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


AI와미디어아트_앞표지_36122_20250205
최지원 지음, 2025년 2월 13일, 114쪽, , 128*188mm

AI가 예술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며 이미지 생성, 인터랙티브 아트, NFT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다룬다. AI가 창작 도구를 넘어 예술적 협업자로 기능하는 과정과 대형 전시, 기업 브랜딩, 공공 예술에서의 역할을 조명한다. AI를 예술적 주체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철학적 논의도 소개한다.


 


AI에이전트와자동화_표지_36144_202502054
박현아 지음, 2025년 2월 20일, 131쪽, , 128*188mm

인공지능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그 영향력을 다룬다. 트랜스포머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등장으로 AI는 단순한 도구에서 자율적 에이전트로 진화했다. 기업과 개인은 이를 통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반복 업무부터 전략 수립까지 자동화할 수 있다. 그러나 AI의 자율성은 통제 불능의 위험을 내포하며, 윤리적·사회적 문제를 제기한다. AI 에이전트 시대에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한 통찰을 담았다.


 


특이점과슈퍼인공지능_앞표지_36114
허훈 지음, 2025년 2월 14일, 119쪽, , 128*188mm

인공지능의 발전과 특이점, 그리고 슈퍼 인공지능의 가능성에 대해 탐구한다. AI는 인간의 지능을 넘어서려 하며, 이는 긍정적 변화와 동시에 심각한 사회적, 윤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AI가 인간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AI와 인간의 관계,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한다. 특히, AI가 가져올 미래 변화에 대한 두 가지 상반된 관점을 제시하고 인간과 AI가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BCI와AI윤리_앞표지_36098
박형빈 지음, 2025년 2월 3일, 161쪽, , 128*188mm

BCI와 AI의 융합으로 인간 능력을 확장하는 기술 혁신과 그에 따른 윤리적 문제를 탐구한다. 기술은 인간의 정신적 경험과 신경학적 질환 치료를 변화시키는 한편, 자율성, 정체성, 프라이버시 등 윤리적 문제를 일으킨다. AI와 BCI의 융합이 인간 사회에 미칠 영향을 고찰하고 사회적 합의와 제도적 준비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AI페르소나_앞표지_36119
진설아 지음, 2025년 2월 4일, 130쪽, , 128*188mm

인간 얼굴의 사회적 의미와 AI의 역할 변화, 그리고 AI가 인간 사회와 윤리적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아이작 아시모프의 작품과 한국 SF 영화를 통해 인간과 AI의 관계를 탐구하고, AI의 경제적, 사회적 영향을 논의하며, 공존할 수 있는 미래 사회를 상상한다. AI와 인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서사를 통해 인간 정체성 유지 방안을 모색한다.


 


AI와다름의발견_앞표지_36132_20250122
서호건 지음, 2025년 2월 3일, 122쪽, , 128*188mm

AI가 인간의 인지 능력을 확장하고 ‘다름’을 발견해 혁신으로 이끄는 방법을 탐구한다. AI는 의료, 교육, 예술 등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며, 다름을 혁신의 원동력으로 활용해 삶을 풍요롭고 안전하게 변화시킬 가능성을 제시한다.


 


AI와정치철학_앞표지_36121_20250121
정진화 지음, 2025년 2월 3일, 122쪽, , 128*188mm

AI 기술이 정치철학에 던지는 새로운 질문들을 다룬다. AI의 발전이 인간의 자유, 평등, 정의 등 사회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며 AI 시대의 거버넌스와 민주주의적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AI가 인간의 활동과 존재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살피고 이를 공정하고 정의롭게 다룰 방법을 모색한다.


 


버추얼휴먼,새로운인간_앞표지_36120_20250121
이동윤 지음, 2025년 2월 3일, 99쪽, , 128*188mm

AI 기술로 탄생한 버추얼 휴먼의 발전과 산업적 영향을 다룬다. 가상 인격체가 감정을 느끼고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갖춘 현실을 설명하며, 의료, 서비스, 소셜 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 사례를 제시한다. 윤리적 문제와 함께 인간과 AI의 미래 공존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서사와인공지능_앞표지_36123_20250121
배병철 지음, 2025년 2월 3일, 162쪽, , 128*188mm

AI와 창의적 서사의 융합을 탐구한다. AI가 창작 과정에 어떻게 협업할 수 있는지를, 인간과 AI의 협력으로 창의적인 글쓰기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은 무엇인지를 논의한다. AI의 창의성에 대한 도전과 윤리적 문제를 다루며, 미래의 글쓰기와 창작에서 AI의 역할을 성찰한다.


 


프랑시스잠시와산문_앞표지_b21738
프랑시스 잠 (Francis Jammes) 지음, 김용민 옮김, 2025. 1. 31, 315쪽, , , , 사륙판(128*188),

한국인이 사랑한 시인 백석과 윤동주가 시에 이름을 새겨 넣은 프랑시스 잠의 작품집이다. 이 책은 특히 백석과 윤동주가 읽은 것으로 추정되는 일본어 번역서 《프랑시스 잠 시초(フランシス・ジヤム詩抄)》[호리구치 다이가쿠(堀口大學) 옮김, 1928]와 《밤의 노래(夜の歌)》[미요시 다쓰지(三好 達治) 옮김, 1936]의 프랑스어 원전을 우리말로 바로 번역한 것으로서 의미가 깊다. 잠의 대표 시집 《새벽 종소리에서 저녁 종소리까지》, 《앵초의 슬픔》을 비롯한 다섯 권의 시집에서 엄선된 시 68편과 산문집 《노래하는 밤》의 산문 31편을 실어 잠의 문학 세계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했다.



AI와뇌_앞표지_36097
강태우·문제일·최지웅 지음, 2025년 2월 3일, 120쪽, , 128*188mm

인간 뇌와 AI의 차이와 유사점을 탐구하며 AI의 발전이 인간 지능을 뛰어넘을 가능성과 그에 따른 사회적, 철학적 질문을 다룬다. AI가 인간의 창의성을 넘어설 가능성, AI와 인간 뇌의 차이, 윤리적 문제 등을 논의하며 미래 사회의 변화를 예측한다. 인간의 존재 의미를 탐구하고 AI와 인간의 공존을 위한 윤리적 기준 마련을 제시한다.


 


AI와인문학의주제들_앞표지_36096_20250121
김동우·우동현·정서현 지음, 2025년 2월 3일, 126쪽, , 128*188mm

AI 기술이 인간의 기본적인 특징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탐구한다. 사고, 기록, 편향, 가치관 등 다양한 측면에서 AI의 영향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AI 시대에 인간이 추구해야 할 가치와 윤리적 문제도 다룬다. AI 기술의 발전이 사회에 미칠 변화와 인간의 역할을 성찰한다.


 


윤리적인공지능_앞표지_36109_20250115
변순용 지음, 2025년 2월 3일, 95쪽, , 128*188mm

인공지능의 윤리적 문제를 탐구한다. AI가 인간의 존엄성과 권리를 보호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며 공공선을 증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생성형 인공지능의 등장에 따른 갈등을 다루고 윤리적 AI의 조건을 논의하며 인간과 AI의 공존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AI와피아노_앞표지_36112
권미혜 지음, 2025년 1월 31일, 122쪽, , 128*188mm

피아노와 음악에서의 AI 기술 발전을 탐구한다. 피아노는 복잡한 공학적 원리로 음악을 창출하며 음악은 수학적 기반을 두고 발전해 왔다. AI와 음악, 특히 피아노의 융합을 다루며 음악 창작에서 AI의 역할과 미래 가능성을 제시한다.


 


새로운문화콘텐츠학_앞표지
콘텐츠문화학회 노창현·성종현·신호림·안창현·이건웅·이종훈·임동욱·태지호 지음, 2025년 2월 28일, 370쪽, , , , , , , , , , , , , , 153*224mm

문화콘텐츠는 2000년대 들어서면서 미래의 동력으로 떠오른 문화 산업과 함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문화콘텐츠학을 전공한 신진 학자들이 치열한 논의를 거쳐 그 개념과 범주, 현황과 앞으로의 발전 방향까지 정리했다. 문화콘텐츠 입문자가 이 분야의 외연은 어디까지 확장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이번 개정판은 2017년 이후 달라진 최신 사례를 통해 문화콘텐츠의 이론과 실제를 균형있게 제시했다.



시네마토그래피_앞표지_20250120
블레인 브라운 (Blain Brown) 지음, 민경원·김진희 옮김, 2025년 2월 28일, 758쪽, , , , , 188*258mm

촬영에 관한 최고의 교재로 최신판을 번역했다. 시각적 언어의 예술적 배경뿐만 아니라, 연속성을 위한 촬영 기법, 조명 방법과 장비, 디지털·필름 촬영의 기술적 측면에 대한 심도 있는 지식을 제공한다. 기본 단계부터 고급 단계까지 디지털 영화 촬영의 기술적 프로세스를 명확히 알 수 있다. 영화 제작을 공부하는 학생, 현장에 막 진출한 신입, 현장에서 더 나은 기술을 습득하려는 스태프, 최신 장비와 테크닉에 대한 지식을 탐구하는 경험 많은 제작자를 위한 책으로 이론에 그치지 않고 실제 제작 현장의 다양한 사례까지 배울 수 있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