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남색대감_앞표지
이하라 사이카쿠 (井原西鶴) 지음, 일본고전명저독회 옮김, 2023년 8월 31일, 320쪽, , , , 128*188mm

≪호색일대남≫으로 일약 베스트셀러 작가의 반열에 오른 이하라 사이카쿠가 또 한 번 에도를 뒤흔들었다. ≪남색대감≫은 헤이안시대 후기부터 유행하였고 불가(佛家)나 무가(武家)에서 정당한 애욕으로서 용인되었던 남색을 주제로 한 소설이다. 그들이 보여 주는 사랑과 의리, 그리고 인정은, 지고지순한 사랑과 정절이 남녀 사이에서만 가능할 것이라는 상식에 정면으로 물음표를 던진다. 총 8권 40화 중 이번 무사편에는 제1권부터 제4권까지의 전반부 20화를 담았다. 원전의 삽화 20컷과 대표 역자 문명재의 논문 <일본 고전으로 본 남색과 지고>를 부록으로 실어 독자의 작품 이해를 돕는다.



지옥에서한철,투시자의편지_앞표지
아르튀르 랭보 (Arthur Rimbaud) 지음, 곽민석 옮김, 2023년 8월 17일, 214쪽, , , , 128*188mm

보들레르와 함께 현대 프랑스 시문학의 출발점이라 할 랭보의 시와 시론 모음이다. 초기 작품에서 벗어나 자신의 문학 세계를 구축하는 과도기에 해당하는 산문시집 <<지옥에서 한 철>>과 그의 문학론을 드러내는 편지를 함께 번역함으로써, 랭보의 문학 세계를 집중적으로 조망한다. <<지옥에서 한 철>>의 시 9편 전편을 수록한 책으로 국내 유일하다. 랭보 시학 이론과 그 적용의 정수를 가려 실으며 책을 관통하는 랭보의 문학관을 설명하는 <‘불의 도둑’ 프로메테우스 시인 랭보>를 곁텍스트로 수록했다.



저널리즘과질문의자격_앞표지
김사승 지음, 2023년 8월 25일, 512쪽, , , , 128*188mm

저널리즘의 토대이자 본질이 ‘질문’에 있다고 보고 ‘저널리즘 질문’을 체계적 이론화한 책. 오늘날 저널리즘의 위기를 ‘질문의 위기’로 진단하고 저널리즘 질문의 본질과 범위, 저널리스트가 갖추어야 할 질문 역량의 종류, 묘사·해석·성찰을 위한 질문들의 특성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린마굴리스_앞표지_08912_20240221
손향구 지음, 2023년 8월 23일, 130쪽, , 128*188mm

공생진화론을 주창하고 가이아 이론을 발전시킨 진화생물학자 린 마굴리스의 사상을 요약했다. 마굴리스에 따르면 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무생물은 별도 영역으로 나뉘는 독립적 실체가 아니다. 하나의 그물망으로 연결되어 끊임없이 되먹임을 반복하는 통합적 유기체에 가깝다. 마굴리스의 공생진화론은 연결, 조절, 되먹임 등을 행성 규모에서 설명하는 가이아 이론과 만나 더욱 풍성해졌고, 오늘날의 정치생태학에 깊은 족적을 남겼다. 인간과 비인간의 공생 진화를 과학적으로 설명한 가장 앞선 시도가 여기 있다.


 


학교에서섹슈얼리티를말하라_앞표지_10147_20230802
남미자·심에스더·이희진 지음, 2023년 8월 21일, 145쪽쪽, , , 128*188mm

청소년은 성적 존재이며 성적 권리의 주체다. 학교에서 섹슈얼리티를 제대로, 포괄적으로 말해야 한다. 이미 너무 많이 늦었기에 더는 미룰 수 없다. 학교에서 모두의 섹슈얼리티를 안전하고 평등하게, 함께 말하고 탐구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이 책은 그 실마리를 금기와 통제가 아니라 참여와 권리를 중시하는 포괄적 성교육에서 찾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서산대사전_앞표지
미상 지음, 이민희 옮김, 2023년 8월 16일, 124쪽, , , , 128*188mm

1920년대 신작고소설 창작의 원동력은 역사 소재였다. ‘조선의 역사’에 사회적 관심이 쏠리면서 기존 고소설의 형식을 빌린 역사전기물이 대거 창작된 것이다. 조선 중기의 고승(高僧)이자 승군장(僧軍將)으로 유명한 서산 대사(西山大師) 휴정(休靜)을 주인공으로 하는 《서산대사전》은 다양한 역사 문헌과 민간에 전해 오던 설화를 교묘히 엮어 만든 한 편의 서사다. 일제의 출판 검열이 본격화하던 1920년대, ‘임진왜란’ 소재를 다루는 일련의 역사전기소설은 어떻게 인기를 누릴 수 있었는가? 《서산대사전》은 역설적인 1920년대의 독서 시장을 살필 수 있는 텍스트 가운데 하나다.



고구려와수의전쟁_앞표지
권용호 지음, 2023년 7월 25일, 292쪽, , , , 128*188mm

≪수서(隋書)≫를 오랫동안 연구한 저자가 고구려·수 전쟁 관련 사료를 틈틈이 모아 저술한 책이다. 고구려·수 전쟁의 배경, 준비 과정과 진행 양상, 전쟁 이후의 상황 등을 시대순으로 기술했다. 풍부한 인용 및 생생한 묘사로 고구려·수 전쟁이나 수나라의 흥망성쇠에 대해 자세하게 알 수 있다. 개성 넘치는 인물들과 흥미로운 일화들로부터 당대의 문화와 사고방식을 발견할 수 있으며, 앞으로 중국이 우리에게 어떤 나라가 될 것인지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한다.



나는3D프린터를사용할줄모르는교사입니다2_앞표지_10144_20230713
최민준·김희라·손혜인·이동근·이예찬·장진혜 지음, 2023년 7월 31일, 160쪽, , , , 128*188mm

교사를 위한, 교사에 의한, 교사의 메이커교육 도전기다. 메이커교육을 탐구하고 실천하는 교사들이 관심은 있지만 해낼 수 있을지 망설이는 동료 교사들을 돕기 위해 쓴 책이다. 메이커교육의 개념부터 교실 수업에 메이커교육을 적용하는 방법까지 모두 담은, 메이커교육 도전을 응원하는 친절한 길잡이다.



나는3D프린터를사용할줄모르는교사입니다1_앞표지_10143_20230713
장진혜·최민준·김희라·손혜인·이동근·이예찬 지음, 2023년 7월 31일, 156쪽, , , , 128*188mm

메이커교육은 반짝 유행이 아니다. 3D프린터, 코딩이라는 화려한 꽃이 아니라 메이킹을 통한 자아실현과 사회 기여라는 탄탄한 뿌리를 봐야 메이커교육의 진면목을 알 수 있다. 루소, 듀이, 페퍼트를 통해 메이커교육의 깊은 뿌리를 살펴보고 교사와 학생이 함께 시도하고 실패하면서 성장을 지향하는 메이커교육을 통해 교실 교육의 진짜 의미를 찾아보자.



대화하는 과학 교실_앞표지_20230712
콕싱 탕 (KokᐨSing Tang) 지음, 이정아, 장진아, 박준형 옮김, 2023년 7월 31일, 336쪽, , , 153*224mm

더 나은 수업을 하고자 하는 모든 교사들을 위한 책이다. 수업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담화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이를 위해 수많은 담화와 담화 전략이 오가는 교실로 직접 들어가 숙련된 교사들의 실천을 분석했다. 이미 많은 교사들이 실천하고 있을 전략들을 정교하게 명문화하고, 그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언어를 제공한다.



수서율력지_앞표지
위징·영호덕분·이순풍 (魏徵·令狐德棻·李淳風) 지음, 권용호·이면우 옮김, 2023년 7월 25일, 354쪽, , , , 128*188mm

국내 최초의 수나라 역사서, ≪수서≫
대운하를 판 나라, 고구려를 침입했다가 살수대첩으로 무너진 나라, 그게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던 수나라다. 상고시대부터 한나라까지의 역사가 ≪사기(史記)≫에 담겨 있다면, 혼란했던 남북조 시대를 통일한 수나라의 역사는 ≪수서(隋書)≫에 담겨 있다.
<율력지>는 악률과 도량형 제도의 의의와 그 시대적 변천 과정, 양·진·북주·북제·수나라 다섯 왕조의 역법상의 논쟁, 중국 고대의 신화시대부터 한(漢)에 이르러 <사분력(四分曆)>이 제정되기까지의 역법의 성립 과정, 이어 남북조 시대의 역법의 개력(改曆)과 논쟁을 다룬다.



공공도서관독서동아리_앞표지_10145_20230714
신선주 지음, 2023년 7월 31일, 108쪽, , , , 128*188mm

공공도서관은 학습 관점의 리터러시를 뛰어넘어 삶의 전환을 돕는 통합적 리터러시를 지향해야 한다. 통합적 리터러시 함양을 지원하는 공공도서관 기반 독서동아리 운영 방법론과 사례를 통해 공공도서관의 지향점을 제시한다. 또 함께 책을 읽고 생각을 나누며 삶의 방향을 재탐색하는 독서동아리 참여 경험의 의미를 새롭게 되짚는다.


 


인성독서교육_앞표지_10142_20230630
이영주 지음, 2023년 7월 10일, 170쪽, , , , 128*188mm

수치심을 활용한 인성독서교육의 메커니즘과 이를 교실 수업에 적용하는 방법을 논한다. 수치심을 느껴야 할 때 수치심을 느끼는 것은 인간다운 삶과 도덕의 기초다. 도덕 감정으로서 수치심은 독서교육을 통해 함양할 수 있으며 이는 인성교육과 직결된다.


 


묵상독서_앞표지_10141_20230629
임성미 지음, 2023년 7월 10일, 128쪽, , , , 128*188mm

묵상독서는 특정 종교의 의례나 지식을 습득하는 독서가 아니다. 자신의 영성을 인식하고 참자기를 만나 충만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독서다. 이 책은 현대적 리터러시 개념 안에서 주의력, 깊은 이해를 위한 체화와 추론, 상상력과 관계 짓기, 변형과 실천을 중심으로 묵상독서를 재해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좋은 삶을 위한 실천적 리터러시 함양을 논한다.


 


지만지드라마에그몬트_앞표지 (1)
요한 볼프강 폰 괴테 (Johann Wolfgang von Goethe) 지음, 윤도중 옮김, 2023년 6월 29일, 252쪽, , , , , 128*188mm

에그몬트는 주변 인물들을 끌어들이는 마성의 매력을 지닌 기사다. 하지만 바로 그 마성적 매력 때문에 파멸한다. 영웅적 인물의 비극적 종말이라는 청년 괴테의 고전주의 극작 스타일을 잘 보여 주는 작품이다.



소동파사선_앞표지
소식 (蘇軾) 지음, 류종목 옮김, 2023. 7. 14., 236쪽, , , , 사륙판(128*188)

중국의 대문장가 소동파(蘇東坡, 1036∼1101)의 사선집이다. 사는 기존의 곡조에 맞추어 써넣은 일종의 대중가요 가사로, 시문을 중시하는 정통 문인들에게 천시당하는 경향이 많았으나, 소동파의 사는 문학적 가치가 드높아 따로 사집으로 간행되었다. 현존하는 소동파의 사 작품 약 350수 가운데 대표적인 것 64수를 선정하여 번역하고 자세한 주석과 해제를 붙였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