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3


008권용철동화선집_앞표지_교정ok_0529
권용철 지음, 2013년 6월 10일, 234쪽, , , , 12000원, 128*188mm

권용철은 동화를 통해 순수 존재들의 본원적 마음을 현상하는 데 주력하는 작가다. 그의 동화 세계는 “맑은 영혼과, 햇빛 같은 마음씨와, 풀씨 같은 꿈을 지닌” 어린이를 위한 ‘푸른빛’의 교훈과 미래를 향한 제언의 내용으로 충만하다. 이 책에는 <별의 별>을 포함한 15편의 단편이 수록되었다.

인티 보기 1  

007고수산나동화선집_앞표지_0522_교정ok
고수산나 지음, 2013년 6월 10일, 256쪽, , , , 12000원, 128*188mm

고수산나는 1998년 ‘샘터사’에서 열린 ‘엄마가 쓰는 동화’ 공모에 당선되며 동화작가가 되었다. 그의 동화는 동물과 식물을 소재로 한 작품이 많으며 장애를 극복해 나가는 감성 어린 인간애가 녹아 있다. 이 책에는 <제비꽃이 준 마지막 선물>을 포함한 18편의 단편이 수록되었다.

인티 보기 1   2  

006강준영동화선집_앞표지_0522_교정ok
강준영 지음, 김용희 엮음, 2013년 6월 10일, 234쪽, , , , 12000원, 128*188mm

강준영은 결코 많지 않은 작품으로 1970년대 선도적인 작가로 확고하게 자리매김하고 요절한 작가다. 강준영의 동화는 외로움과 그리움이라는 아픔, 진실이 왜곡된 아픔, 개인의 존재 가치가 억압당하는 아픔, 현실의 모순됨이라는 아픔 들을 인식하고 극복해 나가는 과정의 이야기라 할 수 있다. 이 책에는 <날개> 외 14편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인티 보기 1  

005강정규동화선집_앞표지_0522_교정ok
강정규 지음, 2013년 6월 10일, 232쪽, , , , 12000원, 128*188mm

강정규는 대학 졸업 후 야학 운동을 했고 소설로 문학을 시작해 동화에 이른 작가다. 그의 동화는 아동의 일상 현실, 종교 문제, 인간성 회복, 전통 담론 등을 다루며 분단 소재, 이야기성의 회복, 아동의 일상 현실 인식 등을 통해 따뜻한 휴머니즘의 세계를 추구했다. 이 책에는 <돌>을 포함한 13편의 단편이 수록되었다.

인티 보기 1   2  

004강원희동화선집_앞표지_0522_교정ok
강원희 지음, 2013년 6월 10일, 268쪽, , , , 12000원, 128*188mm

강원희는 시적 문장과 서정적 판타지를 개성으로 하는 작가다. 그의 동화는 질서화되고 고정된 경계를 넘어서는, 자유롭고 순수한 동심의 문학이다. 시적인 문체와 낭만적인 상상으로 가득하지만 언제나 역사와 현실에 기반을 둔다. 이 책에는 <뮤지컬 배우 허수아비>를 포함한 12편의 단편이 수록되었다.

인티 보기 1  

003강숙인동화선집_앞표지_0520_교정ok
강숙인 지음, 2013년 6월 10일, 244쪽, , , , 12000원, 128*188mm

강숙인은 1979년에 <동화 속의 거울>로 소년중앙문학상을 받으며 동화작가로 등단했다. 그의 작품은 선도(仙道)의 영향을 받아 ‘깨달음’을 구한다. 죽음과 이혼, 가난, 이별, 사고, 싸움, 시기, 질투, 미움, 증오 등 다양한 상황 속에서 등장인물들은 깨달음을 얻고 희망을 찾는다. 이 책에는 <이팝나무를 찾아서>를 포함한 13편의 단편이 수록되었다.



002강소천동화선집_앞표지_0520_교정ok
강소천 지음, 김용희 엮음, 2013년 6월 10일, 228쪽, , , , 12000원, 128*188mm

강소천은 동화에 적극적으로 꿈의 기법을 도입해 한국 창작동화의 서정성을 높이고 다양한 서술구조를 확장하는 데 크게 기여한 동화작가였다. 그의 초기 동화는 ‘상실과 찾음’이란 구성 원리를 기저로 대상성에 깊이 파고들어 그 대상을 내면화한다. 이 책에는 <꿈을 찍는 사진관> 외 13편의 동화가 실려 있다.

인티 보기 1   2  

001강민숙동화선집_앞표지_0520_교정ok
강민숙 지음, 2013년 6월 10일, 228쪽, , , , 12000원, 128*188mm

강민숙은 1983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동화 부문에 당선되며 동화작가가 되었다. 그는 현실 속에서 직면한 삶의 문제를 다루어 어린이들이 현실에 관심을 갖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혜안을 갖출 수 있도록 동화를 창작했다. 이 책에는 타인에 대한 원망을 해결하는 자세를 그린 <화풀이 인형> 등 13편의 단편이 수록되었다.



삶과희망
이효성 지음, 2013년 6월 7일, 334쪽, , , , 17500원, 153*224mm

물질문명의 발달로 인간은 이제 행복한가? 자살이 느는 것을 보면 그렇지 않다. 사람들은 왜 자살을 하나? 자신의 삶에 절망하기 때문이다. 절망을 해소하는 방법은 없는가? 희망의 메시지를 놓지 말아야 한다. 현대사회 구성원의 소통을 연구해 온 커뮤니케이션 학자가 따뜻한 위로와 함께 세파에 시달리는 모든 이에게 희망을 전한다. 희망은 오늘의 힘든 삶에 위축되지 않게 함으로써 꿋꿋한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원동력이 된다.

인티 보기 1   2  

2013년젊은평론가상수상작품집_표지자켓_단행본_130531
이경재 외 지음, 2013년 6월 7일, 316쪽, , , 99원, 128*188mm

한국문학평론가협회는 2000년부터 매해 활발한 비평 활동을 펼친 신진 평론가들 중 한 명을 골라 ‘젊은평론가상’을 수여해 왔다. 이 책은 제14회 젊은평론가상 수상작 및 후보작을 수록한 책으로, 지난 2012년 한 해 동안 우리 문학을 이끌었던 문제의식과 키워드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인티 보기 1  

운디네_소설_표지자켓_130529
프리드리히 드 라 모테 푸케 (Friedrich de la Motte Fouque) 지음, 이미선 옮김, 2013년 6월 5일, 226쪽, , , , 99원, 128*188mm

프리드리히 드 라 모테 푸케의 1811년 작품으로, 호프만, 안데르센 등 많은 동시대 및 후대 작가에게 영감을 준 물의 정령 이야기다. 물의 정령 운디네가 기사를 보고 사랑해 그와 결혼하나 행복한 생활도 잠시뿐 끝내는 기사를 죽일 수밖에 없게 되는 비극적인 내용이다. 지금 봐도 흥미진진해 왜 많은 사람이 이 작품에 열광했는지 알 수 있다.

인티 보기 1   2  

동향과전망_88호_앞표지_20130610
한국사회과학연구회·박영률 출판사 지음, 2013년 6월 1일, 340쪽, , , 25000원, 153*224



헤라클레스와아우기아스의외양간_앞표지_1판1쇄_20130712
프리드리히 뒤렌마트 (Friedrich Dürrenmatt) 지음, 황혜인 옮김, 2013년 6월 1일, 168쪽, , , , , 99원, 128*188mm

<헤라클레스와 아우기아스의 외양간>은 헤라클레스의 열두 모험 중 한 개 에피소드를 뒤렌마트가 극화한 것이다. 브레히트 이후 최고의 독일어권 작가라 불리는 뒤렌마트는 영웅 헤라클레스를 무력한 임금노동자로, 아우기아스를 대통령으로 설정해 이야기를 풀어 나간다.

인티 보기 1  

게임포비아
강신규·나보라·박근서·박상우·윤태진·이동연·이설희·조은하·주재원·허준석 지음, 2013년 5월 31일, 264쪽, , , , 99원, 153*224mm

게임포비아 담론의 핵심 기제는 뭔가? 불안과 공포 조성이다. 기존 미디어는 어떤 역할을 하나? 설명, 협박, 설득의 형태로 게임포비아를 전파한다. 누가 타깃이고, 어떤 효과를 낳나? 청소년과 학부모에서 시작해 사회 전체로 확산되며 문화정치적 지형을 보수화한다. 연구자 10명이 게임포비아 담론의 발생, 유포, 재생산 원리를 비판적으로 고찰했다. 게임 담론에 숨겨진 권력의 전략을 낱낱이 밝힌다.

인티 보기 1  

광고PR실학연구_6-2호
광고PR실학회 엮음 지음, 2013년 5월 31일, 194쪽, , , 20000원, 188*258mm

광고PR 실학연구 6-2호. 이론 그 자체만을 위한 논의의 생산을 지양하며, 현장의 체험에서 얻은 실무적인 노하우와 연구자로서 연마한 지식을 정교하게 조화시킴으로써 광고PR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또 하나의 연구 광장을 만들어가고자 한다.

인티 보기 1  

호르두발_소설_표지자켓_130524
카렐 차페크 (Karel Čapek) 지음, 권재일 옮김, 2013년 5월 31일, 306쪽, , , , 99원, 128*188mm

‘로봇’이란 단어를 만들어 낸 체코 작가 카렐 차페크의 작품. 1930년대 무렵, 차페크는 철학의 인식론적인 문제에 집착하고 있었다. 이에 일명 철학 소설 3부작인 ≪호르두발≫(1933), ≪별똥별≫(1934), ≪평범한 인생≫(1934)을 썼는데, 그 첫 번째 작품이다.

인티 보기 1   2   3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