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6


브라이언 아놀드·브렌던 에디 (Brian Arnold·Brendan Eddy) 지음, 이윤진 옮김, 2005년 7월 10일, 232쪽, , , , 20000원, 210*260mm

괜찮은 아이디어를 흥미진진한 이야기로 바꾸는 비주얼 스토리텔링의 개념, 기술, 도구를 다루는 책이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책과 영상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들이 직접 제작한 애니메이션을 보고 책을 읽으면 비주얼 스토리텔링의 원칙과 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각 장마다 학습목표와 핵심용어, 복습문제와 연습문제가 실려 있어 교재로 쓰기에도 적합하다.

인티 보기 1   2  

김구철 지음, 2005년 7월 10일, 238쪽, , , , 17000원, 153*224mm

TV 기자나 리포터가 데스크에서 원고 반려나 대폭 개정 지시를 받지 않고 자신이 쓴 기사를 방송하려면 대략 5년 정도의 경험이 필요하다고 한다. 이 책은 취재 요령과 논리적인 글쓰기에 대한 간략한 설명에서 출발해 그 시간을 단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인컴브로더 엮음, 2005년 7월 8일, 130쪽, , , , 13000원, 153*224mm

PR과 리서치를 어떻게 결합하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지 알려 주는 PR 전략서다. PR 영역에서 활용 가치가 높은 다양한 리서치 방법론을 우리 현실에 맞게 활용하는 방법과 수준을 PR 현장 실무자들의 고민에 맞게 보다 생생하게 보여 준다.

인티 보기 1  

이재경 지음, 2005년 7월 6일, 224쪽, , , , 22000원, 153*224mm

30여 년 동안 일선 방송현장에서 촬영을 해 온 저자가 자신의 촬영 경험과 한국방송공사 연수원에서 카메라 기법에 관해 위탁 교육을 하던 강의 노트, 그리고 단국대학교, 서강대학교 방송 아카데미 학생에게 알려 주던 경험을 토대로 후배들에게 자신의 노하우를 전수하는 책이다.

1부에서는 촬영 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점과 대처 방안에 관해 설명한다. 기술적으로 알기 쉽게 영상 구성 기법에서 촬영 기법, 드라마, 다큐멘터리 제작 기법 등을 저술했다. 2부에서는 1970년대의 방송 환경과 오늘에 이르는 제작 환경에 대해 경험하고 느껴왔던 제작 상황과 제작 기법을 세부적으로 기술했다.



김성재 지음, 2005년 7월 5일, 126쪽, , , , 99원, 153*224mm

정보,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모험의 원론적 개념을 체계이론과 정보사회의 맥락에서 간략히 언급하고 체계이론을 구성주의의 맥락에서 살펴보되, 커뮤니케이션으로 이루어진 사회적 체계와 이 커뮤니케이션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상징적으로 일반화된 매체’, 커뮤니케이션의 왜곡, 체계 분화와 ‘모험 커뮤니케이션’의 개념들을 다룬다.



김희연·김정우 지음, 2005년 7월 5일, 263쪽, , , , 99원, 153*224mm

이 책에서 제시하는 열 가지 방법론을 통해 광고를 만드는, 그리고 광고 만들기를 꿈꾸는 사람들이 소비자에게 접근하는 길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인티 보기 1  

송해룡·김원제 엮음, 2005년 7월 5일, 237쪽, , , , 99원, 153*224mm

선진국에서는 이미 1990년대부터 다양한 학문적 관점에서 연구되고 있는 위험. 그 가운데 커뮤니케이션학적 관점은 지대한 관심을 모으며 자연 재난, 환경 재난, 기술 재난 같은 위험 현상과 미디어의 상호 관계를 연구하는 핵심적인 방법이 되고 있다.

위험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커뮤니케이션학적 측면의 새로운 연구 영역은 여러 가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구조의 기능과 위험에 대한 보도와 수용의 관계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둔 연구 방법이다.

위험사회의 여러 징후를 보이는 우리 사회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건강하고 경쟁력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처방을 제시하는 학문적 방법으로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접근 방법을 탐구하는 이 책은,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기초를 일반 독자, 미디어 종사자, 공무원, 기업 운영자 등에게 알리는 목적에서 저자들의 논문과 관련 논문들을 선별해 엮었다.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엮음, 2005년 6월 30일, 179쪽, , 20000원, 153*224mm



중앙일보 어문연구소 지음, 2005년 6월 30일, 297쪽, , , , 17000원, 153*224mm

실생활과 관련된 우리 말과 글 가운데 잘못 알고 있거나 헷갈리기 쉬운 것을 골라 알기 쉽게 설명했다. 2003년 3월부터 약 2년간 중앙일보에 연재되었던 ‘우리말 바루기’를 바탕으로 꾸민 책. ‘우리말 바루기’ 집필을 통해 올바른 한국어를 소개한 중앙일보 어문연구소는, 제16회 한국어문상 대상을 수상했다.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외국어, 생활 속에 파고든 일본말이나 일본식 한자어도 함께 다루었다. 또 아름다운 우리말을 찾아 소개했으며, 문장을 올바르게 작성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각 페이지에는 설명이, 왼쪽 페이지에는 관련 사진이 실려 있는 구성이다.

인티 보기 1   2  

한국언론학회 엮음 지음, 2005년 6월 30일, 399쪽, , 52000원, 188*258mm



평범한 팀장이 비범한 성과를 내게 하는 성과 관리의 기술
로버트 바칼 (Robert Bacal) 지음, 유규창 옮김, 2005년 06월 29일, 298쪽, , , 99원, 153*224mm



사장님 당신이 문제였어
브라이언 L. 조이너 (Brian Joiner) 지음, 이창우 옮김, 2005년 06월 29일, 374쪽, , , 99원, 153*224mm



요시미 슌야·와카바야시 미키오·미즈코시 신 지음, 오석철·황조희 옮김, 2005년 6월 27일, 208쪽, , , , 14000원, 153*224mm

세 명의 저자들은 이러한 관점에서 휴대폰이 일반화되기 이전의 유선전화를 중심으로 전화가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어 가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전화의 ‘자명성’의 문제, ‘전화가 없는 사회’에서 ‘전화가 있는 사회’로의 전환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등을 실례를 통해 분석한다.

익명성, 시간과 공간의 부재, 타자의 인식, 가족 간의 관계 형성, 리얼리티의 문제 등등. 현재 인터넷 공간을 분석하는 데도 중심적인 이러한 테마를 가장 ‘원시적’인 미디어라 할 수 있는 전화를 통해 바라봄으로써 생각의 틀을 넓힐 수 있도록 돕는다.

인티 보기 1   2  

한국케이블TV 방송협회 엮음, 2005년 6월 20일, 507쪽, , , , 28000원, 178*243mm

출범 10년을 맞아 케이블 산업이 지나온 우여곡절의 순간들을 생생하게 기록한 책이다. 1990년부터 시작된 케이블TV 준비기부터 통합방송법 시대, 방송통신 융합의 현재 시기 까지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술하고, 나아가 방송통신 융합시대를 주도할 케이블TV의 미래를 모색한다.

부록으로는 케이블 회사들의 경영현황과 매출액, 인력 변화, 프로그램 수출입,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지역채널 운영 등 다양한 통계자료들을 모아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했다.

특히 지난 10년 동안 케이블TV가 배출한 게임해설가를 비롯, 광고, 마케팅, 앵커, 제작, 인터넷서비스 등 31개 분야별 현장 인력들의 인터뷰를 곳곳에 수록해 실질적인 역사적 기록 이외도 산업현장 곳곳의 목소리를 담아냈고, 500장 이상의 관련사진을 수록해 생동감을 살린 것이 특징이다.



김원제 지음, 2005년 6월 4일, 250쪽, , , , 99원, 153*224mm

우리를 웃게 때론 울게 하는 스포츠. 우리는 선수들의 동작 하나하나에 열렬히 환호하거나 혹은 야유를 내뱉는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이렇게 스포츠에 열광하는가? 스포츠란 무엇인가?

저자는 오늘날 스포츠가 TV등의 미디어와 연계하여 미디어스포츠라는 양식을 취하게 되고,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자리잡았다고 말한다. 오늘날 미디어스포츠는 스포츠와 수용자들의 삶을 매개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이자 문화적 현상이라는 것.

변해 가는 미디어 스포츠의 환경 속에서 스포츠, 미디어와 인간/사회의 관계를 보다 과학적으로 인식하고, 그 인식토대에서 미디어스포츠 현상에 대한 심층적 논의가 필요함을 말하는 책은, 미디어스포츠가 갖는 역사적이고 사회학적 의미를 통찰함으로써, 스포츠와 관련한 커뮤니케이션 및 문화현상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구본권 지음, 2005년 6월 4일, 179쪽, , 99원, 153*224mm

인터넷신문과 인터넷 여론공간에서 어떤 뉴스와 정보가 주요하게 처리되고 신뢰를 얻게 되는가를 살펴보는 책이다. 이용자의 쌍방향적 참여를 끌어내고자 하는 인터넷신문에서 주요한 기사로 취급받는 것은 어떤 특성을 지닌 아이템인지, 또 인터넷에서 고유한 뉴스 가치가 있다면 그 기준은 어떻게 형성되는지 그 과정과 배경을 들여다본다.

인티 보기 1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