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2


광고를넘어서라
부산국제광고제·이의자·최환진·최윤식 엮음, 2013년 7월 31일, 244쪽, , , , 26800원, 153*224mm

2012 부산국제광고제의 수상작 중 92편을 엄선했다. 2012년 세계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아이디어와 인사이트를 통해 광고가 세상을 바꾸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각 광고의 브리프, 전략, 성과를 소개하고, 작품마다 저자의 단상을 실어 해당 광고를 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아이디어를 작품으로 만든 과정, 캠페인 목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창의적 광고를 만드는 비결을 발견할 수 있다.

인티 보기 1  

표현주의문학_단행본_앞표지_1판1쇄_ok_20130725
김충남 지음, 2013년 7월 31일, 534쪽, , , 99원, 128*188mm

표현주의는 질풍노도.낭만주의와 함께 가장 독일적인 문학 사조다. 1910∼1920년 일어났던 표현주의 운동은 기존 사회와 문화를 비판하고 인간의 변화와 사회의 개혁을 노래했다. 이 책은 30년간 독일 표현주의 문학을 연구하고 강의한 김충남 교수가 그동안 발표한 논문을 수정.보완하고 새로운 글을 추가해 엮은 것이다. 시.희곡.산문 작품을 세계의 종말, 대도시, 전쟁, 부자 갈등, 새로운 인간, 광기와 광인 등의 주제에 따라 살펴본다.

인티 보기 1  

광고홍보학보_15-3
광고홍보학회 엮음 지음, 2013년 7월 30일, 385쪽, , , 33000원, 188*258mm

광고홍보를 현대 사회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인식하고 이와 관련한 사회학적 연구 성과를 담는다. 전국에 있는 40여 개 광고홍보 관련 학과의 거의 모든 교수가 ‘한국광고홍보학회’에 참여하고 있어 광고 관련 최신 이론이나 연구 성과가 가장 먼저 실린다고 할 수 있다. 광고와 PR 이론 및 방법론 개발, 광고와 마케팅 이론의 실증적 검증, PR 관련 사회적 현상의 이해를 위한 이론 개발 등을 다룬다.



초판본조명희시선_앞표지_1판1쇄_ok_20130711
조명희 지음, 오윤호 엮음, 2013년 7월 30일, 158쪽, , , , 99원, 128*188mm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 희곡을 썼다. 카프 문학의 선구자였고 그의 시집은 출간된 근대 창작 시집으로는 첫 번째나 다름없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잊혔다. 도쿄에서도 조선에서도 소련에서도 디아스포라였던 식민지의 청년은 오랫동안 대한민국에서도 갈 곳을 찾지 못했다. 보들레르도 타고르도 아닌 그저 ‘조선 혼의 울음소리’를 노래하는 시인이 되고 싶었던 포석 조명희. 이제 그의 시가 본향을 찾는다.

인티 보기 1  

한하운시선_초판본_앞표지_1판1쇄_ok_20130717
한하운 지음, 고명철 엮음, 2013년 7월 30일, 258쪽, , , , 16000원, 128*188mm

한하운(1919~1975) 시를 읽는 것은 처절한 고통과 대면하는 일이다. 이 고통은 관념의 차원이 아니라 실재의 차원에서 우리를 엄습해 오기 때문에 더욱 고통스럽게 살을 저미는 아픔으로 다가온다. 한하운은 이른바 ‘문둥이 시인’이다. 평생 나(癩)환자로서 천형(天刑)의 삶을 살았다. 그의 시 곳곳에는 문둥이로 살 수밖에 없는 사람의 울음이 배어 있다.

인티 보기 1  

잃어버린편지_앞표지_1판1쇄_ok_20130722
이온 루카 카라지알레 (Ion Luca Caragiale) 지음, 이호창 옮김, 2013년 7월 30일, 238쪽, , , , , 99원, 128*188mm

이온 루카 카라지알레가 1884년에 발표한 4막 희극으로 1884년 11월 13일 국립극장에서 초연된 이후 현재까지 매년 빠지지 않고 공연되는 루마니아 최고의 희극 작품이다. 이 작품은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편지 한 장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사건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인티 보기 1  

두아이야기_앞표지_1판1쇄_ok_20130723
관한경 (關漢卿) 지음, 하경심 옮김, 2013년 7월 30일, 188쪽, , , , , 16500원, 128*188mm

<두아 이야기(竇娥冤)>와 <악한 노재랑(魯齋郞)>은 중국이 ‘중국의 셰익스피어’라 자부하는 희곡 작가 관한경이 쓴 원대(元代, 1279∼1368)의 희곡이다. 원대를 대표하는 작가로,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긴 관한경의 대표작 중 원대 사회의 어두운 면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사회성이 짙은 두 작품을 엮었다.

인티 보기 1  

한국어읽기연구회 지음, 2013년 7월 30일, , 490000원, 128*188mm

인티 보기 1   2   3   4  

1130420094-1.jpg
한국어읽기연구회 지음, 2013년 7월 30일, 104쪽, , 9800원, 128*188mm

9권에는 동물들이 은혜를 갚는 이야기를 모았다. 이야기 속에서 동물들은 자기를 사랑해 주거나 위험에 서 구해 준 사람에게 고마워한다. 그리고 그 고마움을 갚기 위해 죽기도 한다.
<은혜 갚은 까치>에서 까치는 새끼들을 구해 준 선비를 위해 죽는다.
<주인을 살린 누렁이 이야기>에서 누렁이는 자기를 사랑해 준 주인을 살리려다가 죽는다.
<착한 소녀를 구한 두꺼비>에서 두꺼비는 자기를 보살펴 준 소녀를 위해 뱀과 싸우다가 죽는다.

인티 보기 1   2   3   4  

1130420086-1.jpg
한국어읽기연구회 지음, 2013년 7월 30일, 126쪽, , 9800원, 128*188mm

8권에는 깨달음을 주는 이야기들을 모았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들은 자신의 잘못을 스스로 깨닫는다.
<소가 된 게으름뱅이 청년>에서 게으름뱅이 청년은 소가 되어 보고 나서 자기의 잘못을 깨닫는다.
<들쥐의 며느리 찾기>에서 들쥐는 돌탑의 말을 통해 자신에게 만족하는 마음을 깨닫는다.
<김 부자의 손님 접대>에서 김 부자는 친구의 말을 통해 사람을 차별한 잘못을 깨닫는다.
<구렁이를 죽인 용감한 청년>에서 스님은 청년의 말을 통해 벌과 복이 스스로 만드는 것임을 깨닫는다.

인티 보기 1   2   3   4  

1130420078-1.jpg
한국어읽기연구회 지음, 2013년 7월 30일, 106쪽, , 9800원, 128*188mm

7권에는 욕심쟁이의 이야기를 담았다. 욕심쟁이는 늘 착한 사람의 행운을 욕심낸다. 그러나 행운은 늘 욕심쟁이를 피해 간다.
<송아지와 바꾼 무>는 더 큰 선물을 받으려고 송아지를 바친 욕심쟁이의 이야기이다. 그러나 욕심은 엉뚱한 결과를 낳는다.
<빨간 부채와 파란 부채>는 요술 부채를 손에 넣은 욕심쟁이의 이야기이다. 욕심쟁이는 욕심 때문에 다시 집에 돌아오지 못한다.
<상처를 치료하는 옹달샘>은 샘물을 팔아서 돈을 벌려고 한 욕심쟁이의 이야기이다. 욕심쟁이는 욕심이 너무 많아서 죽게 된다.

인티 보기 1   2   3   4  

113042006X-1.jpg
한국어읽기연구회 지음, 2013년 7월 30일, 112쪽, , 9800원, 128*188mm

6권에는 욕심쟁이의 이야기를 담았다. 행운은 우연히 찾아오는 게 아니라 착한 삶의 결과이다. 그런데도 남의 행운을 욕심내는 사람들이 있다.
<젊어지는 샘물>은 젊어지고 싶었던 노인의 이야기이다. 노인은 욕심이 너무 많아 생각하지도 못했던 일이 일어난다.
<혹부리 영감>은 턱에 달린 혹을 떼고 싶었던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그러나 똑같은 행운이 두 번 오지는 않는다.
<금도끼와 은도끼>는 보물을 욕심낸 젊은이의 이야기이다. 젊은이는 거짓말을 했기 때문에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한다.

인티 보기 1   2   3   4  

1130420507-1.jpg
한국어읽기연구회 지음, 2013년 7월 30일, 104쪽, , 9800원, 128*188mm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50권. 작가 김동인의 소설 두 편을 모았다.
<감자>는 가난이 만든 불행을 보여 준다. 농부의 딸 복녀는 착하고 예의 바른 아가씨였다. 하지만 돈을 벌기 위해 몸을 파는 여자가 된다. 복녀는 결국 비참한 죽음을 맞는다. 아무도 슬퍼하지 않는 죽음이라 더 비참하다.
<배따라기>는 오해가 만든 불행을 보여 준다. ‘나’는 대동강에서 배따라기를 부르는 남자를 만난다. 소설은 그 남자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남자는 아내와 동생의 다정한 모습을 질투한다. 그리고 아내와 동생을 서로 사랑하는 사이라고 오해한다. 결국 아내는 죽고 동생은 떠난다. 남자는 뉘우치는 마음으로 동생을 찾아다닌다.

인티 보기 1   2   3   4  

1130420051-1.jpg
한국어읽기연구회 지음, 2013년 7월 30일, 108쪽, , 9800원, 128*188mm

5권에는 우스운 이야기들을 담았다. 동물과 사람의 어리석은 행동이 읽는 사람들을 웃게 만든다. <호랑이와 곶감>은 곶감이 무서운 동물이라고 생각한 호랑이의 이야기이다. 호랑이는 곶감을 만날까봐 다시는 마을에 오지 않는다.<거짓말 잘하는 사위>는 거짓말을 좋아한 영감의 사위가 된 총각의 이야기이다. 총각은 사위가 된 뒤에 거짓말을 좋아하는 장인의 버릇을 고친다. <장승에게 비단을 판 바보>는 처음으로 장사를 하러 간 바보 총각의 이야기이다. 장승에게 비단을 파는 바보의 행동이 우습기도 하고, 딱하기도 하다.

인티 보기 1   2   3   4  

1130420493-1.jpg
한국어읽기연구회 지음, 2013년 7월 30일, 102쪽, , 9800원, 128*188mm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49권. 행운까지도 마음 놓고 기뻐할 수 없었던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운수 좋은 날’은 김 첨지의 불행에 대한 역설적 표현이다. 누구나 먹고살기가 힘든 때였다. 인력거꾼인 김첨지는 정말 가난했다. 아내와 아이를 먹여 살리기가 힘들었다. 하루 종일 인력거를 끌고 뛰어다녔다. 그래도 돈을 벌지 못하는 날이 많았다.

그런데 어느 날 김 첨지에게 행운이 찾아왔다. 이상하게도 운수가 좋은 날이었다. 하루 종일 인력거 손님이 많았다. 아픈 아내에게 설렁탕을 사 줄 수 있을만큼 돈을 벌었다. 그러나 김 첨지는 빨리 집으로 가지 않았다. 행운이 계속되니까 오히려 불길한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인티 보기 1   2   3   4  

1130420485-1.jpg
한국어읽기연구회 지음, 2013년 7월 30일, 98쪽, , 9800원, 128*188mm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48권. 작가 현진건의 소설 두 편을 모았다.
의 주인공은 여학교의 사감인 노처녀 B이다. 그녀는 남자를 몹시 싫어해서 러브레터 받은 여학생을 괴롭힌다. 그런데 밤마다 기숙사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린다. 남자와 여자가 사랑을 나누는 소리이다. 알고 보니 그것은 B 사감이 혼자 내는 소리이다. 여학생들은 그녀를 불쌍하게 여긴다.
<빈처>의 뜻은 가난 때문에 고생하는 아내이다. 이 소설에서는 소설가가 되려는 ‘나’가 주인공이다. 나는 아내의 도움으로 겨우 살아간다. 아내는 착하고 나를 끝까지 믿어 주는 사람이다. 두 사람은 가난 속에서도 진정한 사랑을 지킨다.

인티 보기 1   2   3   4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