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0


김수정[만화웹툰작가평론선]_앞표지_08205_191029
장은진 지음, 2019년 10월 30일, 126쪽, , , , 128*188mm

초록 아기 공룡 둘리, 세대를 초월해 사랑 받은 대한민국의 대표 캐릭터다. 둘리 아빠 김수정도 뽀글이 파마머리의 만화가로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인기 만화가다. 1970년대 성인 극화 <폭우>로 데뷔한 이래, 문하생 시절을 거치지 않은 괴짜 신인으로 불렸다. 1983년 ≪보물섬≫을 통해 선보인 <아기 공룡 둘리>로 명랑만화가로 자리 잡았으며, 둘리나라라는 회사를 설립해 자신의 작품에 대한 캐릭터 라이선싱을 직접 하기도 했다. 사람에 대한 따듯한 시선과 부조리한 사회를 비트는 세태 풍자가 돋보이는 작가다.

김수정
1950년 경남 진주 출생. 1975년 한국일보 신인만화 공모에 <폭우>당선 후 만화가로 데뷔했다. 신인 시절 여성 월간지에 <아담과 이브>, <신인 부부> 등의 성인 대상 만화를 연재했으나 만화잡지≪보물섬≫의 대표작 <아기공룡 둘리>로 아이들부터 성인에 이르는 폭넓은 대중의 사랑을 받았다. 오달자, 소금자, 티처 X 같은 청춘 캐릭터부터 가족만화 <일곱 개의 숟가락>까지 다양한 세대를 바라보는 따뜻한 감수성을 보여 준 작가로 단일 만화 캐릭터로는 국내 최초인 둘리뮤지엄이 건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대표작으로 , <소금자블루스>, <날자!고도리>, <자투리반의덧니들>, <크리스탈 유>, <티처 X>, <천상 천하> 등이 있으며,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 <아기공룡 둘리ᐨ얼음별 대모험>을 제작했다. 한국만화가협회 회장 및 SICAF 추진위원장으로 활동하며 한국 만화를 세계에 알리고 1995년에는 ㈜둘리나라를 설립한 후 둘리 캐릭터의 OSMU 작업을 통해 한국의 만화 캐릭터 산업을 한 단계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박희정[만화웹툰작가평론선]_앞표지_08197_20191025
이주라 지음, 2019년 10월 30일, 124쪽, , , , 128*188mm

제3세대 순정만화의 대표적인 작가다. 천계영, 나예리 등과 함께 1990년대 순정만화를 새로운 변화로 이끌었다. 작가로서의 박희정은 탐미적 휴머니스트다. 박희정의 작품 세계는 탐미적이고 인간적이다. 박희정의 작품에는 현실 사회에서는 주목하지 않는 이들, 그리고 예술 세계 속에서도 그다지 아름답게 재현되지 않는 이들이 아름다운 모습으로 포착된다. 또한 박희정은 2000년대 초기에 시작된 매체의 변환에 가장 잘 적응한 만화가이기도 하다. 만화가로서 박희정의 역사는 매체의 급격한 전환 속에서 만화가의 영역이 나아갈 수 있는 다양한 길을 가장 실천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박희정
970년 경북 상주에서 태어났다. 아마추어 만화 동호회 ‘미지수’, ‘PAC’ 등에서 활동했고, 애니메이션 회사에서 근무하기도 했다. 1993년 ≪윙크≫에 단편 〈서머 타임〉을 실으며 만화가로 데뷔했다. 신선하고 에너지 넘치는 연출, 시공간을 오가는 플롯, 시선을 사로잡는 매혹적인 화풍, 현실적이면서도 따뜻한 감성이 돋보이는 작가다. 박희정은 또한 만화출판물의 스펙트럼을 넓힌 작가이기도 하다. 1997년 에메랄드 캐슬 1집, 2000년 조장혁 3집의 앨범 재킷을 그렸고, 2001년에는 일러스트레이션 모음집 『시에스타』를 냈다. 시대의 흐름에도 민감해 2006년 작곡가 방시혁, 인터넷 소설가 귀여니와 손잡고 멀티미디어 소설 <신드롬>을 론칭하기도 했으며, 웹툰 환경에도 잘 적응했다. 대표작으로는 <아이캔스탑> <호텔 아프리카> <마틴앤존> <피버> <두 번의 결혼식과 한 번의 장례식> <케덴독> 등이 있고, 단편집 『만화가네 강아지』와 『Q열』도 주목할 만하다. <두 번의 결혼식과 한 번의 장례식>은 김조광수 감독의 영화를 만화로 트랜스미디어한 작품이다.



한국근대만화사가이드_앞표지_08196_191025
윤기헌 지음, 2019년 10월 30일, 124쪽, , , , 128*188mm

오랜 시간 한국 근대 만화사 연구는 미답의 분야였다. 설익은 주장과 논거들이 뒤섞여 검증되지 않은 채 각종 논문, 세미나 등에 인용되고 있어 학술적 검증과 토론이 필요하다. 110년에 빛나는 한국만화의 유산을 정리하고 근대 만화의 의미를 찾는 일은 그래서 더더욱 중요하다. 이 책은 한국 근대 만화사 열 가지 주요 논점을 묶었다. 무엇이 현재 가장 쟁점인지, 근대 만화사에서 무엇을 앞으로 연구, 토론해야 하는지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그 외에 새롭게 필자가 발굴한 사실(史實)을 더해 내용을 보완했다. 그리고 열 번째 주제는 근대 만화사 최초의 사건들을 정리하고 해설을 달아 연구 자료로서의 자료 역할을 하고자 했다. 근대 만화사 연구의 마중물이 되기를 희망한다.



4차산업혁명시대만화와기술의융합_앞표지_08202_191025
양지훈 지음, 2019년 10월 30일, 108쪽, , , , 128*188mm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고 기술이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신기술은 다양한 영역과 융합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고 있다. 만화 역시 지속적으로 혁신 기술과 결합을 시도해 새로운 방식의 콘텐츠와 서비스를 창출하며 진화 중이다. 만화와 4차 산업 혁신 기술의 융합 가능성을 예측하고 ‘어떤 기술’들이 만화 산업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 대한 물음에 답을 제시한다. 향후 만화를 둘러싼 미래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도전적 시도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웹툰의서사공간_앞표지_08195_20191023
양혜림 지음, 2019년 10월 30일, 114쪽, , , , 128*188mm

웹툰은 디지털을 기반으로 한 대중 서사체로 드라마, 영화, 연극 등 다양한 형태로 매체 전환되고 있다. 이는 웹툰 서사의 소구력이 웹툰의 독자에 한정되지 않으며, 매체의 경계를 뛰어넘어 동시대의 한국 대중에게 보편적으로 향유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책에서는 한국 웹툰이 서사를 구현하는 방식을 공간성 개념과 가능세계 이론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웹툰 서사의 변별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로써 한국 웹툰이 대중서사로서 지니는 의미와 대안 담론으로서의 독자적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미디어교육선언_앞표지_10092_191028
데이비드 버킹엄 (David Buckingham) 지음, 조연하, 김경희, 김광재, 김아미, 배진아, 이미나, 이숙정, 이제영, 정현선 옮김, 2019년 11월 4일, 212쪽, , , 128*188mm

미디어 교육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는 것인지, 실천 방법은 무엇이며 어려움은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등에 관한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책이다. 저자는 기존 미디어 교육이 이분법적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음을 지적하며 미디어를 둘러싼 정치, 사회, 경제, 역사적 맥락과 미디어 기술 및 환경에 대한 변화를 포함한 종합적, 비판적인 미디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한다.



BTSandARMYCulture_앞표지_08204
Jeeheng Lee 지음, Oul Han, Solbee Park 옮김, 2019.10.31, 266쪽, , , , 128*188mm



기본소득과디지털유토피아
김석준 지음, 2019년 10월 29일, 116쪽, , , 128*188mm

4차 산업혁명이 본격화되면서 미래 전망의 명과 암이 엇갈리고 있다. 인공지능, 로봇, 사물인터넷 등이 일상화되면서 인간의 일자리를 로봇이 대체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은 얼핏 디스토피아적이다. 인간이 일자리를 잃으면 소득이 없어지고 자연히 소비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소비 없는 생산은 의미가 없다. 기술의 진전은 부단할 것이고 그에 따라 의미 없는 생산을 늘 수밖에 없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기본소득이다. 노동은 로봇이, 인간은 보장된 기본소득으로 가치 있는 일만 하는 세상, 이른바 디지털 유토피아다. 그것이 과연 가능할까. 이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만난다.



지만지드라마베이컨수사와번게이수사_앞표지_26372_191021
로버트 그린 (Robert Greene) 지음, 이영주 옮김, 2019년 10월 29일, 198쪽, , , , , 128*188mm

로버트 그린의 대표작을 초역으로 소개한다. 서로 다른 플롯을 절묘하게 뒤섞는 데 능했던 그린의 장기가 십분 발휘된 작품으로, 앞을 내다보는 마법 거울과 시공간을 넘나드는 마법으로 최고의 현자라 칭송받는 수사 베이컨이 평범한 인간으로 돌아가게 되는 과정을 그렸다. 여기에 에드워드 왕자, 레이시 백작, 시골처녀 마거릿 간의 삼각관계가 흥미진진하게 묘사된다.



지만지드라마나는그녀를사랑했네_앞표지_26379_191024
김동수(안나 가발다 원작) 지음, 2019년 10월 30일, 96쪽, , , , 128*188mm

제19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참가작. 슬픈 사랑 이야기에 삶에 대한 진실을 녹여 낸 작품이다. 신중하게 선택된 대사는 마치 흩어진 조각이 퍼즐을 이루듯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해 낸다. 이 작품을 통해 현대인의 사랑 없는 결혼과 사랑의 허구성에 일침을 가하고자 했다.



지만지드라마뉴스데스크_앞표지_26378_191023
김묘진 지음, 2019년 10월 30일, 72쪽, , , , 128*188mm

제19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참가작. 잘살아 보려던 의지와 달리 점차 생활이 어려워져 반지하방에 숨어 살게 된 가족의 이야기다. 부부의 대화를 통해 프랜차이즈 사업 실패, 보험사기, 갑질 문화 등 한국 사회의 병폐와 부조리가 드러난다.



지만지드라마룸메이트_앞표지_26377_191023
국민성 지음, 2019년 10월 30일, 86쪽, , , , 128*188mm

제19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참가작. 각각 영화감독과 쇼호스트가 꿈이었던 남녀. 연인이었지만 현실의 벽 앞에서 연애를 종료하고 룸메이트가 되기로 했다. 꿈도 연애도 결혼도 포기했지만 나아지지 않는 삶 앞에서 절망과 희망 사이를 오가는 청년들의 이야기.



지만지드라마현혹_앞표지_26374_191021
황대현 지음, 2019년 10월 30일, 88쪽, , , , 128*188mm

제19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참가작. 신앙 공동체 마을 시온촌을 만들어 운영해 온 수녀 정현주와 젊은 수녀 현인애가 종교와 믿음에 대한 의미심장한 문답을 이어 간다. 신비주의와 종교적 맹신을 걷어내고 실체적 인간을 바라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지만지드라마들꽃_앞표지_26373_191021
김승철 지음, 2019년 10월 30일, 86쪽, , , , 128*188mm

제19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참가작. 가정 폭력 문제와 이를 대하는 우리 사회의 무관심을 고발한다. 가정 폭력 피해자에서 살인 사건 가해자가 되어야만 했던 ‘하서린’의 이야기를 통해 가정 폭력 문제에 대한 이웃의 관심과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하는 작품이다.



지만지드라마양팔저울_앞표지_26375_191021
김환일 지음, 2019년 10월 30일, 74쪽, , , , 128*188mm

제19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참가작. 저울 위에 두 사람을 올리고 그 무게를 잰다. 그래서 인간적 가치가 가벼운 사람은 죽는다. 가까운 미래, 극심한 기후 변화와 식량난으로 위기에 처한 인류가 인구 절반을 줄이기 위해 고안해 낸 방법이다. 우리는 과연 인간적 가치를 어떻게 저울질할 수 있을까?



지만지드라마6월26일_앞표지_26376_191021
장태준 지음, 2019년 10월 30일, 90쪽, , , , 128*188mm

제19회 월드 2인극 페스티벌 참가작. 일제 강점기 강제 징용부터 이어지는 전쟁에 이리저리 동원되다 해방 후 한국전쟁 발발로 서로 총부리를 겨누게 되는 두 인물의 이야기를 통해 한국 근현대사의 질곡을 보여 준다.

2015 춘천국제연극제 대상, 연출상, 연기상 수상
2016 부산 Go World Festival 최우수상
2019 월드 2인극 페스티벌 대상, 연출상, 연기상, 최우수스텝상(조명)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