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3


박소라 지음, 2004년 11월 5일, 320쪽, , , , 99원, 153*224mm

최근 10대의 인터넷 사용이나 게임 중독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어린이들의 이용 패턴과 인식에 대한 연구는 전무했다. 지은이들은 어린이들의 인터넷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이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이 기성세대의 가치관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도대체 우리가 얼마나 아이들을 모르는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대한민국에서 인터넷과 함께 자라나는 어린이들이 어떻게 하루를 보내고, 어떤 생각을 하고, 그리고 이것이 향후 이들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한 기초적인 물음에 대한 대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윤재식 지음, 2004년 11월 5일, 240쪽, , , , 18000원, 153*224mm

우리의 방송 영상 산업 진흥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어디인가? 2004년 현재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디지털 혁명이 일어나면서 방송 시장 구조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정부 역시 이런 방송 시장의 잠재력에 주목하여 영상 사업을 관리하는 움직임을 보인다. 이런 가운데 방송 영상 산업 진흥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통해 장기적인 방송 영상 산업 진흥 정책을 살펴본다.



김영덕 지음, 2004년 10월 30일, 156쪽, , , , 13000원, 153*224mm



이기현 지음, 2004년 10월 25일, 144쪽, , , , 11000원, 153*224mm



한국언론사연구회 엮음, 2004년 10월 20일, 387쪽, , , , 99원, 153*224mm, 2005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항일구국신문 「대한매일신보」의 연구논문집. 1904년 7월 18일 창간한 「대한매일신보」는 대한제국을 다시 세우려고 노력을 다하다가 대한제국과 운명을 같이 한 신문 중의 하나. 「대한매일신보」의 창간취지, 성격, 정신, 공헌, 언론사적 의의 등을 정리하기 위하여, 한국언론학회 언론사연구회에서 개최한 학술회의에서 발표한 논문들을 묶었다.

인티 보기 1  

이원조 지음, 2004년 10월 20일, 142쪽, , , , 12000원, 188*258mm

한국의 성공한 광고를 분석한 실무지침서. 우리나라에서 최근 10여 년간 성공했던 광고들을 중심으로 전략적 측면을 분석, 정리했다. 지은이가 25년간 광고 실무를 하면서 현장에서 느낀 점들을 모아 우리나라의 시장 상황에서 외국 광고이론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찾아내어 설명했다.

아울러 지은이는 ‘소강중품대안명무’라는 전략을 통해, 성공하는 광고의 크리에이티브 전략을 설명한다. 문화적 차이와 시대적 변화에 따라 크이에이티브 전략을 어떻게 수립해야하는지를 중점적으로 다룬 책.



김미라·고혜림 지음, 2004년 10월 5일, 634쪽, , , , 35000원, 188*258mm



배규한·류춘렬·이창현·김도연·손영준 지음, 2004년 10월 4일, 388쪽, , , , 22000원, 188*258mm

미디어의 발달과정을 비롯한 미디어의 존재양식과 사회적 기능, 뉴미디어의 새 문법까지를 설명한 책. 1부는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의 개념 및 사회적 의미에 대해 소개했으며, 2부에서는 개별적인 미디어 현장과 다양한 미디어 산업의 현황을 정리했다. 또한 3부와 4부에서는 매스 커뮤니케이션 뉴스의 측면을 정리하고, 인터넷을 포함한 미디어의 특성과 영향 등을 짚었다.



이동훈·윤호진 지음, 2004년 10월 4일, 214쪽, , , , 16000원, 153*224mm

한국의 TV 저널리즘이 지닌 사회적 가치와 역할에 대한 평가서. 2004년 상반기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뉴스워치팀이 작성한 6개의 보고서를 기초로 수정, 보완했다. 2004년 4월에 실시된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관련 TV 뉴스를 집중적으로 분석했으며, TV 저널리즘의 질적 도약을 위한 다각적인 모색을 시도했다. 또한 지상파 방송 3사의 봄, 가을 개편을 평가했다.



한국언론학회 지음, 2004년 10월 1일, 432쪽, , , 52000원, 176*248mm

한국언론학보 48-5호는 최근 관심을 끈 언론 현상들을 분석 연구한 논문 15편을 실었다. ‘케이블TV 시장에서의 독점과 경쟁’, ‘미국 공영 텔레비전 PBS의 위기’‘문화연구의 아포리아’ 등 여러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 연구 논문들은 우리 사회의 다양한 언론 현상을 분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언론의 역할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방석호·정상조 엮음, 2004년 9월 30일, 791쪽, , , , 45000원, 153*224mm

다양한 분야의 전공자와 실무자들이 주로 통신법과 방송법, 지적재산권법 분야의 문제들을 연구한 성과물. 1990년대의 ‘컴퓨터법’이라는 용어 대신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정보법’이라는 용어가 선진국에서 일반적인 것이 되었다. 책은 이를 수용하기 위해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에서 열린 워크숍의 결과물로, 정보통신과 그 법적 보호에 관련된 글들을 모았다.



SBS 그것이알고싶다 제작진 엮음, 2004년 9월 1일, 678쪽, , , , 38000원, 153*224mm



리더십의 기술
말린 캐로셀리 (Marlene Caroselli) 지음, 조경순 옮김, 2004년 09월 01일, 371쪽, , , 99원, 153*224mm



방일영문화재단 지음, 2004년 8월 31일, 484쪽, , , , 30000원, 188*258mm



제임스 그루닉·토드 헌트 지음, 박기순·박정순·최윤희 옮김, 2004년 8월 26일, 716쪽, , , , 99원, 153*224mm

PR의 종합적인 개념틀을 제공하는 책. PR이 하나의 조직체를 위하여 무엇을 하며, PR이 하는 일을 어떻게 측정하고 평가하는지를 설명했다. 또한 사회과학 이론들을 들어 PR 문제들을 정리했다. 1부에서는 PR의 본질, 역사와 현재의 상태를 소개했다. 또한 2부에서는 지금까지의 PR에 관한 기술과 평가에서 PR 관리에 쓰일 수 있는 지적 도구에 관해 논의했으며, 3부에서는 중간범위의 PR 프로그램을 검토했다. 이밖에도 필요한 경영과 개념적 기술들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박우용 지음, 2004년 8월 25일, 726쪽, , , , 58000원, 153*224mm

‘북한 방송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답하는 책. 북한 매스 미디어를 제대로 인식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해 북한에 관한 국내외 공개 자료와 북한 방송과 통신 분야에 관련된 일반 자료를 소개했다. 라스웰 교수의 커뮤니케이션의 모형(라스웰 모형/일명 SMCRE 모형)을 응용하여 북한 매스 미디어 영역을 설명했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