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5


불꽃의여자나혜석_앞표지_ok_20140205
유진월 지음, 2014년 2월 13일, 92쪽, , , , 7800원, 128*188mm

13장으로 구성되었다. 근대 여성 1세대로 식민지 시대를 살았던 신여성 나혜석의 인생을 결혼 무렵부터 죽음까지 연대기적으로 다루었다.

인티 보기 1  

철안붓다_앞표지_ok_20140205
조광화 지음, 2014년 2월 13일, 232쪽, , , , 12800원, 128*188mm

프롤로그와 3부 16장, 에필로그로 구성된 작품이다. 25세기 폐허가 된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인간 복제에 따른 문제를 불교적 세계관에 비추어 성찰했다.



통일익스프레스_앞표지_ok_20140205
오태영 지음, 2014년 2월 13일, 144쪽, , , , 10800원, 128*188mm

오태영의 ‘통일 연극 시리즈’ 첫 작품으로, 자칫 무거울 수 있는 통일 문제를 새로운 상상력으로 코믹하게 다루고 있다. 1999년 이상우 연출로 대학로 정보소극장에서 초연되었다.



느낌_극락같은_앞표지_ok_20140205
이강백 지음, 2014년 2월 13일, 122쪽, , , , 10800원, 128*188mm

불상 제작을 둘러싼 두 인물의 갈등을 통해 형식과 내용이라는 예술관의 갈등과 화해를 그린 작품이다.



남자충동_주먹쥔아들들의폭력충동_앞표지_ok_2020140205
조광화 지음, 2014년 2월 13일, 182쪽, , , , 10800원, 128*188mm

프롤로그와 2막으로 구성된 작품이다. 작가가 ‘주먹 쥔 아들들의 폭력 충동’이라는 부제를 붙인 데서 보듯 한국적 가부장제 안에서 발현되는 남자들의 폭력 충동을 생생한 전라도 사투리와 연극성으로 그려 냈다.



날보러와요_앞표지_ok_20140205
김광림 지음, 2014년 2월 13일, 154쪽, , , , 10800원, 128*188mm

화성 연쇄살인 사건을 소재로 진실의 모호함이라는 인식론적 주제를 다룬 작품이다. 19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티 보기 1  

작은할머니_앞표지_ok_20140207
엄인희 지음, 2014년 2월 13일, 96쪽, , , , 7800원, 128*188mm

‘그 여자의 소설’이라는 부제가 달린 8장 희곡이다. 축첩이 허용되던 환경에서 씨받이로 들어온 ‘작은댁’의 삶을 연대기로 제시해 한국 근현대사 중턱에서 여성이자 어머니로서 삶이 어떠했는지 보여 주며 그에 대한 성찰을 유도한다.

인티 보기 1  

영월행일기_앞표지_ok_20140205
이강백 지음, 2014년 2월 13일, 126쪽, , , , 10800원, 128*188mm

500년 전과 현재 시공간을 중첩함으로써 억압으로부터 자유를 회구하는 인간의 갈망을 심도 있게 극화한 작품이다.



문제적인간_연산_앞표지_ok_20140205
이윤택 지음, 2014년 2월 13일, 134쪽, , , , 10800원, 128*188mm

폭군으로 알려져 있던 연산군의 인간적인 면모를 부각해 어미를 잃은 아들, 제의를 주재하는 무당으로서 연산을 전면에 내세운 작품이다. 연산군이 현재와 같은 평가에 이르게 된 이유를 개인의 성향보다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 자신을 왕으로 인정하지 않는 신하들, 성왕의 그늘에 가려 아무런 영향력도 발휘하지 못했던 왕으로서 문제가 겹친 고뇌에서 찾는다는 점이 흥미롭다.



끽다거_앞표지_ok_20140205
최현묵 지음, 2014년 2월 13일, 130쪽, , , , 10800원, 128*188mm

제19회 서울연극제 공식 참가작으로, 만해 한용운의 삶을 다뤘다. 그러나 보통의 일대기적 작품들과는 달리 이 작품은 한용운의 삶을 독특한 상징체계를 통해 그려 낸다.



이성계의부동산_앞표지_ok_20140205
이근삼 지음, 2014년 2월 13일, 120쪽, , , , 10800원, 128*188mm

복지원을 배경으로 물신주의 세태를 풍자하고 소외된 노년의 삶에 대한 이해를 담아낸 작품이다. 극중극 기법을 활용해, 삶에서 비롯한 고통을 연극이라는 환상적 통로로써 극복하고자 하는 한 노인을 형상화한다.



사팔뜨기선문답_앞표지_ok_20140205
윤영선 지음, 2014년 2월 13일, 74쪽, , , , 7800원, 128*188mm

1994년 발표된 윤영선의 작가, 연출가 등단작이다. 극단 연우가 공연했다. 작가의 분열된 의식, 내면의 목소리를 상징하는 이미지 1, 2, 3, 4, 5, 6이 등장해 장면에 따라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구멍의둘레_앞표지_20140204
정우숙 지음, 2014년 2월 13일, 122쪽, , , , 10800원, 128*188mm

시각장애인에게 낭독 봉사를 하는 명인을 중심으로 성, 가족, 종교의 의미를 탐색한 작품이다.



피고지고피고지고_앞표지_ok_20140205
이만희 지음, 2014년 2월 13일, 170쪽, , , , 10800원, 128*188mm

왕오, 천축, 국전이라는 세 인물의 앙상블을 통해 철학적 주제를 노련하게 유머로 이끌어 간 작품이다. 1993년 국립극단이 공연했으며, 1997년 ‘다시 보고 싶은 연극 시리즈 제1탄’으로 재공연할 당시 국립극단 최초로 연장 공연을 가져 화제가 되었다. 연출은 강영걸이 맡았다.



길떠나는가족_앞표지_ok_20140205
김의경 지음, 2014년 2월 13일, 116쪽, , , , 10800원, 128*188mm

한평생 끈질기게 소를 그리며 민족 미술을 지향했던 화가 이중섭의 삶을 극화한 작품이다. 예술가로서 순도적(殉道的)인 자세를 견지했던 이중섭의 모습을 그렸다. 제목인 ‘길 떠나는 가족’은 그가 1954년에 그린 그림 제목이기도 하다.

인티 보기 1  

격정만리_앞표지_ok_20140204
김명곤 지음, 2014년 2월 13일, 164쪽, , , , 10800원, 128*188mm

1991년에 공연된 <격정만리>는 <불감증>, <점아 점아 콩점아>, <아버지의 해방 일기> 등을 통해 극단 아리랑이 추구해 왔던 분단의 상처와 그 모순 극복을 위한 예술적 작업을 한층 심화한 작품이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