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9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인 조사_표지 최종(0213)
한국언론진흥재단 지음, 2019년 12월, 180쪽, , , 국배판



2019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 조사_표지
한국언론진흥재단 지음, 2019년 12월, 147쪽, , , 128*188mm



2019언론수용자조사_표지
한국언론진흥재단 지음, 2019년 12월 31일, 124쪽, , , 국배판



아세안및한중일미디어리포트2019_표지
김선호, 김영주, 김위근, 진민정, 권경은, 김숙, 김찬중, 박성순, 유승현, 이홍천, 최지선 지음, 2019년 12월 15일, 235쪽, , , 153*224mm



중장기적 관점에서 남북 미디어 교류협력 방안(앞표지) (1)
김선호·이호규·유홍식·김수정 지음, 2019년 11월 30일, 160쪽, , , 153*224mm



솔루션 저널리즘의 현황과 가능성(앞표지)
진민정·이준형 지음, 2019년 11월 30일, 125쪽, , , 153*224mm



컴퓨테이셔널 저널리즘과 뉴스룸 트랜스포메이션(앞표지)
김위근, 류민호, 권오성 지음, 2019년 11월 30일, 160쪽, , , 153*224mm



미디어교육의재구조화_표지
양정애·김아미·박한철 지음, 2019년 11월 30일, 180쪽, , , 153*224mm



디지털시대의잊힐권리와기사삭제_표지
박아란·조소영·김현석 지음, 2019년 11월 30일, 126쪽, , , 153*224mm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뉴스 전략_표지
진민정·이봉현·이선민 지음, 2019년 11월 30일, 185쪽, , , 153*224mm



수서제기_N표지
위징·영호덕분 (魏徵·令狐德棻) 지음, 권용호 옮김, 2021년 2월 28일, 288쪽, , , , 128*188mm

국내 최초의 수나라 역사서, ≪수서≫
대운하를 판 나라, 고구려를 침입했다가 살수대첩으로 무너진 나라, 그게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던 수나라다. 상고시대부터 한나라까지의 역사가 ≪사기(史記)≫에 담겨 있다면, 혼란했던 남북조 시대를 통일한 수나라의 역사는 ≪수서(隋書)≫에 담겨 있다.
<제기>는 수나라 제왕들의 기록이다. ≪수서≫에서 가장 앞에 있으며, 총 5권으로 이뤄져 있다.
편년체(編年體) 방식으로 기술되었다. 사건의 기술 방식이 간단명료한 것 등은 사서(史書)로서의 간결성과 엄정성을 보여 준다. 장문의 조서와 책서가 많이 인용되어 있다. 조서의 내용은 제위를 양위하는 것, 등극을 알리는 것, 신하들의 공을 표창하는 것, 출정을 선포하는 것 등 다양하다. 이러한 조서들은 원시 자료로서 상당한 가치가 있다. 고구려와 백제 관련 기록들도 많이 보인다. 정확한 날짜까지 기술되어 있어 당시 역사를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양제>편은 가히 고구려ᐨ수 전쟁 관련 자료의 보고라 할 만하다.
국내 초역이다.



윤석열국민청문회_앞표지_02243_210129
지식공작소 정세분석팀 지음, 2021년 2월 5일, 454쪽, , , 128*188mm

<윤석열 국민청문회>는 윤석열이 어떤 사람인지 궁금해 하는 국민들을 대신해 지식공작소 정세분석팀이 가상청문회를 열어 질의 응답한 내용을 엮은 책이다. 윤석열 검찰총장의 진솔한 대답을 통해 검사로서 살아온 길과 그의 신념, 원칙, 철학을 깊이 있게 알 수 있다. 울산광역시장 선거 청와대 개입 사건 등 문재인 정권의 뿌리를 흔드는 3대 사건에 대한 상세한 내용과 검찰 공소장도 들어있다. 윤석열 총장 징계를 둘러싼 공방과 법원 판결문, 국정감사장에서 국회의원들과의 설전, 은밀하지 않은 개인사까지 윤석열의 모든 것을 담아냈다. 윤석열이 국민여러분께 드리는 가상편지도 같은 형식으로 작성되었다.



학습자 주도성, 미래교육의 거대한 착각_앞표지_10106_210201
남미자 · 김경미 · 김지원 · 김영미 · 박은주 · 박진아 · 이혜정 지음, 2021년 2월 8일, 404쪽, , , 128*188mm

미래교육 담론의 키워드로 떠오른 ‘학습자 주도성(student agency)’ 개념의 사상적, 정책적 계보를 그리고 국내외 사례를 담았다. 학습자 주도성이 교사 개입을 최소화하고 소비자인 학습자의 선택권을 보장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한, 공교육에 더 나은 미래는 없다. 누가, 무엇을, 어떻게 주도하는 것이 학습자 주도성이며 그것이 왜 중요한지 묻고 답한다.



질적연구 계획에서 글쓰기까지_앞표지_10105_210129
전가일 지음, 2021년 2월 8일, 404쪽, , , 128*188mm

질적연구 과정에서 마주하게 되는 질문 58가지와 친절한 답변으로 이루어진 안내서다. 질적연구 패러다임, 연구 전통, 자료 수집·분석·해석·재현에 대한 설명과 풍부한 실제 사례는 물론 연구윤리의 문제와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의 연구방법론까지 담겨 있다. 솔직하고 구체적인 질문과 답변으로 이루어진 이 책은 집단지성의 힘을 보여 줄 것이다.



글로벌미디어플랫폼과뉴스_표지
박아란, 양재규, 오현경 지음, 2019년 10월 30일, 104쪽, , , 153*224mm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과 저널리즘(앞표지)
오세욱, 송해엽 지음, 2019년 11월 30일, 166쪽, , , , 153*224mm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