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4


시나리오걸작선_055_산산이부서진이름이여_앞표지_2판1쇄_ok_20171130
고은(원작), 정지영 · 조영철(각색) 지음, , 108쪽, , , , 99원, 128*188mm



시나리오걸작선_100_선택_앞표지_2판1쇄_ok_20160920
이맹유 지음, 2005년 9월 30일, 134쪽, , , , 99원, 128*188mm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자유란 감옥 안에 있었습니다.”라고 말하는 비전향 최장기수 김선명의 실화를 바탕으로 엮은 <선택>은 이 땅에서 아무것도 선택할 수 없었던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무엇보다 영화의 매력은 인물들에 대한 꼼꼼한 조사와 자료준비를 거쳐 오랜 시간을 녹여 내었다는 점이다. 한 인물의 생애에 집중한 보기 드문 시나리오이기도 하다. 감옥이라는 좁은 공간에서 벌어지는 생생한 에피소드의 수록도 주목해야 할 시나리오적인 요소다.



이재수의난[시나리오걸작선086]_앞표지_32802_180529
현기영(원작), 박광수 ․ 오승욱 ․ 도성희 ․ 심재현(각색) 지음, 2018년 6월 15일, 164쪽, , , , 99원, 128*188mm

제주민란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통해 한국의 역사를 비판적 리얼리즘의 방법론과 역사의식으로 형상화했다. 민란의 전개 과정은 압축적으로만 제시되고, 인물들의 심리나 동기화는 모호하며, 영화 속의 시점들은 파편화된다. 효수대 위에 걸린 이재수의 머리 위로 까마귀가 날아 앉고 현재의 제주도의 모습이 익스트림 하이앵글로 펼쳐지면서 끝나는 이 영화는 역사적 사건을 충실하게 서사화하는 것보다는 그 비극성과 음울한 의미를 이미지화하는 데에서 더 빛을 발한다.



중광의허튼소리[시나리오걸작선047]_앞표지_32801_180529
최금동 지음, , 146쪽, , , , 99원, 128*188mm

실존 인물인 중광의 상식을 초월한 기행을 그리고 있다. 홀어머니 품에서 자라면서 그림 그리기를 좋아했고 통도사 구하스님으로부터 삭발수계하고 법명을 중광이라고 한 뒤에도 그림 그리기를 쉬지 않았다. 참선을 통해 자아완성을 향해 정진했다. 중광의 선화집이 미국에서 출판되어 센세이션을 일으키지만 인간의 근원적 고독의 위치로 올라온 중광은 허튼소리를 하며 지평선 멀리 사라져 간다. 공연윤리위원회 검열에서 열한 군데나 커트해 김수용 감독이 은퇴 선언까지 하게 만든 작품이기도 하다.



블랙잭[시나리오걸작선083]_앞표지_32800_180529
한현근, 박일서 지음, 2018년 6월 15일, 164쪽, , , , 99원, 128*188mm

정지영 감독의 <블랙잭>은 모두들 코미디가 아니면 멜로드라마를 선택하는 1990년대에 보기 드문 하드보일드와 미스터리 느와르의 장르다. 세기말 대중의 미분화 앞에서 더 이상 사회와 역사의 틀을 질문하는 거대 담론은 유효하지 않으며 이제는 내면으로 시선을 돌려야 한다는 태도를 취한다. 사회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실주의적 태도를 견지하는 것보다는 그 반대로 영화를 닮아가는 현실을 따라잡기 위하여 차라리 영화에 충실해지는 것이 더 현실의 모순을 드러낼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인지도 모른다.



우리 영화를 위한 대화 모임 엮음, 2005년 9월 30일, 214쪽, , , , 99원, 153*224mm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양윤모회장과 신강호교수가 주축이 된 ‘우리 영화를 위한 대화 모임’에서 영화감독 이만희의 대표작 ‘만추’를 문헌으로 복원했다. 영화 ‘만추’의 제작에 참여했던 현존하는 모든 이를 대상으로 인터뷰와 조사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두 권의 책 <만추, 사라진 영화>와 <만추, 이만희>를 펴냈다.

<만추, 사라진 영화>는 영화 ‘만추’와 관련되어 존재하는 모든 사진(연속 스틸사진 포함)을 수록한 영상집으로, 가히 영화 ‘만추’의 책으로의 복각판이라 할 만하다. <만추, 이만희>는 다양한 제작기록과 7편의 논문을 수록한 책으로, 영화 ‘만추’의 ‘구술사’에 해당한다.

영화 ‘만추’는 필름으로 남아있지 않아, 2005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열린 이만희 회고전에서 상영되지 못하였다. 이 두 권의 책은 ‘만추’를 다른 매체로나마 복원하고자한 노력의 결실로, 이만희감독과 ‘만추’의 전 제작진, 출연진에게 헌정되었다.



시나리오걸작선_089_물고기자리_앞표지_2판1쇄_ok_20170731
김형태 지음, 김형태 감독 지음, 2005년 9월 30일, 138쪽, , , , 99원, 128*188mm

<물고기자리>는 ‘애련’이라는 여성의 ‘죽음에 이르게 되는 사랑의 고통’이라는 궤도를 따라가면서 낭만적 사랑의 감정이 어떻게 병적 집착과 자기 파괴로 바뀌게 되는지를 보여 준다. 1990년대 이후 한국 멜로 영화의 흐름에서 두드러진 경향이 ‘죽음’이라는 모티브와 ‘가족의 부재’ 그리고 ‘남성의 비극’이라고 했을 때, <물고기자리>는 그 자장 안에서 머물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 자장을 벗어남으로써 변주를 이루어 낸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엮음 지음, 2005년 9월 30일, 133쪽, , , , 20000원, 153*224mm



앤 그레고리 (Anne Gregory) 지음, 차희원 옮김, 2005년 9월 30일, 224쪽, , , , 18000원, 153*224mm

이 책은 PR 현장에 몸담아온 전문가의 통찰력과 식견을 통해, PR 캠페인 기획과 관리에 필요한 복잡한 지식과 기술의 핵심역량을 단순 명쾌하게 접근한 PR 캠페인의 모든 것을 담은 종합지침서다.



캐서린 세다 (CATHERINE SEDA) 지음, 홍원의 옮김, 2005년 9월 30일, 285쪽, , , , 99원, 175*248mm

이 책에는 단편적으로만 언급되어 왔던 검색엔진의 활용 노하우에 대해 검색 광고의 유형별 이해와 활용법, 특별한 검색엔진들, 광고성과에 대한 평가과정, 그 밖에 운영에 있어 주의해야 할 사항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인 시야에서 관련 이론과 실무사례들을 풍부하게 다루고 있다.

인티 보기 1  

제임스 커런 (James Curran) 지음, 김예란·정준희 옮김, 2005년 9월 30일, 457쪽, , , , 99원, 153*224mm, 2006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이 책은 미디어와 사회의 관계에 대한 핵심 문제를 제기한다. 미디어의 힘은 얼마나 큰가? 누가 미디어를 통제하는가? 미디어가 사회 속에서 권력과 맺고 있는 관계는 어떠한가? 현대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질문들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을 개진하는 책.



8990490766-1.jpg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엮음, 2005년 9월 27일, 288쪽, , , , 30000원, 188*258mm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이 최근 국내외 음악 산업의 현황과 국내 음악 소비자의 동향, 그리고 음악산업 관련 법 및 정책 등 2004년까지의 음악산업을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한 책.

최근 음악 산업은 MP3와 같은 디지털 매체의 등장에 따라 점차 음반 중심에서 음원 중심의 산업으로 변화해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음악 산업과 타장르 산업의 결합으로 음악산업의 확대 및 융.복합화가 본격화 되기 시작했다.

250여개의 도표와 그림을 포함해 국내 음악 산업의 역사와 구조, 규모 등과 국내 음악 산업 사업체들의 현황을 설명하고 있다. 미국, 일본, 중국의 음악 산업과 최근 음악소비자들의 인식, 소비성향을 자세히 분석했다. 한국 음악 산업의 오늘과 내일을 들여다 볼 수 있다.



정책홍보혁신포럼 엮음, 2005년 9월 27일, 208쪽, , , , 23000원, 176*248mm

정부기관의 온라인 정책홍보분야의 혁신적 시도들에 대한 체계적 정리와 향후 적용 가능한 매체에 대한 규정하고, 기존 포털 등과의 연계 홍보 등을 세분화하여 정리했으며, 온라인 정책 홍보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규정했다.

1부에서는 온라인 정책홍보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며 온라인 정책홍보 활동을 분석 설명하고 있다. 2부에서는 보유 매체 활용 방안으로서 정책고객서비스와 국정브리핑, 온라인 여론수렴, 온라인 쟁점관리 활동과 웹캐스팅과 기관 운영 포털사이트 구축 활용, 온라인 이벤트, 웹진 등의 활용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3부에서는 지식검색, 정책 키워드 활용, 미니홈피, 블로그 등의 포털사이트를 활용하는 방안과 모바일 홈페이지와 위성 DMB, SMS 같은 모바일과 기타 매체의 활용 방안에 대해 말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인터넷 언론관계 방안으로서 인터넷 언론의 특성과 인터넷을 통한 언론관계 발전 방안을 설명한다.

인티 보기 1  

에버렛 M. 로저스 (Everett M. Rogers) 지음, 김영석·강내원·박현구 옮김, 2005년 9월 27일, 520쪽, , , , 99원, 153*224mm, 2006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개혁 확산>은 총 4판이 나왔는데 대략 10년 간격으로 발행되었다. 1962년, 1971년, 1983년, 1995년 발행된 이 책은 시기마다 새로운 사회현상을 추가하여 다루고 있다. 초기’신품종’이었던 ‘개혁’의 내용은 이제 에이즈 예방, 인터넷, 신기술, 테러리스트 네트워크, 기업의 마케팅, 정부정책에 이르기까지 사회의 중요한 문제들을 망라하고 있다.

인티 보기 1   2   3  

한국주관성연구학회 지음, 2005년 9월 27일, 153쪽, , , , 21000원, 153*224mm

Q 방법론은 윌리엄 스티븐슨(William Stephenson)에 의해 창안된 지 벌써 65년 이상이 지난 지금 새로운 방법론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Q 방법론이 대안적 방법론으로서 여러 분야의 학자 등에 의해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연구들이 행해지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광고와 미디어, 세대와 건강습관, 사이버매체와 수술환자의 상태의 관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주관성연구와 Q 방법론의 실체를 접할 수 있다.



권상희·김덕모·김정탁·류한호·박기순·박주하·박현순·백선기·송해룡·윤석년·정회경·한은경·황용석 지음, 2005년 9월 23일, 342쪽, , , , 99원, 188*258mm

이 책에서는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함께 확장되어온 제반 커뮤니케이션 양상을 ‘미디어와 사회’, ‘미디어의 이해’,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이라는 포괄적 맥락에서 살펴본다.

서론에서 인간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라는 관점에서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적 토대와 개념, 모형 그리고 인간 커뮤니케이션 관련 제반 이론을 조망하고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발전 방향과 미래를 전망함으로써 인간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 책은 지난 1981년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 부임하여 2004년에 정년퇴임한 성균관대학교 종신명예교수인 박기순의 정년을 기념하여 기획되었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