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


지만지드라마살라메아시장_앞표지_26589_240417
칼데론 데 라 바르카 (Calderón de la Barca) 지음, 김선욱 옮김, 2024년 4월 28일, 218쪽, , , , , 128*188mm

딸을 성폭행한 귀족 장교를 처형한 시장을 중심으로 민중의 명예에 대해 이야기한다. 스페인의 셰익스피어라 불리는 칼데론 데 라 바르카의 코메디아 대표작. 다른 코메디아 작품들과 사랑을 제어할 수 없는 열정, 육체적 욕망이 빚는 폭력의 양상으로 그려 낸다.



상권분석과AI_앞표지_36968_202407053
구름 지음, 2024년 7월 19일, 93쪽, , 128*188mm

현대 상권 분석은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해 혁신적으로 변하고 있다. 빅데이터 기술, 공공 및 민간 데이터 활용, 기계학습, 인공신경망, 딥러닝을 통한 정밀 상권 분석 방법을 제시한다. 창업 전 시장 이해와 위험 감소에 도움을 주며, 독자들이 더 나은 창업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돕는 AI 기술을 소개한다.


 


AI와스포츠_표지_36965_202407033
신승호·신승아 지음, 2024년 7월 18일, 122쪽, , 128*188mm

스포츠는 AI, IoT, 빅데이터 등과 융합하여 경기 분석, 선수 훈련, 부상 예방, 심판 판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AI는 경기 전략 최적화, 부상 관리, 선수 발굴, 맞춤형 훈련을 지원하며, 스포츠 정보를 관리, 분석하고 팬과 소비자에게 정보 제공를 제공하며 스포츠 중계와 엔터테인먼트를 혁신한다. AI와 스포츠의 융합이 가져올 윤리적 문제와 미래 스포츠의 변화를 탐구한다.


 


도시혁명_앞표지L_21624
앙리 르페브르 (Henri Lefebvre) 지음, 신승원 옮김, 2024. 7. 5, 350쪽, , , , , , 128*188mm

앙리 르페브르의 도시론을 대표하는 현대의 고전. ‘산업화’한 도시의 폐해를 비판하고, 여러 행정가와 건축가가 주창해 온 ‘도시계획’의 허구성과 억압성을 폭로하며, 도시에 잠재한 창조적 활력을 재발굴한다. 도시라는 장소의 긍정적 가능성을 현실화해 진정한 ‘도시사회’로 나아가는 ‘도시혁명’의 방도를 제시한다. 마르크스철학과 도시학 사이에 가교를 놓은 책, 현대 도시사회학의 토대를 이루는 책이다.



규제된AI_앞표지_36975_202407023
백수원 지음, 2024년 7월 16일, 103쪽, , 128*188mm

AI 기술 발전에 따른 사회적, 법적 문제와 규제의 필요성을 탐구한다. AI의 자율적 행동과 ‘할루시네이션’ 현상 등을 통해 AI 규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AI의 안전하고 윤리적인 사용을 보장하고 인간을 보호하기 위한 규제 방향을 제시하며, 인류와 AI의 공존을 위한 길을 모색한다.


 


AI채용과해고_앞표지_36972_202407013
여현덕 지음, 2024년 7월 15일, 114쪽, , 128*188mm

AI가 채용과 해고 과정에 작동하는 방식, 영향, 문제점을 다룬다. 성과 데이터 기반으로 직원들을 선별하는 현 상황, AI로 인한 차별, 개인정보 침해, 투명성 문제를 논의한다. AI와 인간의 협업을 강조하며 AI 시대에 필요한 인간 고유의 능력인 감성 지능, 창의력, 비판적 사고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제시한다. AI 시대의 직장 환경 변화를 준비하는 데 도움을 준다.


 


골프와AI_앞표지_36974_202406273
정경수·문병량 지음, 2024년 7월 12일, 119쪽, , 128*188mm

AI가 골프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AI의 발전으로 골프장 설계, 골프용품 개발, 경기 분석, 교육 및 트레이닝, 중계 및 관람 방식 등이 혁신되고 있다. AI는 맞춤형 트레이닝 프로그램 제공, 로봇 캐디와 판정 시스템 도입 등 골프의 모든 면에서 변화를 일으킨다. 골프와 AI의 융합이 가져올 미래를 통찰한다.


 


측량선_앞표지L_21666
미요시 다쓰지 (三好達治) 지음, 김정신·심종숙 옮김, 2024. 7. 12, 163쪽, , , , 사륙판(128*188)

고독감과 슬픔과 우울, 억압으로부터 자유와 해방을 갈구하며 노래한 일본 모더니즘의 대표 시인 미요시 다쓰지의 데뷔 시집이다. 서정성과 품격, 서구 상징시의 작풍을 겸비한 쇼와 시대 대표 시집이기도 한 이 책은 현대적 시풍을 담고 있으면서도 일본의 전통적인 미학인 ‘모노노아와레’의 맥을 잇는다. 국내 첫 완역으로 선보인다.



남가록_앞표지L_24063
최만성 (崔晩成) 지음, 조용호 옮김, 2024.7.5., 641쪽, , , , , , 사륙판(128*188)

18∼19세기 무렵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한문 장편소설이다. 불교를 숭상하는 나라 남가국에 닥친 전쟁의 위기를 사천왕(四天王)의 현신인 최석홍, 황석태, 석천장, 석화주 네 인물의 활약으로 극복해 나가는 과정을 그린다. 방대한 내용과 치밀한 구성, 체계적인 주제 형상화 과정, 5원 세계를 넘나드는 광활한 공간 배경. 우리나라 고전소설사의 압도적인 성취인 《남가록》을 발굴한 조용호 교수가 세련된 번역과 정밀한 주석, 친절한 해설을 통해 소개한다.



AI와직업빅뱅_표지_36968_202406273
한기석 지음, 2024년 7월 12일, 103쪽, , 128*188mm

AI 기술이 직업 시장을 어떻게 재편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AI의 발전으로 사라질 직업과 새롭게 등장할 직업을 예측하며, 이에 대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AI 시대에 필요한 역량과 기술, 직업 윤리와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도 다룬다. 급변하는 직업 환경 속에서 미래를 준비하는 이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담았다.


 


AI와스마트홈_앞표지_36973_202406273
윤명섭 지음, 2024년 7월 12일, 117쪽, , 128*188mm

인공지능 기술이 가정과 일상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쉽게 설명했다. 스마트홈과 스마트 빌딩의 변화, AI 기술의 활용 사례, 정부의 AI@Home 프로젝트 등을 다루며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게 친숙한 사례로 구성했다. 스마트홈과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인공지능특허확보전략_앞표지_36970_202406263
김용덕 지음, 2024년 7월 12일, 93쪽, , 128*188mm

인공지능 기술의 특허 확보와 활용을 위한 지침서다. 대두한 인공지능 특허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특허 확보 방법을 안내한다. 오픈소스 라이선스와 인공지능 특허의 관계, 특허 심사 시 문제되는 거절 이유, 확보된 특허의 활용 방법을 다룬다. 인공지능 기술 개발 기업을 위한 핵심 정보를 담았다.


 


충복_앞표지L_21665
하인리히 만 (Heinrich Mann) 지음, 남기철 옮김, 2024. 7. 12, 781쪽, , , , 사륙판(128*188)

적극적으로 사회를 비판하며 참여문학적 입장을 견지했던 독일 작가 하인리히 만의 대표작이다. 빌헬름 2세 치하 독일제국에서 황제의 충복을 자처하며 정치권력과 이익을 얻는 데 몰두하는 시민 계급 디데리히 헤슬링과 그 주변 인물을 통해 당시 시대상을 통렬하게 풍자한다.



AI싱킹과협업지성_앞표지_36971_202406263
여현덕 지음, 2024년 7월 5일, 109쪽, , 128*188mm

인간의 직관적 사고와 인공지능의 정교한 인식이 만나 협업하는 ‘협업 지능(CQ)’ 모델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초개인화와 초지능화의 시대를 대비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컴퓨팅 사고와 AI 싱킹에 대한 이해, 켄타우로스의 현자 케이론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 중심의 AI 활용법과 협업 모델을 제시한다.


 


책쾌조신선이야기_앞표지L_24064
정약용 외 (丁若鏞 외) 지음, 이민희 옮김, 2024.6.28., 193쪽, , , , , 사륙판(128*188)

“세상의 책이란 책은 다 내 책이요, 세상에 책을 제대로 안다는 사람 중에 나만큼 아는 사람도 없을 것이오.” 전근대기 책의 유통을 담당하던 서적상을 특별히 ‘책쾌(冊儈)’라 불렀다. 이 책에는 조선 후기 한양에서 활동했던 전설적인 책쾌 조생(曺生)을 그린 6개의 전(傳)을 수록했다. 기이한 신선의 면모를 갖추고 있어 ‘조신선’이라 불렸던 책쾌 조생. 그의 이야기를 통해 조선 시대 서적 유통과 지식 전파의 한 면을 살필 수 있을 것이다. 부록에는 전근대기부터 근현대기까지 이어졌던 여러 책쾌들의 활약상과 역할을 음미할 수 있는 문헌을 다채롭게 소개했다.



육후이_앞표지_08505
박준영 지음, 2024년 6월 28일, 132쪽, , 128*188mm

전 세계 기술철학을 선도하는 육후이의 사상을 요약한다.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오늘날 첨단 기술의 특성, 서구 근대의 기술관으로는 파악할 수 없던 문제들, 비서구 기술관의 재발굴 필요성을 설명한다. 장밋빛 기술 낙관론,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론을 모두 넘어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기술 생태계의 실재를 생생하게 통찰할 수 있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