤 대륙인가? 아직도 질병과 기아로 고통받는 미개한 대륙이라고 생각하는가? 반면 유럽은 어떤 대륙인가? 그리스와 로마의 찬란한 문명을 계승한 축복받은 대륙이라고 생각하는가? 이 책은 유럽 이전에 고대 아프리카의 문명이 있었음을 주장한다. 지금까지의 아프리카 역사는 왜곡되어 있다. 이제 진실을 복원하고 아프리카를 정확히 인식할 때다.

인티 보기 1  

여생표지
우허 (舞鶴) 지음, 문희정 옮김, 2015년 11월 16일, 470쪽, , , , 99원, 128*188

1930년 타이완에서 일어난 원주민의 반일 투쟁인 우서(霧社) 사건을 모티프로 한 소설이다. 사건은 1~2차에 걸쳐 일어났는데, 사망자가 800여 명에 달했고, 생존자들은 강제 이주되어 감시와 처벌을 받으면서 인구가 크게 감소했다. 기존의 사료는 주로 일본 학자들에 의해 이뤄진 조사와 평가의 결과물이었기 때문에 작가는 우서 사건의 생존자와 그 후손들의 이야기를 토대로 당대의 관점에서 사건을 평가하고자 했다.

인티 보기 1  

모바일과여성_앞표지_초판1쇄_ok_20151109
정회경·박주연·이동후·김아미·최선영·설진아·김숙·이종임·정수영·한희정·전해정 지음, 2015년 11월 14일, 306쪽, , , , 21000원, 153*224mm

모바일은 이제 없으면 견디기 힘든 생활필수품이 되었다. 모바일로 여성의 삶, 일, 가정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11명의 여성학자들이 미디어 환경과 일상의 변화를 민감하게 포착한다. 모바일 미디어의 사회문화적 함의를 살피고 일상에서의 모바일 이용 경험을 사례를 통해 분석한다. 디지털 격차, 글쓰기와 말하기, 미디어 성범죄 같은 현실 이슈도 조명한다.

인티 보기 1   2  

괴테시선1N_앞표지
요한 볼프강 폰 괴테 (Johann Wolfgang von Goethe) 지음, 임우영 옮김, 2015년 11월 10일, 468쪽, , , , 99원, 128*188mm

 

독일의 시성(詩聖) 괴테가 1757년부터 1775년까지 쓴 초기 시들을 모았다. 일곱 살 어린 나이에 쓴 시부터 아나크레온 풍의 시, 질풍노도의 시대에 쓴 제젠하임의 시, 위대한 찬가들, 예술가의 시, 발라드, 기회시, 릴리의 시 등을 차례로 엮었다. 한국괴테학회 회장인 임우영 교수의 자세한 해설이 어렵기만 했던 괴테를 한층 가깝게 음미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인티 보기 1   2  

진일유고_문집_앞표지_1판1쇄_ok_20151029
성간 (成侃) 지음, 홍순석 옮김, 2015년 11월 10일, 488쪽, , , 99원, 128*188mm

서른에 요절한 조선 중기의 천재 학자 진일재 성간의 유고 문집이다. 어려서부터 학문과 온갖 잡기에 두루 능통했으나 그중에서도 시문은 따를 이가 없어 중국 사신이 무릎을 꿇고 말하길 “조선의 문장이 중국보다 못하지 않다”고 할 정도였다. 사대부의 입장에서 내려다보는 것이 아니라 백성의 시각에서 피폐한 민생을 바라보고 아파하는 그의 사회시는 마치 두보의 작품을 보는 듯하다.

인티 보기 1  

드론촬영입문_앞표지_초판1쇄_ok_20151027
이희영 · 이정우 지음, 2015년 11월 10일, 148쪽, , , , 19000원, 188*258mm

드론의 시대다. 왜 인기인가? 가깝고 쉽다. 얼마나 쉬운가? 노트북 한 대 값이면 항공촬영이 가능하다. 지금 시작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이 책을 보라. 구조부터 조종법, 관리법과 촬영 노하우까지, 드론 촬영의 프로가 당신을 안내한다. 이카로스의 세상이 눈앞에 펼쳐진다.

인티 보기 1  

과학의가치
앙리 푸앵카레 (Henri Poincaré) 지음, 이정훈 옮김, 2015년 11월 2일, 386쪽, , , , 28000원, 128*188mm

20세기 초 당대 최고의 수학자로 명성을 얻은 앙리 푸앵카레의 대중서다. 수학적 전개에 관한 태도, 물리학과 수학의 관계로 시작해 시간과 공간의 정의, 과학의 상대성과 절대성, 과학의 목적과 같은 좀 더 철학적인 주제로 논의를 이어 간다.
국내 처음으로 프랑스어본을 완역해 출간했다.

인티 보기 1  

광고홍보학보_17-4_앞표지_초판1쇄_ok_20151116
한국광고홍보학회 엮음 지음, 2015년 10월 31일, , , 99원, 188*258mm

광고홍보를 현대 사회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인식하고 이와 관련한 사회학적 연구 성과를 담는다. 전국에 있는 40여 개 광고홍보 관련 학과의 거의 모든 교수가 ‘한국광고홍보학회’에 참여하고 있어 광고 관련 최신 이론이나 연구 성과가 가장 먼저 실린다고 할 수 있다. 광고와 PR 이론 및 방법론 개발, 광고와 마케팅 이론의 실증적 검증, PR 관련 사회적 현상의 이해를 위한 이론 개발 등을 다룬다.



신문인쇄의현재와미래(연구서2015-07)_앞표지_초판1쇄_ok_20160202
김위근·이홍천 지음, 2015년 10월 31일, 202쪽, 99원, 신국판(153*224)

신문 인쇄는 단순히 종이에 잉크를 묻히는 작업이 아니다. 신문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기사의 선택, 편집, 디자인 등이 완료돼야 한다. 그래서 신문 인쇄는 독자에게 기사를 잘 보이기 위해 배치하고 포장하는 모든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도 인쇄된 신문에 대한 독자의 충성도가 여전히 높다는 사실은 신문 혁신이 인쇄 영역에서도 가능할 수 있음을 방증한다.



2015-6_미디어지형변화와해외언론지원제도_앞표지
황치성·정완규 지음, , , , 99원

뉴스 및 정보 채널로서 스마트폰 및 소셜 미디어의 이용 확대와 검색 엔진의 영향력 확대 등은 전통적인 뉴스 미디어인 신문과 방송의 존립 자체를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일견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으나 뉴스 미디어로서 신문, 방송의 입지 약화는 다양한 정보와 여론의 형성 및 유통, 더 나아가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들 수 있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