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0


수용소_앞표지
세르게이 도블라토프 (Сергей Довлатов) 지음, 김현정 옮김, 2020년 5월 15일, 350쪽, , , , 18800원, 128*188mm

20세기 가장 유명한 러시아 작가 중 한 명인 세르게이 도블라토프의 수용소 문학 작품집. 작가가 러시아에서 교도관으로 군복무를 하던 시절의 경험을 승화시킨, 수용소에 얽힌 짧은 이야기 열네 편을 묶었다. 교도소 안 괴물이 아닌 폐쇄된 공간 속의 다양한 인물 군상을 그리면서 논픽션을 능가하는 사실성을 담보할 뿐만 아니라 작가 특유의 소소한 유머로 독자를 미소 짓게 한다.



코로나블루철학의위안_앞표지_02240_200707
박병준 · 김세서리아 · 신승환 · 이진오 · 정현석 · 최성환 · 홍경자 · 홍준기 지음, 2020년 7월 15일, 300쪽, , , 128*188mm

코로나19로 인해 우리의 정신세계는 극심한 혼란을 겪고 있다. 코로나19는 우리를 죽음의 ‘비현실적’ 상황에서 ‘비일상적’ 죽음의 상황으로 내몰고 있다. 이 위기의 순간에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고통과 상처의 치유이며, 불행 속에서도 행복을 찾는 일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이 역경을 이겨낼 힘을 얻을 것이다. 이 책은 코로나19의 위기 상황 속에서 정신적 존재로서 인간의 자기반성을 담고 있다. 죽음의 불안과 공포를 극복하는 방안을 모색하며 치유의 행복학을 이야기한다. 우리의 정신과 가치 세계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진단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에 상응한 가치 기준을 제시한다.



영화는배급이다_앞표지_08244_200707
이화배 지음, 2020년 7월 10일, 400쪽, , , , 128*188mm

영화가 그 존재의미를 완성하는 순간은 관객과 만나는 순간이다. 영화를 관객에게 도달하게 하는 일을 영화계에서는 ‘배급’이라고 부른다. 이 책은 영화 배급의 전부를 다룬다. 영화관 배급부터 OTT 유통까지, 해외 배급부터 리메이크 판매까지, 한국 영화 투자부터 외화 수입까지, 배급사업의 전반을 다룬 실용서이자 영화 산업을 한눈에 파악하고 싶은 독자를 위한 비즈니스 가이드북이다.



디지털뉴스소비자_앞표지_08243_200706
김경희 · 문연주 · 상윤모 · 신우열 · 오연주 · 진민정 · 홍주현 지음, 김경희 엮음, 2020년 7월 10일, 272쪽, , , , 153*224mm

끊임없이 등장하는 새로운 기술과 디바이스가 뉴스 생태계는 물론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까지 송두리째 뒤바꾸고 있다. 전통 미디어를 중심으로 한 저널리즘은 바람 앞의 갈대마냥 흔들리고, 수동적인 소비자였던 독자들은 생태계의 변화를 주도하는 능동적인 생비자로 거듭났다. 디지털 시대의 뉴스와 소비자는 어떤 모습인가. 이를 점검하는 일은 저널리즘의 건강한 미래를 준비하는 첫 단계다. 이를 위해 각기 다른 형태의 디지털 뉴스 생태계를 가진 7개 국가의 사례를 살펴보고 그를 통해 지금 우리의 위치와 방향성을 모색한다.



원서발췌해동가요_앞표지
김수장 (金壽長) 엮음, 이상원 옮김, 2020년 7월 25일, 256쪽, , , , 128*188mm

≪청구영언≫, ≪가곡원류≫와 함께 조선 시대 3대 시조집으로 꼽히는 ≪해동가요≫의 핵심 작품 97수를 골라 소개한다. 고려 후기부터 조선 후기까지 항간에 널리 불리던 노래들을 모아 엮었다. 임금부터 사대부, 가수, 어부, 아전, 왈짜, 기생, 무명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들이 부른 노래는 당시의 사회와 사상, 문화를 그대로 보여 준다.
본문에는 2개 이상의 이본에 중복되는 주요 작품을 골라 소개하고 부록에서는 각 이본들에만 나타나는 특징적인 작품을 소개해, 이 책 하나로 ≪해동가요≫의 여러 이본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그간 교과서 등을 통해 친숙한 황진이, 정철, 윤선도의 시조는 물론, 평범한 서민들의 재치가 빛나는 여러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



동안거사집N_앞표지
이승휴 (李承休) 지음, 진성규 옮김, 2020년 7월 15일, 584쪽, , , , 128*188mm

≪제왕운기≫ ≪빈왕록≫의 저자로 유명한 동안거사(動安居士) 이승휴의 문집이다. 채 30종이 안 되는 고려 시대 문집 중 하나로 그의 인생과 사상이 집약되어 있다. 몽고의 침입과 원나라의 내정 간섭이라는 격동의 시대를 살아온 그의 글에는 고려 후기의 정치 사회적 모습이 그대로 담겨 있어 역사적으로도 높은 가치를 지닌다. 특히 북경에 사절로 다녀온 사행록인 <빈왕록>은 원나라 황실의 연회며 사절 접대 의례 등을 알 수 있어 더욱 귀한 자료다.



빌렘플루서의미디어철학_앞표지_08241_200623
올리버 비들로 (Oliver Bidlo) 지음, 양우석 옮김, 2020년 7월 1일, 304쪽, , , , 128*188mm

빌렘 플루서는 미디어이론가, 문화인류학자, 소통연구자, 철학자, 건축학자이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순수 학문연구자가 아니라 학제적으로, 방법적으로, 언어적으로 매우 유동적인 위치에 있다. 이 책은 플루서 입문서이자 미디어철학 입문서다. 플루서의 사유와 작품들, 주요 텍스트를 중심으로 플루서의 견해들을 서술함으로써 그의 철학을 이해하는 단초를 제공한다. 특히 그가 제안(예언)한 ‘원격소통사회’는 현재 우리가 맞닥뜨리고 있고, 또 앞으로 펼쳐질 미래 사회의 모습이다.



장자로읽는행복_앞표지_200623
박혜순 지음, 2020년 6월 26일, 112쪽, , 128*188mm

장자철학에서 자유는 행복의 전제 조건이자 절대 조건이다. 장자는 허명에 지나지 않는 소유론적 태도를 버리고 잃어버린 자연의 본래성을 되찾아 삶을 지켜야 한다고 말한다. 인식의 한계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길은 성견과 성심을 해체하고 도의 중심인 도추에 서는 것이다. 자유를 구속하는 감옥에서 벗어나 안명의 마음에 이르러야 한다. 인간은 자유로운 자기로서 온전히 존재할 때 행복할 수 있다.



쉽게싸게재미있게만드는마케팅동영상_앞표지_200616
연희승 지음, 2020년 6월 19일, 107쪽, , , , 128*188mm

비싼 광고 동영상은 왜 만들어야 할까? 1인 미디어 시대, 수동적인 소비자를 넘어 상호작용하는 존재로까지 발전한 소비자들에게 흥미를 넘어 경험의 필요성까지 깨닫게 하기 위함이다. 동영상 제작에는 꼭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야만 할까? 저자는 단연코 ‘No’라고 답한다. 교육 현장에서 동영상 제작을 가르치고 있는 저자가 비용은 줄이고 마케팅 효과는 높이는 동영상 제작법을 전수한다.



공연예술단체설립과운영_앞표지_08238_200612
남경호 지음, 2020년 6월 18일, 144쪽, , , 128*188mm



삶의의미를찾아주는상담자_앞표지_10097_200609
클라라 힐 (Clara E. Hill) 지음, 황매향, 강지현, 하혜숙 옮김, 2020년 6월 19일, 370쪽, , , 153*224mm

『상담의 기술』 저자 클라라 힐이 ‘삶의 의미’, 특히 ‘주관적 삶의 의미’ 중심의 상담 이론, 기법, 연구, 사례를 제시한다. 주관적 삶의 의미 개념과 발달 과정, 하위 요소를 밝히고 풍부한 연구 결과와 상담 사례를 통해 주관적 삶의 의미 문제에 접근하는 방법을 알려 준다. 상담자, 예비 상담자는 물론 스스로 삶의 의미를 찾으려는 독자에게도 도움을 준다.



청소년영화제작실습10시간완성_앞표지_08233_200416
김형종 지음, 2020년 4월 20일, 142쪽, , , , 128*188mm



코로나시대부동산의앞날_앞표지_02239_200611
이상영 · 김희선 · 서후석 · 윤여신 · 김희정 · 이정환 · 이태현 · 정수현 지음, 2020년 6월 18일, 296쪽, , , 128*188mm

코로나 사태로 인한 전 세계적 경제위기 속에서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은 어떤 움직임을 보일 것인가? 아파트, 상가, 오피스텔, 원룸, 임대주택, 부동산 펀드와 리츠, 프롭테크 등 각 분야 국내 최고의 부동산 전문가들이 과거 유사사례 비교와 현장의 생생한 경험을 바탕으로 심층 분석과 진단을 했다. 부동산 가격변동 추이와 전망을 넘어 비대면의 일상화, 모바일 중심의 라이프스타일 확산과 1인 가구 증가로 인한 부동산 시장 전반의 변화와 최신 트렌드까지 살펴본다.



모바일게임스토리텔링_앞표지_200608
이진 지음, 2020년 6월 12일, 110쪽, , , , 128*188mm



코로나19,한국교육의잠을깨우다_앞표지_200601
강대중 김경애 박승원 이영 채재은 최예린 최진영 황성희 외 지음, 2020년 6월 5일, 362쪽, , , 128*188mm

코로나 바이러스에 강제로 이끌려온 미래교육의 단면들은 어떤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왔는가? 지난 20년 간 교실 수업 혁신을 위한 정책 노력이 지속되었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체감할 수 있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런데 코로나19가 불과 석 달 만에 한국 학교의 수업 양상을 완전히 바꾸었다. 코로나19 사태로 사상 처음 온라인 개학 상황을 맞이한 교육현장은 분주하고 어수선했다. 온라인 수업 앞에 모든 것이 노출됐으며 학교 교육의 민낯이 드러났다. 강제 경험이 낳은 부정적 요소들을 준비된 시스템으로 혁신하기 위해 대학교수, 초중고교사, 입시전문가, 에듀테크 전문가, 학부모연구자, 평생학습 전문가, 지자체장, 기타 교육전문가들이 한국 교육의 나아갈 길을 제시한다.



지만지드라마브레히트,연극에대한글들_앞
베르톨트 브레히트 (Bertolt Brecht) 지음, 김기선 옮김, 2020년 6월 28일, 750쪽, , , , 128*188mm

브레히트의 서사극 이론은 현대 연극의 가장 획기적인 혁신이다. 그러나 그가 자신의 생각을 종합하고 체계화해 하나의 ‘연극 이론’으로 꿰어 저술한 적이 없기에 ‘현대 연극사상 가장 획기적인 혁신’을 이해하기 위해선 브레히트가 여기저기에 기고했던 ‘연극에 관한 글들’을 살펴보는 수밖에 없다. 브레히트는 연극에 관한 일련의 글을 통해 극적 환상을 배제한 비(非)−아리스토텔레스 연극 이론을 확립하고 이를 서사극 이론으로 발전시켰다. 그리고 서사극을 위한 새로운 연기법, 무대와 음악을 함께 제시했다. “우리 시대의 연극은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브레히트의 답이었다. 브레히트의 독자적인 연극 이론과 실천은 현재까지도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 이 책은 브레히트가 남긴 글들 가운데 연극에 관한 것, 특히 그의 서사극 이론을 이해하는 데 지침이 되는 내용만을 뽑아서 체계화한 것이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