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8


이상은시선_앞표지_1판1쇄_ok_20131008
이상은 (李商隱) 지음, 김의정 옮김, 2013년 10월 23일, 248쪽, , , , 99원, 128*188mm

만당을 대표하는 시인 이상은. 불운한 인생을 시로 승화했기에 슬픔의 시인으로 불리기도 한다. 정치적 이상과 우정을 노래했던 중국 시단에 애정시의 아름다움을 깊이 각인했다. 기려한 표현, 정교한 구성, 섬세한 감성, 풍부한 전고, 그리고 그 밑에 흐르는 깊은 슬픔을 느껴 보자.

인티 보기 1  

동화선집_보정1
강소천 외 지음, 한국아동문학연구센터 엮음, 2013년 6월 10일, 1200000원, 128*188mm



김관식시선_초판본_앞표지_1판1쇄_ok_20131008
김관식 지음, 남승원 엮음, 2013년 10월 21일, 208쪽, , , , 16000원, 128*188mm

시인 김관식은 한학을 공부하면서 체득한 꼿꼿한 선비 정신을 문학과 삶의 출발로 삼는 한편, 오만과 기행으로 비쳐질 만큼 현실과 치열하게 대결했다. 시인이 생전에 출간한 ≪낙화집≫(1952)과 ≪김관식 시선≫(1956) 등을 저본으로 삼아 그의 시 대부분을 수록했다.

인티 보기 1  

대한민국광고회사취업패스워드_앞표지
정연욱 지음, 2013년 10월 15일, 350쪽, , , , 18500원, 153*224mm

광고회사에 입사하고 싶다면? 먼저 자질 점검부터 해야 한다. 그다음엔? 각종 시험문제를 풀고 면접 노하우를 익힌다. 합격을 보장하는 비결은 무엇인가? 근거 없는 자신감을 버리고 계획을 충실히 실행하면 된다. 광고 현장에서 뛰었던 저자가 광고인이 되기를 원하는 수험생들에게 시행착오를 겪지 않고 열정을 성공으로 이끄는 비법을 알려준다.

인티 보기 1  

온라인뉴스유료화전략
이정기 지음, 2013년 10월 15일, 520쪽, , , , 99원, 153*224mm

뉴스의 질적 가치 저하와 공적 기능 훼손은 왜 일어나나? 무료 온라인 뉴스 시장의 성장과 유료 독자 수 감소 때문이다. 언론사의 당면 과제는 무엇인가? 뉴스 콘텐츠 저작권 문제의 해결과 유통 구조 혁신이다. 신문 산업 위기의 해법은 어디에 있나? 온라인 뉴스 콘텐츠 유료화 모델의 성공적인 개발과 구현에 있다. 미디어 연구자 이정기가 뉴스 산업의 위기 요인과 정책 대안, 실행 방안을 빠짐없이 정리했다. 한국 저널리즘의 생존 전략이 일목요연하다.

인티 보기 1  

빅토르혹은권좌의아이들_희곡_앞표지_1판1쇄_ok_20131007
로제 비트라크 (Roger Vitrac) 지음, 이용복 옮김, 2013년 10월 15일, 194쪽, , , , , 99원, 128*188mm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이 작품은 프랑스 전위극의 선구자인 비트라크의 대표작이다. 빅토르라는 아홉 살 난 아이를 통해 가족의 모순과 종교의 무력함, 맹목적인 애국심을 고발한다. 또한 언어의 해체를 통해 관습화되어 공허해진 언어를 고발하고, 새로운 변형을 통해 신선한 자극을 유도한다. 2013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개막작으로 국내 관객과 만났다.

인티 보기 1  

오장환시선_초판본_개정판_앞표지_1판1쇄_ok_20131008
오장환 지음, 최호영 엮음, 2013년 10월 11일, 302쪽, , , , 99원, 128*188mm

“비애”를 통해 현대 서정시의 새 영역을 개척했다. 서정주, 이용악과 함께 ‘시단의 세 천재’로 주목받았고 모더니즘 시인과 프롤레타리아 문학가 모두가 극찬했다. 그러나 그는 북을 택했고, 한국 문학사에서 방치되었다. ‘자신의 노래가 끝나는 날 무덤에 아름다운 꽃이 피리라’라는 그의 시구처럼, 이제 그의 노래가 암담한 무덤을 딛고 아름답게 꽃필 때다.

인티 보기 1  

체호프유머단편집_소설_앞표지_1판1쇄_ok_20131002
안톤 체호프 (Антон П. Чехов) 지음, 이영범 옮김, 2013년 10월 10일, 234쪽, , , , 15500원, 128*188mm

러시아의 대문호 안톤 체호프가 고학을 하면서 돈이 필요해 썼던 유머 소설들을 모았다. 이 시기 작품들은 후기 작품에 비해 작품성이 떨어지지만, 그의 미래 문학의 자양분이 된다. 당시 그는 1년에 100편 이상씩 썼다.

인티 보기 1   2   3  

x9791130425016.jpg
김상민·김수환·김홍중·백욱인·서동진·소영현·송제숙·안천·이길호·한윤형 지음, 백욱인 엮음, 2013년 10월 07일, 432쪽, , , 99원, 128*188mm

1990년대 이후 변화한 한국 사회의 에토스를 ‘속물’과 ‘잉여’라는 두 용어를 통해 포착하고, 관련 우수 논문을 한 권의 책으로 묶었다. 대개 논문은 속물과 잉여의 탄생과 활동이 신자유주의적 정보자본주의와 맺고 있는 깊은 연관성에 주목한다. 이미 발표된 논문 가운데 우수 논문을 주제별로 선별해 일반 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학계와 대중의 만남을 새롭게 모색하는 ‘논문선’ 기획물의 첫 권이다.

인티 보기 1  

불만의도시_초판본_앞표지_1판1쇄_ok_20131002
유현종 (劉賢鍾) 지음, 노희준 엮음, 2013년 10월 4일, 388쪽, , , , 22000원, 128*188mm

1960년대의 신흥 재벌이 매판적으로 사업을 하면서 밀수, 검사 매수, 공무원 매수, 해외 재산 도피, 탈세 등을 저지른다. 1960년대에 그 유명했던 사카린 밀수 사건이 연상된다. 어느 기업 측에서 보면 약간 신경이 거슬릴 것이다.

인티 보기 1   2  

동향과전망_89호_앞표지_ok_초판1쇄_20131002
한국사회과학연구회·박영률 출판사 지음, 2013년 10월 1일, 368쪽, , , 153*224



문화연구_2-2
한국문화연구학회 지음, 2013년 9월 30일, 334쪽, , , 20000원, 153*224mm

≪문화연구≫는 사회경제적, 지리정치적, 과학기술적 변화에 대한 심층적 분석은 물론 그간 발전된 페미니즘 연구와 탈식민 연구, 예술과 인문학, 사회과학, 인지과학과 비판적 과학기술학의 제반 연구성과들을 연결한다. 이는 문화 개념의 확장과 더불어 경제와 정치의 재개념화 방향으로까지 나아간다. 무엇보다도 전 지구적 차원에서 탈근대적 주체형성을 위한 다양한 사고실험과 연구방법들을 모색하고 있다.

이번 2권 2호 기획특집은 ‘동아시아 혁명사상과 문화연구’를 주제로 강내희와 심광현, 왕샤오밍, 저우자난의 연구를 실었다. 이광석은 “‘문화융성’시대 창조산업과 문화콘텐츠 재영역화”를 통해 현실분석을 했다. 그 외 일반논문 “소년의 근대와 모험, 기획된 표상: 영화 [똘똘이의 모험]과 [똘이 장군] 시리즈를 중심으로”와 번역논문 “문화의 반전: 2008년의 ‘국민국가’와 ‘포스트80 세대’의 문제”가 실려 있다.

인티 보기 1   2  

저널리즘에서사실성
이충환 지음, 2013년 9월 30일, 322쪽, , 99원, 153*224mm

저널리즘에서 사실성은 무엇인가? 기본 토대를 이루는 개념이다. 사실성의 뿌리는? 문학의사실주의와 자연주의에서 찾을 수 있다. 왜 지금 사실성을 논하는가?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이 출현함으로써 저널리즘이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방송 현장에서 활동해온 저자는 저널리즘에서 사실성이 갖는 의미와 실제로 구현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역설하고 있다.

인티 보기 1   2  

현실을상상하다
마크 커즌스·케빈 맥도날드 (Mark Cousins·Kevin Macdonald) 지음, 최정민 옮김, 2013년 9월 30일, 674쪽, , , , 99원, 153*224mm

1890년대에서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최고로 손꼽히는 다큐멘터리 작품과 감독에 주목해 평론과 인터뷰, 기고문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다큐멘터리 역사를 건조하게 서술한 기존의 책과 비교해 이 책이 지닌 가장 큰 미덕은 다큐멘터리 영화감독인 두 저자가 제작자의 입장에서 상대적으로 간과해온 다큐멘터리의 장르적 창의성과 형식의 다양성을 부각하고자 했다.

2006년 개정판을 통해 1990년대 이후 뛰어난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관객과 평단의 호평을 받기 시작한 ‘다큐멘터리 장르의 귀환’ 현상에 주목한다. 아울러 과감한 미학적 실험과 관습의 전복을 시도한 아시아와 유럽에 걸친 동시대 다큐멘터리 영화의 최신 흐름까지 짚고 있다.

또한 1990년대와 2000년대에 걸쳐 논픽션과 픽션의 경계를 허물어뜨리고 다큐멘터리 장르를 새로운 미지의 영역으로 이끈 아시아 다큐멘터리의 놀라운 실험도 언급하고 있다. TV 화면을 점령한 리얼리티 쇼의 세계적 흐름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와 함께 제작지원이 줄고 있는 사회 정치적 다큐멘터리의 활로 모색에 대한 고민도 다루고 있다.

인티 보기 1  

나는단편영화가망하는모든이유를알고있다
로버타 마리 먼로 (Roberta Marie Munroe) 지음, 이찬복 옮김, 2013년 9월 30일, 382쪽, , , , 99원, 153*224mm

단편영화계에서는 거장이라고 할 수 있는 영화감독은 물론 프로듀서, 조명감독, 배급 전문가에 이르기까지 단편영화 제작과 배급 전 단계의 전문가들 인터뷰가 곳곳에 들어 있다. 국제 단편영화제 수상작 연출가이자 선댄스 영화제 프로그래머로 일한 저자가 자신과 동료들의 경험을 인터뷰로 정리해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런 유의 단편영화는 망한다는 사례로 시작해 시나리오 쓰기에서 프리 프로덕션, 파이낸싱, 프로덕션, 포스트 프로덕션, 배급에 이르기까지 단편영화 전 단계에서 어떻게 하면 성공할 수 있는지 그 비결을 제시하고 있다. 작지만 이 책 한 권으로 단편영화 제작과 배급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다.

인티 보기 1  

김소진단편집_초판본_앞표지_1판1쇄_ok_20130923
김소진 (金昭晋) 지음, 고인환 엮음, 2013년 9월 30일, 280쪽, , , , 16000원, 128*188mm

한국전쟁 때 포로로 잡혀 남한에 정착하게 된 아버지 이야기를 쓴 작가 김소진의 단편 일곱 편을 실었다. 1990년대 작가지만 말맛은 고금을 넘나든다. 다양한 우리말 어휘를 자유자재로 구사한 작가다. 아쉽게도 34세에 요절했다.

인티 보기 1   2   3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