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1


백마의기수_소설_앞표지_1판1쇄_ok_20140805
테오도어 슈토름 (Theodor Storm) 지음, 오용록 옮김, 2014년 8월 14일, 238쪽, , , , 99원, 128*188mm

독일 작가 테오도어 슈토름의 작품이다. 슈토름이 죽던 해인 1888년에 나왔다. 작가의 마지막 작품이다. 사물과 상징이 하나로 승화된 사실주의 문학의 최고봉으로 평가받는다. 이중액자소설이다.

인티 보기 1   2  

용재총화_천줄읽기_앞표지_1판1쇄_ok_20140807
성현 (成俔) 지음, 홍순석 옮김, 2014년 8월 11일, 276쪽, , , , 99원, 128*188mm

≪악학궤범≫의 주요 필자 성현이 지은 조선 초기 잡기류 문헌이다. 일찍이 국사에서 다루지 못한 소소한 이야기들을 풍부하게 기록했다. 이야기는 인물 일화를 비롯해 풍속·지리·문화·음악·제도 등 다방면에 걸쳐 있어 그야말로 ‘총화’라는 이름에 걸맞으며, 성현의 아름다운 문장은 그 이야기를 더욱 빛내고 있다. 그가 담고자 했던 사람 사는 소소한 이야기들은 오늘날까지 남아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줄 뿐 아니라, 한국학 사료로서의 가치 또한 지니고 있다.

인티 보기 1  

이세모노가타리_시선_앞표지_1판1쇄_ok_20140725
미상 지음, 민병훈 옮김, 2014년 8월 5일, 304쪽, , , , 99원, 128*188mm

이 아름다운 시구는 어떻게 태어난 것일까? 시를 읽는 사람이면 누구나 궁금해지기 마련이다. 일본 고유의 정형시 와카와 그에 얽힌 사랑 이야기들을 엮었다. 주인공은 아리와라노 나리히라로 추정된다. 125편의 노래와 글이 우리를 헤이안의 낭만으로 인도한다.

인티 보기 1   2   3  

광고음악실무
방용석·김소영 지음, 2014년 7월 31일, 146쪽, , , , 18000원, 153*224mm

광고에서 음악은 어떤 역할을 하나? 주어진 콘셉트를 가장 확실하게 전달하는 수단이다. 어떻게 해야 잘 만들 수 있나? 풍부한 실무 경험으로 일정한 노하우를 익혀야 한다. 노하우를 얻으려면? 현장 전문가의 실제적인 가르침이 필수다. 30년간 2500여 편의 광고 음악을 제작하고, 후배들을 가르쳐 온 두 사람이 학문적으로 정리되지 않은 광고 음악을 이해하고, 직접 제작할 수 있는 노하우의 모든 것을 알려 준다.

인티 보기 1  

예기_천줄읽기_앞표지_1판1쇄_ok_20140724
대성 (戴聖) 엮음, 도민재 옮김, 2014년 7월 31일, 181쪽, , , , 99원, 128*188mm

오경(五經)의 하나인 ≪예기(禮記)≫는 주나라 말기에서 진한 시대까지의 예(禮)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기록한 책이다. ≪주례(周禮)≫, ≪의례(儀禮)≫와 함께 ‘삼례(三禮)’로 꼽히는데, 그중에서도 영향력이 가장 컸다. 의례를 해설하고 음악·정치·학문 등 일상생활의 사소한 영역에 이르기까지 예의 다양한 근본정신을 기록한다.
이 책은 현대인에게 시사하는 의미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약 15%를 발췌했다.



백유경_사상_앞표지_1판1쇄_ok_20140724
가사나 (伽斯那) 지음, 조기영 옮김, 2014년 7월 31일, 244쪽, , , , 18000원, 128*188mm

동방의 이솝우화. 5세기경 인도에서 나온 ≪백유경≫은 해학이 넘치는 이야기로 불교의 가르침을 전한다. 기발한 상상력과 기지가 어우러진 이야기를 읽다 보면 우리 삶의 주변을 다시 한 번 되돌아보게 된다. 1500년 전 인도의 이야기가 오늘날 우리의 이야기가 되는 것이다. 이 책에는 각각의 이야기에 대한 옮긴이의 예리한 통찰력이 담긴 ‘췌언’을 덧붙였다.

인티 보기 1   2   3  

문제로서의언어3
김하수 지음, 2014년 7월 30일, 294쪽, , , , 99원, 153*224mm

한국어를 한국어로 만드는 최종 결재자는 대중이다. 대중에 의한, 대중을 위한 언어 연구가 필요하다. 이 책은 언어와 문화의 기본 토대를 화용 현상에서 구한다. 저자의 사회언어학, 담화·화용론, 한국어 교육 연구를 살폈다. 이는 언어와 사회에 대한 책임의식이다.

인티 보기 1  

검협전_소설_앞표지_1판1쇄_ok_20140725
미상 지음, 우강식 옮김, 2014년 7월 30일, 284쪽, , , , 99원, 128*188mm

총 33편의 당송 시기 검협 소설을 모아 엮은 작자 미상의 소설집이다. <태평광기(太平廣記)>, <강호이인록(江湖異人錄)>, <원화기(原化記)> 등에 전하는 작품들 가운데 고대 문언 검협 소설의 정수만을 담았다. 중국 무협 소설의 효시인 작품이다.

인티 보기 1  

커팅리듬,영화편집의비밀
캐런 펄먼 (Karen Pearlman) 지음, 김진희 옮김, 2014년 7월 28일, 316쪽, , , , 28000원, 188*258mm

영화 편집에서 리듬이란 무엇인가? 긴장과 이완의 변화를 만들어 낼 목적으로 타이밍, 속도감, 경로 구성을 통해 다듬어진 시간·움직임·에너지다. 적절한 리듬 구축은 왜 필요한가? 이야기와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관객의 몰입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리듬에 대한 직관과 창의력을 향상하는 방법은? 일상의 흐름, 영화 속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인식해 자기만의 리듬으로 체득하고 이를 편집에 반영한다. 영화 리듬 연구의 선구자인 저자가 그 이론과 사례를 정리했다. 막연하던 영화 속 리듬 편집이 명료해진다.

인티 보기 1  

예술을사랑하는어느수도사의심정토로_수필비평_앞표지_1판1쇄_ok_20140721
빌헬름 바켄로더·루트비히 티크 (Wilhelm Wackenroder·Ludwig Tieck) 지음, 임우영 옮김, 2014년 7월 28일, 260쪽, , , , 99원, 128*188mm

18세기 말 독일, 모든 것을 이성으로 해석하려는 계몽주의와 형식 위주의 고전주의에 반발해 새로운 문화가 꽃핀다. 르네상스 시대를 동경하고 중세 독일 문화를 부흥시켰다. 독일 낭만주의의 시작이다. 이 문화 혁명에 불을 붙인 것이 바로 바켄로더와 티크의 <예술을 사랑하는 어느 수도사의 심정 토로>다. 당시 예술계에 종교 붐을 불러올 정도로 큰 반향을 일으킨 이 작품을 국내 최초로 소개한다.

인티 보기 1   2  

조지프앤드루스섀멀라_앞표지_1판1쇄_20140707
헨리 필딩 (Henry Fielding) 지음, 김성균 옮김, 2014년 7월 25일, 832쪽, , , , 99원, 128*188mm

영국 최초의 근대적 소설은 리처드슨이 쓴 <패멀라>(1740)이다. 1년 뒤 이 작품을 패러디한 <섀멀라>가 나왔다. 이어 다음 해엔 <섀멀라>의 스핀 오프인 <조지프 앤드루스>가 나왔다. 작가 헨리 필딩은 <섀멀라>, <조지프 앤드루스> 모두 익명으로 간행했다.

인티 보기 1  

신기관_자연과학_앞표지_1판1쇄_ok_20140715
프랜시스 베이컨 (Francis Bacon) 지음, 김홍표 옮김, 2014년 7월 25일, 378쪽, , , , 99원, 128*188mm

아는 것이 힘이다! 우상을 타파하는 베이컨의 자연과학 방법론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와 추론 방법인 ‘오르가논(기관)’에 대항해 17세기 영국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이 펴낸 과학 방법론이다. ‘신기관’이란 ‘새로운 기관’, 그러니까 새로운 방법론을 의미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넘어서 앞서 나간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그의 방법론은 무엇이었을까? 바로 귀납법이었다. 베이컨은 자연과학으로 인류의 실생활을 개선하며 자연의 작동 원리를 파악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로부터 광명과 복지가 찾아오리라는 것이다.

인티 보기 1   2   3   4  

보리스고두노프,모차르트와살리에리_희곡_앞표지_1판1쇄_ok_20140718
알렉산드르 푸시킨 (Александр С . Пушкин) 지음, 조주관 옮김, 2014년 7월 25일, 258쪽, , , , , 99원, 128*188mm

러시아 대문호 푸시킨의 희곡 두 편을 엮었다.

인티 보기 1  

초능력자_희곡_앞표지_1판1쇄_20140708
그리고리 고린 (Григорий Горин) 지음, 백승무 옮김, 2014년 7월 17일, 132쪽, , , , , 99원, 128*188mm

20세기 러시아 연극을 대표하는 작가 그리고리 고린의 코미디를 초역으로 소개한다.

인티 보기 1   2  

윤리학_천줄읽기_앞표지_1판1쇄_20140630
니콜라이 하르트만 (Nicolai Hartmann) 지음, 이을상 옮김, 2014년 7월 15일, 274쪽, , , , 99원, 128*188mm

비판적 존재론 철학을 편 니콜라이 하르트만의 역작이다. 윤리의 문제를 현상학, 가치론, 도덕 형이상학의 관점에서 풀었다. 셸러의 가치윤리학과 칸트의 의무윤리학을 토대로 완성된 윤리학을 구성하려는 그의 시도를 핵심만 뽑아 확인할 수 있다.

인티 보기 1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의 정혼녀
민갑완 지음, 2014년 07월 10일, 316쪽, , , 99원, 153*214mm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이은의 정혼녀였던 민갑완의 회고록. 민갑완은 구한말 주영공사를 지낸 민영돈의 장녀로, 열한 살 때 세자비로 간택되었으나 일제에 의해 강제 파혼당하고 평생을 수절한 비운의 여인이다. 한번 간택되면 다른 남자와 결혼할 수 없다는 왕실의 법도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해서든 결혼시켜 영친왕과의 연을 끊으려는 일제의 집요한 공작을 견디다 못해 상하이로 망명한 민갑완은 외로운 이국땅에서 고독과 고통의 세월을 보낸다.

상하이 임시정부의 김규식 박사가 독립운동을 권유했지만 결혼하지 않고 평생 절개를 지키는 것을 일종의 독립운동으로 여기고 자신을 지킨 운명의 여인 민갑완. 영친왕, 마사코(이방자) 공주와 함께 구한말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제물이 될 수밖에 없었던 한 여인의 파란만장한 삶이 드라마처럼 펼쳐진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