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2


기독교의정신과그운명
게오르크 헤겔 (Georg W. F. Hegel) 지음, 조홍길 옮김, 2015년 6월 30일, 243쪽, , , , 99원, 128*188mm

프랑크푸르트 시대에 쓴 이 원고는 헤겔의 정신사적 발전 단계로 보나, 후세에 끼친 영향과 현재 의미에서 볼 때나 가장 중요한 텍스트다. 헤겔은 이 텍스트에서 청년기의 사상적 방랑을 종결하고 이 시기의 사상을 총괄했다. 이 텍스트가 드러내는 변증법적 긴장은 니체의 ≪비극의 탄생≫, 엘리아데의 ≪성과 속≫, 바타유의 ≪에로티즘≫을 연상시킨다.

인티 보기 1  

노생거사원_소설_앞표지_1판1쇄_ok_20150621
제인 오스틴 (Jane Austen) 지음, 이미애 옮김, 2015년 6월 30일, 386쪽, , , , 99원, 128*188mm

≪노생거 사원≫을 오스틴의 최고 작품으로 꼽는 평자들이 있는 것은 이 소설이 이룩한 높은 완성도를 입증한다. 이 소설은 당대의 서사 양식들을 풍자하고 패러디하면서 동시에 그 양식들의 정수를 포용함으로써 부정과 긍정, 전도와 재창조의 양면성을 드러낸다. 오스틴의 신랄한 풍자와 위트, 독창적 기지가 빛을 발하는 작품이다.

인티 보기 1  

중국영화산업_앞표지_초판1쇄_ok_20150623
박정수 지음, 2015년 6월 30일, 266쪽, , , , 23000원, 153*224mm

왜 중국 영화 산업인가? 성장이 눈부시다. 대단한가? 매년 30%의 성장세로 세계 1위 미국 시장을 위협한다. 가파른 성장의 요인은? 체제 전환과 시장 개방이다. 중국 영화 산업을 정치경제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영화가 국가와 시장의 권력관계에 따라 변했기 때문이다. 중국이 처음 영화를 상영한 1896년부터 세계 영화 시장의 왕좌를 넘보는 2015년까지의 변화상을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인티 보기 1  

set
한국어읽기연구회 지음, 2013.9.30, , 250000원, 128*188mm

잘 읽는 아이는 잘 쓰고 잘 쓰는 아이는 잘 듣고 잘 듣는 아이는 잘 말하게 된다. <표현력을 키우는 한국문학 읽기>는 설화에서 시작해 고전소설을 거쳐 근현대소설까지 가장 보편적인 한국의 이야기를 교과서와 관련해서 골랐다. 한국문학을 전공한 한국어교육 전문가들이 어린이들의 읽기 수준을 고려해 문학작품을 모두 다시 썼다. 원작의 흐름과 어조를 흩뜨리지 않고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 목표였다. 고전 문체를 현대어로 바꾸면서 인물 간의 관계나 상황, 당시의 생활 규범을 그대로 전달하려고 노력했다.



조택원_앞표지_1판1쇄_ok_20150409
조택원 지음, 2015년 4월 20일, 290쪽, , , 15000원, 153*224mm



2015정부지원금최신가이드_앞표지_초판1쇄_ok_20150304
유영은 유인태 지음, 2015년 3월 10일, 480쪽, , , 29000원, 신국변형(150 * 225 mm )



원형의전설_소설_앞표지_1판1쇄_ok_20150618
장용학 지음, 홍용희 엮음, 2015년 6월 25일, 444쪽, , , 22000원, 128*188mm

≪원형(圓形)의 전설(傳說)≫은 액자식 구성과 알레고리를 통해 한국전쟁 이데올로기와 문명 비판을 시도한다. 주인공 이장은 아버지 오택부와 어머니 오기미의 근친상간으로 태어난 사생아다. 그의 출생 자체가 민족상잔, 한국전쟁을 가리킨다. 장용학은 한국전쟁과 전후의 극한적인 궁핍, 폐허, 왜곡, 타락 속에서 실존적 현존재의 의미와 가치를 성찰적으로 날카롭게 환기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인티 보기 1   2  

신자유주의교육정책계보와그너머_앞표지_초판1쇄_ok_20150515
마크 올슨 · 존 코드 · 앤 마리 오닐 (Mark Olssen · John Codd · Anne-Marie O’Neill) 지음, 김용 옮김, 2015년 5월 28일, 518쪽, , , 99원, 신국판(153*224mm)

저자들은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에 반대하며 미셸 푸코의 저작들에서 이론적·방법론적 통찰을 이끌어 낸다. 정책을 정치적·사회적·역사적으로 맥락화한 실천으로 보고 교육정책을 비판적으로 ‘읽는’ 방법에 집중한다. 즉 교육정책은 무엇이며, 왜 중요하고,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를 중심으로 교육정책을 이해하고, 개념화하며, 분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인티 보기 1  

독일의직업교육과마이스터제도_앞표지_초판1쇄_ok_20150526
유진영 지음, 2015년 6월 5일, 316쪽, , , 99원, 신국판(153*224mm)

독일의 직업교육제도를 분석한 한국 최초의 책이다. 마이스터를 둘러싼 독일의 정치·경제·문화·교육제도 전반을 다룬다. 마이스터 양성으로 잘 알려진 독일의 직업교육 제도 형성 과정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 작용한 정치·사회·경제 배경을 검토한다. 한국 직업교육의 모델이었던 독일의 직업교육의 성립 배경을 분석해 한국의 직업교육을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인티 보기 1  

철학과상담2죽음그리고자살_앞표지
김선희 · 김성진 · 박병준 · 이영의 · 정세근 · 홍은영 지음,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엮음, 2015년 2월 13일, 242쪽, , , 17000원, 신국판(153*224mm)

이 책은 왜 죽음과 자살을 말하는가? 그것은 가장 오래된 철학적 물음이자 오늘날 한국 사회가 풀어야 할 긴박한 현안이다. 죽음과 자살 문제에서 철학상담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철학하기’의 검증과 반성의 기회를 준다. 검증과 반성이 죽음과 자살을 막을 수 있나? 철학적 대화를 통해 문제를 바라보는 인식을 바꾸고 스스로 선택하는 과정을 거쳐 주체성을 회복한다. 죽음의 공포와 자살 충동, 존재의 유한성에 대한 인식 등 ‘죽음’과 관련된 다양한 삶의 문제를 철학상담의 관점에서 다룬다.

인티 보기 1   2   3  

왕도로가는길_소설_앞표지_1판1쇄_ok_20150615
앙드레 말로 (André Malraux) 지음, 김붕구 옮김, 2015년 6월 22일, 360쪽, , , , 18000원, 128*188mm

1930년 앵테랄리에상 수상이 보증하는 앙드레 말로의 대표작. 서구의 식민지 경영과 원주민의 반문명적 원시생활이 공존하던 금세기 초, 인도차이나의 원시림으로 세월에 묻힌 고대의 조각을 찾으러 떠난 젊은 고고학자 클로드와 모험가 페르캉이 겪는 이야기다. 불문학계의 태두(泰斗)로 불린 김붕구 필자의 번역으로, 2001년 지식공작소에서 나온 것을 복간했다.



2015년젊은평론가상수상작품집
고봉준 외 지음, 2015년 6월 5일, 266쪽, , , 99원, 128*188mm

한국문학평론가협회는 2000년부터 매해 활발한 비평 활동을 펼친 신진 평론가들 중 한 명을 골라 ‘젊은평론가상’을 수여해 왔다. 이 책은 제16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 및 후보작을 수록한 책으로, 지난 2014년 한 해 동안 우리 문학을 이끌었던 문제의식과 키워드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동향과전망_94호_앞표지_초판1쇄_ok_20150604
한국사회과학연구회·박영률 출판사 지음, 2015년 6월 1일, 268쪽, , , 25000원, 153*224



포스트텔레비전시대의다큐멘터리트렌드_앞표지_초판1쇄_ok_20150526
이종수 지음, 2015년 5월 30일, 300쪽, , , , 99원, 153*224mm

다큐멘터리는 텔레비전 시대에 어떻게 적응하나? 대중적 서사 전략을 도입하여 다큐의 대중화를 꾀한다. 어떤 다큐멘터리가 작가주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나? 필름 다큐, 하이엔드 다큐와 같은 고급 다큐다. 인터넷 시대 다큐멘터리는 무엇을 추구하는가? 참여성과 상호교류성의 미학이다. 다큐멘터리의 개념적 변천과 장르 발전, 현재 제작 경향을 정리했다. 다큐멘터리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확인할 수 있다.

인티 보기 1  

지만지드라마베르나르다알바의집_앞표지_26254_190717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Federico García Lorca) 지음, 안영옥 옮김, 2015년 5월 30일, 170쪽, , , 99원, 128*188mm

질식할 것 같은 감금 상태에서 지낼 것을 강요당한 여인들. 이들이 숙명적 사랑을 느낄 때, 그 결과는 집착과 질투, 피로 얼룩진다. 인간의 본성을 억압할 때 어떤 비극이 일어나는지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은 선명하게 보여 주고 있다.
로르카의 비극 3부작, 최후의 작품.

인티 보기 1  

지만지드라마그리스비극_앞표지_26250_190717
존 바턴, 케네스 카벤더 (John Barton, Kenneth Cavander) 지음, 오경숙 옮김, 2019년 8월 1일, 666쪽, , , 28000원, 128*188mm

그리스 비극과 호메로스의 ≪일리아드≫를 오레스테스 가문의 비극과 트로이 멸망이라는 큰 줄거리를 축으로 재배열, 각색했다. 총 공연 시간만 9시간에 달하는 대작이다.

인티 보기 1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