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


후산시문선집_앞표지
정재화 (鄭在華) 지음, 정우락 옮김, 2022. 8. 28, 352쪽, , , , , 128*188mm

지만지한국문학의 <지역 고전학 총서>는 서울 지역의 주요 문인에 가려 소외되었던 빛나는 지역 학자의 고전을 발굴 번역합니다. ‘중심’과 ‘주변’이라는 권력에서 벗어나 모든 지역의 문화 자산이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지역 학문 발전에 이바지한 지역 지식인들의 치열한 삶과 그 성과를 통해 새로운 지식 지도를 만들어 나갑니다.
 
 
근대를 넘어선 현대에 한문학이 가지는 의미
후산(厚山) 정재화(鄭在華, 1905∼1978)가 활동한 시대는 20세기, 근대에서 현대로 넘어오는 시점이다. 조선 시대가 마감되고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이 발발했으며, 식민지 국가들이 독립을 하고 다시 공산주의와 자본주의의 대립을 거쳐, 세계화 시대로 들어섰다. 농업 사회는 몰락하고, 기계, 전기, 컴퓨터로 이어지는 산업 혁명이 급속히 전개된 시점에 한문학이란 대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정재화는 근대를 살았지만 근대를 거부했다. 일제에 저항했고 창씨개명과 단발령에 저항했으며, 산간벽지까지 들어온 전기를 거부하고 한글 전용 시대에 한자로 의사소통을 했다. 저자 정재화를 비롯해 이 책에 언급된 유림들은 모두 어떻게 보면 시대의 변화에 따라가지 못하고 낙오한 이들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의 흔적은 오늘날에 이어진다. 이들은 대학의 1∼2세대 한문학과 교수들을 직·간접적으로 배출했으며, 이들이 남긴 아직 정리되지 못한 자료들이 오늘날 지역학 연구의 중요한 실마리가 되기 때문이다.
 
퇴계학파와 남명학파, 성호학파를 잇다
후산 정재화의 학문의 연원은 13대조인 한강 정구로 거슬러 올라간다. 정구는 영남의 양대 거두 퇴계 이황과 남명 조식을 스승으로 섬기며 양대 학파를 회통했다. 정재화는 한강 정구로부터 한훤당 김굉필, 정암 조광조, 회재 이언적, 퇴계 이황으로 이어지는 학통을 이어받는다. 또한 정재기와 정종호를 스승으로 모시면서 밀양을 중심으로 한 성호학파와도 깊은 교유를 나누게 되니 영남의 주요 학파를 수렴했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에는 이러한 영남의 주요 학자들과의 교유 관계가 잘 나타나 있다.
 
전통 문화와 학문을 통해 고도(古道)를 회복하다
근대의 문명과 이기를 거부하면서 정재화가 지키려 했던 것은 과연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전통적 가치, 고도(古道)다. 그는 혼란과 고통의 시대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잃어버린 옛 도를 되살리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했다. 그가 전통 문화와 학문을 지켜 나갔던 것은 지나간 시대의 습관에 천착한 것이 아니라, 옛 선인들이 추구한 올바른 도를 되찾기 위한 노력이었다. 또한 유림단이 벌인 파리 장서 운동은 그에게 도를 바탕으로 한 “행의(行義)”를 깊이 자각하게 했다. 그의 스승 정재기는 일제에 항거해 파리 장서에 서명 후 자결했고, 정종호는 장서를 전달해 옥고를 치렀다. 이러한 스승들의 모습을 본 정재화는 일경의 단발령에 맞서 싸우기도 하고 두 차례에 걸쳐 만주 망명을 기도하기도 한다. 심학으로 자신의 심성을 수양하고, 예학으로 사회적 질서를 회복하는 한편, 의를 실천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 책에는 정재화의 시 108제 170수와 문 세 편을 실었다. 전체 시 중 만사가 70% 이상을 차지하는데, 도의를 함께하고 교유를 나눴던 동지들과의 이별을 특히 안타까워했기 때문이다. 이 만사들을 통해 당대 영남 지역 학자들의 교유 관계를 살필 수 있으며 그의 시문을 통해 그의 지향 의식과 자세를 살필 수 있다. 세상과 어긋난 자신을 절감하며 전통 학문을 고수하는 것으로 불화의 시대를 극복하고자 했던 한 전통 지식인의 발자취를 통해 오늘날 우리가 다시 찾아야 할 도와 우리가 나아가야 할 지향점을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회봉화도시선_앞표지
하겸진 (河謙鎭) 지음, 이영숙 옮김, 2022. 8. 28, 252쪽, , , , , 128*188mm

한문학의 종식기, 현대 한문학의 불을 밝히다
조선 후기에 태어나 대한 제국기, 애국 계몽기를 거쳐 일제 강점기를 살았던 회봉 하겸진. 그는 1700여 수에 가까운 한시를 남겼으며, 우리나라 한문학사의 마지막 시화집이라 할 수 있는 ≪동시화(東詩話)≫를 저술했고 화도시, 수미음(首尾吟), 집자시(集字詩), 회문시(回文詩) 등 다양한 형식의 시를 지어 일제 강점기 종식되어 가는 한문학의 장을 풍성하게 했다. 그가 도연명의 시에 화운한 화도시를 모았다. 일제 강점기, 꺼지지 않은 우리 한문학의 자취를 살필 수 있다.



죽오시선_앞표지
이근오 (李覲吾) 지음, 엄형섭 옮김, 2022. 8. 28, 210쪽, , , , , 128*188mm

18세기 울산과 조선을 이해하는 프리즘
18세기 울산을 대표하는 학자 죽오 이근오의 시 73수를 엮었다. 울산 최초의 대과 급제자로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나 세가 약한 영남 출신으로서의 한계를 느낀 그는 낙향해 학문에 힘쓰는 한편 후진 양성에 매진한다. 지역 선비가 느낀 좌절과 이에 대한 극복, 조선 후기 울산 지역의 모습과 영남파 학맥의 연원을 살필 수 있다.



이재시선1_앞표지
황윤석 (黃胤錫) 지음, 이상봉 옮김, 2022. 8. 28, 310쪽, , , , , 128*188mm

18세기 호남 선비 황윤석의 일기 ≪이재난고≫ 가운데 중요한 시들을 가려 묶었다. 그는 10세부터 세상을 떠나는 63세까지 53년간 총 57책에 달하는 일기를 기록했는데, 그 가운데 약 1630제의 시가 들어 있다. 호남을 중심으로 한 18세기 지방의 세태와 도시적 면모를 갖추어 가고 있던 한양의 분위기를 함께 읽을 수 있다. ≪이재 시선≫ 첫 권인 이 책에는 황윤석의 가장 젊은 시절의 작품 99수를 수록했다. 과거 공부를 통한 입신출세와 학자로서의 삶 사이에서 치열하게 고뇌하는 청년 황윤석을 만날 수 있다.



양포유고_앞표지
최전 (崔澱) 지음, 서미나 옮김, 2022. 8. 28, 254쪽, , , , , 128*188mm

양포(楊浦) 최전(崔澱)은 율곡 이이의 제자로서 신동으로 유명했고 신흠, 이항복, 이정귀는 그의 시를 흠모해 이백에 견주었다. 명나라에서도 그의 시집은 절찬을 받았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그를 모른다. 22세에 요절해 자취가 끊긴 조선의 천재 시인을 다시 찾았다.



서천시문선집_앞표지
조정규 (趙貞奎) 지음, 전설련 옮김, 2022. 8. 28, 190쪽, , , , , 128*188mm

1910년, 한일 합병 조약으로 나라를 빼앗기고 봉건과 근대, 개화와 수구 세력이 대립하는 가운데 지역 선비 조정규는 유학을 통해 국권 회복을 이루고자 했다. 서천 조정규의 문집 가운데, 그가 중국을 다녀오며 기록한 일기, 시, 필담, 편지글, 제문을 골라 소개한다. 근대 전환기의 혼란한 상황 속에서, 유학자로서의 현실 인식과 대응, 지역 학자들의 인맥 관계, 동아시아에 대한 인식을 읽어 낼 수 있다.



목재시선_앞표지
홍여하 (洪汝河) 지음, 최금자 옮김, 2022. 8. 28, 256쪽, , , , , 128*188mm

17세기 조선 학자 목재 홍여하의 시 97수를 엮었다. 그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명의 멸망과 청의 등장이라는 대격변 속에서도 영남의 학풍을 진작하고 계승하기 위해 애썼다. 혼란의 시대에 올바른 학자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애쓴 당대 지식인의 고민이 시 속에 고스란히 드러난다.



금강산관상록_앞표지
구하 (九河) 지음, 최두헌 옮김, 2022. 8. 28, 290쪽, , , , , , 128*188mm

승려의 눈으로 본 금강산
근대 통도사의 선승이자 시승이었던 구하 스님의 금강산 여행기와 관상시들을 소개한다. 경승 유람으로 일관된 유학자들의 기록과는 달리, 금강산을 수행의 근원이자 치유의 공간으로서 바라보는 승려의 시각은 귀중한 자료가 된다. 구하 스님은 금강산 내의 각 사찰과 소장 유물, 부속 암자 등을 상세히 밝히고 순례자의 눈으로 바라본 금강산의 모습을 경건하고 엄숙하게 묘사한다. 그의 관상시에서는 조선 불교 시승의 맥을 이은 구하의 풍부한 시학과 한문학적 소양이 잘 드러난다.



관복암시고_앞표지
김숭겸 (金崇謙) 지음, 노현정 옮김, 2022. 8. 28, 608쪽, , , , , 128*188mm

19세로 요절한 조선의 천재 시인 관복암 김숭겸. 유학과 문장으로 명망 높은 집안에서 태어나 빼어난 시적 재능을 보였으나 병약한 몸으로 약관도 넘기지 못했다. 13세부터 19세까지 지은 시만으로 조선 시문학사에 빛나는 족적을 남겼다. 그의 시 242제 299수를 모두 실었다.



가암시집_앞표지
전익구 (全翼耈) 지음, 김승룡 · 최금자 옮김, 2022. 8. 28, 200쪽, , , , , 128*188mm

경북 예천 지역의 선비 가암 전익구의 시를 81수를 모두 소개한다. 평생 관직에 진출하지 않고 정도응, 홍여하 등과 교류하며 상주 우산 근처에서 학문과 시문에 힘썼다. 자연스럽고 구속됨이 없는 시는 그가 평생 견지한 수양의 자세를 그대로 보여 주고 있다.



포괄적성교육_앞표지_10135_220822
김수진·나영정·노하연·신연정·양지혜·오지연·이성경·이한·이현주·장재영·정민재·조아라 지음, 모들 엮음, 2022년 9월 5일, 284쪽, , , , 128*188mm


생물학적, 재생산 중심적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성교육은 수명을 다했다. 전 생애에 걸쳐 혐오와 편견에서 자유로운 정확한 지식, 실제 삶에서 그 지식이 작동하게 하는 기술·태도·가치를 총체적으로 학습할 권리가 모두에게 있다. 이를 위해 역사적·사회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묻지 않았던, 드러나지 않았던 것을 중심에 두는 ‘포괄적 성교육’을 시작해 보자.


 


지만지드라마한꺼번에두주인을_앞표지
카를로 골도니 (Carlo Goldoni) 지음, 장지연 옮김, 2022년 8월 28일, 276쪽, , , , , 128*188mm

클라리체는 실비오와의 결혼을 앞두고 죽은 줄 알았던 정혼자 페데리고가 살아 돌아오자 낙담한다. 페데리고는 특별한 사정으로 정체를 감춘 채 베니스의 한 여관집에서 묵게 된다. 비슷한 시기에 플로린도라는 사연 많은 청년 역시 이 여관집에서 묵기로 한다. 꾀바른 트루팔디노가 돈 욕심에 한꺼번에 두 주인을 섬기게 되면서 페데리고와 플로린도는 알 수 없는 인연으로 엮이게 된다. 트루팔디노가 거짓을 거짓으로 덮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모습을 코믹하게 그려 내고 있다.



지만지드라마레소스_앞표지
에우리피데스 (Euripides) 지음, 김종환 옮김, 2022년 8월 28일, 154쪽, , , , , 128*188mm

트로이 전쟁 10년차, 전세가 트로이에 유리한 가운데 트로이 왕자 헥토르는 해안가에 주둔하고 있던 그리스군의 철수하려는 움직임을 감지한다. 진상을 확인하기 위해 그리스군에 첩자를 보낸 그날, 트라키아의 왕 레소스가 참전을 위해 군사를 이끌고 트로이에 도착했다는 소식이 전해진다. 헥토르는 트로이의 승리가 분명해진 이때, 10년 만에 트로이에 모습을 드러낸 동맹 트라키아군과 레소스에게 서운함을 표한다.
호메로스의 ≪일리아드≫ 내용이 비극의 소재가 되고 있다. 작품성, 창작 연대 추정 등에서 에우리피데스의 작품이 맞는지 논란이 있는 작품이다.



고사전(완역본)_앞표지
황보밀 (皇甫謐) 지음, 김장환 옮김, 2021. 8. 28, 414쪽, , , , 128*188mm

‘고사(高士)’는 ‘품행이 고상한 선비’ 또는 ‘재야의 은군자’를 뜻하는 말이다. 이 책은 중국 고대 필기류 인물전기집 가운데 하나로 총 91조의 짤막한 고사로 이루어져 있다. 그 내용은 요(堯) 시대의 피의(被衣)로부터 위 말(魏末)의 초선(焦先)까지 청고(淸高)한 고사들의 언행과 일화를 수록하고 있다. 현존하는 최초의 ‘은일전집’으로 후대 중국의 은일문학(隱逸文學)을 형성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친 작품이다. 오랫동안 중국 필기문헌을 전문적으로 연구 번역해 온 연세대 김장환 교수가 22년 만에 기존의 번역을 모두 새로이 교감, 수정해 오류를 바로잡고 독자들의 작품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발문과 역대 저록을 번역해 부록으로 삽입했다.



열반종요(완역)_앞표지
원효 (元曉) 지음, 조수동 옮김, 2022. 8. 28., 202쪽, 사륙판(128*188)

현존하는 원효의 저작 22권 중 하나로, ≪대반열반경≫의 핵심을 요약 정리한 책이다. 원효는 ≪대반열반경≫이 부처의 일생 동안의 법문을 총 정리하고 있으므로 가장 심오한 이론을 담고 있다고 보았다. ≪열반종요≫는 이를 집약하고 있다. 일반 독자가 ≪열반종요≫에 용이하게 가닿을 수 있도록 충분한 각주를 달아 보충 설명했다.



피플애널리틱스_앞표지
김민송·윤승원 지음, 2022년 8월 8일, 154쪽, , , 128*188mm


가장 간결한 피플 애널리틱스 입문서다. 피플 애널리틱스가 무엇인지, 왜 하는지, 누가 하는지, 어떻게 하는지 다룬다. 피플 애널리틱스를 선도하는 미국의 산업계, 학계에서 활동하는 저자들의 실무 경험을 담았다. 마이크로소프트가 피플 애널리틱스로 팬데믹에 대응한 방법 등 최신의, 생생한 사례를 통해 한국 독자들이 피플 애널리틱스를 시작하는 데 도움을 준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