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9


사이몬 안홀트 (Simon Anholt) 지음, 김유경 옮김, 2003년 9월 15일, 288쪽, , , , 99원, 153*224mm

신흥시장의 급속한 경제발전의 비밀의 해답은 무엇일까? 이 책은 브랜드로 무장한 수출과 국가 브랜딩의 조합이 그것이라 말한다. 이 책은 자본주의에 대해 지극히 인도주의적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선진국과 선진기업이 부를 축적하기 위해 구사하는 최고의 전략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답하고 있다.

인티 보기 1   2  

가브리엘 와이만 (Gabriel Weimann) 지음, 김용호 옮김, 2003년 9월 10일, 600쪽, , , , 99원, 153*224mm, 2004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와이만 교수의 이 책은 사회현실과 매체현실, 가상현실과 비현실을 넘나드는 초현실주의적 현대세계의 복잡한 양상을 명쾌한 이론틀 안에서 정리해 낸다. 저자는 현실세계와 매체현실을 일관되게 바라보고 있다. 전체 흐름의 초점은 매체가 현실을 묘사하고 표출하는 방식의 급격하고 빠른 변화에 있다.
저자가 되풀이해서 강조하는 것은 시청자들의 눈과 귀 역할을 자임하면서 매체가 보여 주는 극적인 현실은 실제의 사회현실을 과장한 것이고, 과장된 매체현실은 시청자들의 현실인식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이 점은 계발연구자들의 주장과 일치한다. 저자는 여기서 한걸음 더 나가서, 독자들의 경각심을 일깨운다. 매체현실은 매체가 만들어 낸 허구일 수 있고, 실제현실의 과장된 표현을 넘어서, 가상현실과 비현실이 시청자들을 허구의 세계로 이끌지도 모른다고 경고한다.

인티 보기 1  

6000091860-1.gif
한국홍보학회 엮음, 2003년 8월 31일, 310쪽, , , , 25000원, 153*224mm

한국홍보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학술지인 ≪홍보학 연구≫는 매년 2회 발간된다. ≪홍보학연구≫는 PR과 커뮤니케이션, 공중관계 연구 등 홍보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홍보학연구≫는 다양한 홍보의 관점에 도전한다. 먼저 미국과 한국의 PR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마케팅 PR이나 브랜드 사내 커뮤니케이션 등 그 연구 범위가 좀더 광범위해지고 구체화되었다. 필진으로 권오박, 김병희, 김영욱, 김원석 교수 등이 참여했다.



황상석 지음, 2003년 8월 30일, 212쪽, , , , 99원, 153*224mm

종이신문과 인터넷 신문의 미래를 결정할 요소는 콘텐츠다. 인터넷 신문의 핵심 콘텐츠는 무엇인가? 종이 신문의 기사(뉴스)다. 이들 종이 신문의 오프라인 콘텐츠가 독자들을 끌어들이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인터넷 신문의 콘텐츠도 수익성을 좌우하는 정보메시지로서 지적 재산이다. 콘텐츠는 미디어 산업의 70% 이상을 차지할 정도의 핵심 산업이다. 콘텐츠 유료화, 어떻게 하면 수익모델을 낼 수 있을까? 콘텐츠 유료화를 집중 조명한다.



김지문 지음, 2003년 8월 30일, 291쪽, , , , 99원, 153*224mm

1998년도 『TV 편성 현장 보고서』의 2003년도 개정판. 이 책은 편성 현장에서 일하면서 보고 느낀 바를 바탕으로 무엇이 편성인가, 방송은 왜 편성이어야 하는가라는 물음에 답하고 있다. 지은이는 방송을 알고자 한다면 먼저 편성을 이해하는 것이 순서이고 그것이 지름길이라고 말한다.



엘른노 싱거·필리스 M. 엔드레니 (Eleanor Singer·Phyllis M. Endreny) 지음, 송해룡 옮김, 2003년 8월 30일, 293쪽, , , , 99원, 153*224mm

매스미디어는 우리 생활에 산재한 위험의 요소들을 어떻게 보도해야 하는가? 환경, 안전, 보건에 관한 미디어의 위험 보도는 사건을 보도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는 데 있지 않다. 발생 가능한 사건의 문제점을 예견해 사회적 긴장도와 창조적 긴장도를 높이는 데 일조해야 한다. 이 책에서 소개되는 위험 보도, 위험 커뮤니케이션은 이제 연구가 시작된 새로운 학문 분야로 과학문화의 위험 증가와 미디어의 중시로 인해 그 연구가 강조되고 있다.



김은규 지음, 2003년 8월 30일, 345쪽, , , , 18000원, 153*224mm, 2005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한국 사회에서 시민 미디어에 대한 필요성과 논의가 그 어느 때보다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디어에 대한 시민참여 현황을 종합하고 국내에 정착 가능한 시민참여, 시민 미디어의 방안을 모색한다..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으며 시민 미디어의 정의와 해외 시민참여 미디어의 현황, 그리고 한국의 시민사회와 언론구조에 대한 내용을 살핀다. 국내 시민참여 미디어의 현황과 문제점도 다루었다.

인티 보기 1  

임동욱 지음, 2003년 8월 30일, 185쪽, , , , 99원, 153*224mm

설득 커뮤니케이션 개론서. 기존의 설득 커뮤니케이션 개론서가 가진 무거움에 반해 가볍고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게 하려는 의도로 집필되었다. 저자가 책의 두께가 얇고 값이 저렴한 교재를 내기로 결심하여 내놓은 결과물이다. 설득 커뮤니케이션의 이해를 비롯해, 그 중요성과 유형, 그리고 설득적인 메시지의 소구 방법 등을 다루고 있다.



©öI¥ì©£¨úi¡Æ©¡A|¢¯I©ö¢çE?1-3¢¯I¡¤a.ai
SBS 엮음, 2003년 8월 25일, 152쪽, , , 15000원, 153*224mm

SBS 서암학술장학재단이 지원하는 ≪미디어경제와 문화≫는 미디어 현상을 설명, 예측할 수 있는 미디어경제, 경영학적 접근의 학술논문, 미디어 관련 법제에 관한 법학적 접근의 학술논문, 미디어 수용자 연구, 기타 미디어 연구 등 각종 이슈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학술저널로 연 3~4회 정기적으로 발간된다. 1-3호는 서울대 강명구 교수를 비롯한 26명의 심사위원이 심사하여 3편이 선정되었다.

인티 보기 1  

강대인 지음, 2003년 8월 25일, 327쪽, , , , 99원, 153*224mm

한국방송의 정체성은 무엇인가를 탐구하기 위해 방송에 관한 포괄적 내용을 다룬 책. 지은이는 방송 현장의 실무자로서, 방송 교육자로서, 그리고 방송정책의 결정자로서 방송과 인연을 맺어왔다. 그 인연을 바탕으로 어제의 한국방송을 분석하고 오늘의 한국방송을 바로 이해하고, 내일의 한국방송의 좌표를 바르게 제시하기 위해 이 책을 집필했다.



l9788956710044.jpg
존 빙햄 (John Bingham) 지음, 홍은택 옮김, 2003년 08월 21일, 313쪽, , , 99원, 153*224mm



l9788956710013.jpg
로렌스 홀프 (Lawrence Holpp) 지음, 이동우 옮김, 2003년 08월 16일, 279쪽, , , 99원, 153*224mm



우리 아기 밤에 더 잘자요
엘리자베스 팬틀리 (Elizabeth Pantley) 지음, 이근희 옮김, 2003년 07월 21일, 260쪽, , , 99원, 188*240mm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지음, 이구형 옮김, 2003년 7월 7일, 207쪽, , , , 12000원, 153*224mm

미디어랩의 창설자인 니콜라스 네크로폰테의 칼럼과 인터뷰 기사를 번역하여 수록한 글이다. 이 책은 우리 나라의 과학정책과 과학정신, 과학교육에 있어 기존의 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지향점을 도출하도록 방향점을 제시한다. 기술과 제품 개발 이전에 기술과 제품의 ‘개념’을 인간 중심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우선이기 때문이다.



해롤드 보겔 (Harold L. Vogel) 지음, 현대원 옮김, 2003년 7월 1일, 565쪽, , , , 25000원, 153*224mm

산업 전반에 걸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각 부분의 변화에 대한 분석과 각 정보원으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들을 다루고 있는 안내 지침서. 엔터테인먼트의 각 주요 부분들 분리해 고찰하고, 역사적 개괄과 제작, 배급 등의 절차를 체계적으로 논의했으며, 실례를 들어 실제적 방법들을 소개했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경제의 전반적인 면에 걸친 연계성을 설명해 광범위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통합적으로 접근했다.



마이크 비어드 (Mike Beard) 지음, 신호창·김장열 옮김, 2003년 7월 1일, 200쪽, , , , 99원, 153*224mm

강한 홍보팀을 만드는 방법은 무엇일까? 이 책은 성공적으로 PR조직을 운영하기 위해 다양한 측면에 관한 단계식 지침서이다. PR 실무자와 관리자들을 위한 실무 지침서로서, 전문적인 PR 기능을 만들고 운영하는 실행 방법들을 이해하기 쉬운 스타일로 쉽게 설명한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