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1


침몰하는섬2_앞표지_1판1쇄_ok_20131218
중자오정 (鍾肇政) 지음, 문희정 옮김, 2013년 12월 30일, 372쪽, , , , 99원, 128*188mm

타이완 작가 중자오정의 장편소설. 홍콩의 「아주주간(亞洲週刊)」이 뽑은 ’20세기 중문소설 100선’에 마흔다섯 번째 작품으로 선정된 바 있다. 1895년 타이완 할양 무렵, 일본군 진주에 저항하는 사람들 이야기다.

소설은 청일전쟁에서 패배한 청이 일본에 타이완을 할양하기로 결정한 시점에서 출발한다. 이야기는 3대째 타이완에 정착해 토지를 개간하고 농사를 지으며 살아가던 루 씨 가문이 자신들의 터전을 지켜 내겠다는 일념으로 자진하여 의용군에 참여한 뒤, 목숨을 걸고 일본군에 저항한다는 내용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인티 보기 1  

침몰하는섬1_앞표지_1판1쇄_ok_20131218
중자오정 (鍾肇政) 지음, 문희정 옮김, 2013년 12월 30일, 418쪽, , , , 99원, 128*188mm

타이완 작가 중자오정의 장편소설. 홍콩의 「아주주간(亞洲週刊)」이 뽑은 ’20세기 중문소설 100선’에 마흔다섯 번째 작품으로 선정된 바 있다. 1895년 타이완 할양 무렵, 일본군 진주에 저항하는 사람들 이야기다.

소설은 청일전쟁에서 패배한 청이 일본에 타이완을 할양하기로 결정한 시점에서 출발한다. 이야기는 3대째 타이완에 정착해 토지를 개간하고 농사를 지으며 살아가던 루 씨 가문이 자신들의 터전을 지켜 내겠다는 일념으로 자진하여 의용군에 참여한 뒤, 목숨을 걸고 일본군에 저항한다는 내용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인티 보기 1  

양쿠이소설선_앞표지_1판1쇄_ok_20131213
양쿠이 (楊逵) 지음, 김양수 옮김, 2013년 12월 26일, 284쪽, , , , 99원, 128*188mm

타이완의 대표적 항일 작가 양쿠이의 소설선이다. 대표작 ‘신문 배달 소년’과 ‘엄마 거위 시집가네’, ‘맹아’, ‘고구마를 심는다’ 등 1930~1940년대 일제 강점기의 타이완 사회를 그린 작품을 묶어 펴냈다.

추가로 ‘타이완 원로 사회운동가의 회고와 전망 – 일본, 타이완, 중국 대륙에 대한 양쿠이와의 인터뷰’, ‘일본 식민 통치를 받고 자란 아이’, ‘양쿠이의 생애와 저작에 관한 연표’ 등 양쿠이 인터뷰 글, 양쿠이가 간략하게 자신의 이력을 밝힌 글, 양쿠이 연표를 실었다.

인티 보기 1  

하상균의파워프레젠테이션
하상균 지음, 2013년 12월 24일, 334쪽, , , , 18000원, 153*224mm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무엇인가? 발표자의 핵심 메시지를 시각 보조자료를 활용해 타깃 청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의 성패는 무엇이 결정하나? 치밀한 사전 기획, 구조화된 메시지, 시각 보조자료의 적절한 활용이다. 프레젠테이션 전문가의 왕도는? 꾸준한 리허설과 성찰적 학습이다. 입찰 제안 컨설팅 전문가인 저자가 프레젠테이션 기획, 메시지 구조화, 시각 보조자료 개발, 전달 기술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이기는 프레젠테이션의 정석이 일목요연하다.

인티 보기 1  

한국어교육에서한국문화·문학교육론
신주철 지음, 2013년 12월 20일, 326쪽, , , , 25000원, 153*224mm

한국어교육에 한국 문화와 문학을 활용하는 이유는? 통합적, 심층적 교육을 할 수 있다. 외국인 학습자는 어휘와 문법 뿐 아니라 한국인의 정서와 사고방식을 이해할 수 있다. 활용하는 텍스트는? 시와 소설, 대중가요, 뮤지컬, 드라마, 문화 유산 등 다양한 문화·문학 콘텐츠다. 구체적 방안은? 부록에서 수업계획안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한국어교육에서 문화·문학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해 온 연구자인 저자는 한국어교육 현장의 필요와 효율을 고려해 구체적 방법을 제시한다.

인티 보기 1  

x9791130411835.jpg
이광수 (李光洙) 지음, 김종회 엮음, 2013년 12월 20일, 304쪽, , , , 99원, 128*188mm

흔히 이광수는 장편 작가로 평가된다. 그러다 보니 그의 단편은 장편에 비해 주목을 덜 받았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그의 단편은 당시로서 선구적이었으며 가장 현대적이고 참신한 문장이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광수의 괄목할 만한 단편 8편을 실었다.

인티 보기 1  

1130411877-1.jpg
주시닝 (朱西甯) 지음, 최말순 옮김, 2013년 12월 20일, 328쪽, , , , 99원, 128*188mm

타이완 작가인 주시닝(朱西甯, 1926∼1998)의 소설 다섯 편을 묶은 것이다. 중국 산둥성 출신인 주시닝은 1949년 국민당 군대와 함께 타이완으로 철수해 온 외성인 작가이며 오랫동안 군에서 복무한 군인작가다. 주시닝의 작품 중 창작 시기와 작품 경향, 그리고 인간에 대한 그의 기본적 인식을 보여 준다고 생각되는 것들을 골랐다.

인티 보기 1  

이승철육필시집_앞표지_1판1쇄_ok_20131210
이승철 지음, 2013년 12월 20일, 216쪽, , , , 15000원, 128*208mm

청춘의 가마솥을 뜨겁게 달구어 낸 5월 광주를 늘 가슴에 품어온 이승철 시인의 육필시집.
등단 30주년을 맞아 표제시 <오월>을 비롯한 54편의 시를 시인이 직접 가려 뽑고
정성껏 손으로 써서 실었다.



박철육필시집_앞표지_1판1쇄_ok_20131212
박철 지음, 2013년 12월 20일, 236쪽, , , , 15000원, 128*208mm

서민의 삶과 애환 속에서 이웃을, 가족을, 사랑을 찾아내는 박철 시인의 육필시집.
표제시 <영진설비 돈 갖다 주기>를 비롯한 39편의 시를 시인이 직접 가려 뽑고
정성껏 손으로 써서 실었다.



최규승육필시집_앞표지_1판1쇄_ok_20131217
최규승 지음, 2013년 12월 20일, 156쪽, , , , 15000원, 128*208mm

언어와 고통이 낳은 시의 불완전성에 대해 끊임없이 자문하는 최규승 시인의 육필시집.
표제시 <시간 도둑>을 비롯한 38편의 시를 시인이 직접 가려 뽑고
정성껏 손으로 써서 실었다.



이재무육필시집_앞표지_1판1쇄_ok_20131212
이재무 지음, 2013년 12월 20일, 178쪽, , , , 15000원, 128*208mm

시는 의지가 아니라 힘겨운 생활이 불러들인 미학이라는 이재무 시인의 육필시집.
표제시 <주름 속의 나를 다린다>를 비롯한 50편의 시를 시인이 직접 가려 뽑고
정성껏 손으로 써서 실었다.

인티 보기 1  

윤제림육필시집_앞표지_1판1쇄_ok_20131212
윤제림 지음, 2013년 12월 20일, 194쪽, , , , 15000원, 128*208mm

바람과 나무, 아이와 노인, 귀신과 저승사자가 하는 이야기를
제멋대로 받아쓰는 것이 시인이라는 윤제림 시인의 육필시집.
표제시 <강가에서>를 비롯한 59편의 시를 시인이 직접 가려 뽑고
정성껏 손으로 써서 실었다.

인티 보기 1  

나해철육필시집_앞표지_1판1쇄_ok_20131212
나해철 지음, 2013년 12월 20일, 196쪽, , , , 15000원, 128*208mm

시가 아픔이고 슬픔일 수밖에 없었던 시절을 지나,
이제는 시가 노래이고 종교이기를 바라는 나해철 시인의 육필시집.
표제시 <위로>를 비롯한 46편의 시를 시인이 직접 가려 뽑고
정성껏 손으로 써서 실었다.

인티 보기 1  

황규관육필시집_앞표지_1판1쇄_20131212
황규관 지음, 2013년 12월 20일, 202쪽, , , , 15000원, 128*208mm

강물의 흔적을 좇아 지도를 그리듯 내면에 주름 잡힌 시간으로 시를 써내려 간 황규관 시인의 육필시집.
표제시 <삼례 배차장>을 비롯한 44편의 시를 시인이 직접 가려 뽑고
정성껏 손으로 써서 실었다.



박상률육필시집_앞표지_1판1쇄_ok_20131212
박상률 지음, 2013년 12월 20일, 238쪽, , , , 15000원, 128*208mm

비바람 속에서도 하늘을 향해 뻗어 가는 나무를 닮고 싶은 박상률 시인의 육필시집.
표제시 <꽃동냥치>를 비롯한 50편의 시를 시인이 직접 가려 뽑고
정성껏 손으로 써서 실었다.

인티 보기 1  

김태형육필시집_앞표지_1판1쇄_ok_20131212
김태형 지음, 2013년 12월 20일, 232쪽, , , , 15000원, 128*208mm

인간 내면의 고독과 열정을 그려 온 김태형 시인의 육필시집.
표제시 <염소와 나와 구름의 시>를 비롯한 50편의 시를 시인이 직접 가려 뽑고
정성껏 손으로 써서 실었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