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AI에대한지구촌행동_앞표지_36127_20250116
오성탁 지음, 2025년 1월 31일, 155쪽, , 128*188mm

AI 기술의 발전과 그 사회적, 윤리적 영향을 다룬다. AI의 글로벌 협력과 거버넌스 필요성을 강조하며, AI가 의료, 교육 등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어가지만 그로 인한 사회적 불평등과 윤리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본다. AI의 책임감 있는 활용을 위한 국제적 규제와 표준 수립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민주주의와 거버넌스를 새롭게 정의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AI와위험사회_앞표지_36094_20250116
유재흥 지음, 2025년 1월 28일, 103쪽, , 128*188mm

인공지능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그에 따른 위험을 다룬다. AI의 혁신적 잠재력과 부작용, 정보의 신뢰성 문제, 딥페이크와 감시 사회 등 사회적 문제를 분석하고 AI의 안전한 공존을 위한 글로벌 협력과 규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AI와레토릭_앞표지_36102
권성욱 지음, 2025년 1월 24일, 111쪽, , 128*188mm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시작된 레토릭이 현대 인공지능 시대에 어떻게 진화하고 적용되는지 탐구한다. 레토릭의 정의와 역사부터 AI와의 융합, 디지털 레토릭, 윤리적 문제까지 다룬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함께 레토릭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커뮤니케이션의 변화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한다.


 


인공지능시대의자녀교육_앞표지_36116_20250116
이상오 지음, 2025년 1월 24일, 99쪽, , 128*188mm

AI 시대에 맞는 진로 교육을 제시한다. 점수와 성적에 의존하는 기존 교육 방식을 비판하며, AI를 활용해 아이의 특성과 재능에 맞는 진로를 찾아주는 방법을 강조한다. 독일식 진로 교육은 심층 대화를 통해 아이의 적성과 재능을 파악하고, AI는 맞춤형 진로 추천 시스템을 통해 이를 돕는다. 부모와 교육자가 AI를 활용해 자녀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실질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인간사화_앞표지_21736
왕궈웨이 (王國維) 지음, 조성천 옮김, 2025. 1. 16, 353쪽, , , , 사륙판(128*188)

왕궈웨이의 문예미학을 한눈에 살필 수 있는 ≪인간사화≫에 대한 역주서다. 시대의 선후에 따라 전국시대에서 청 초에 이르는 시인, 사 작가, 사 작품을 논해 중국 사를 총체적으로 접할 수 있다. 또한 그의 원의에 가장 부합하는 판본을 번역의 텍스트로 삼아 ≪인간사화≫의 진면목을 두루 살필 수 있다.



비즈니스모델과AI_앞표지_36101_20250114
이경전 지음, 2025년 1월 24일, 129쪽, , 128*188mm

AI는 기존 산업을 재편성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중요한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가 상거래, 교육, 의료 등 여러 산업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며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기업들이 어떻게 성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전략적 통찰을 제공한다.


 


AI시대의데이터과학자_앞표지_36067
이선형 지음, 2025년 1월 24일, 107쪽, , 128*188mm

데이터과학자가 되기 위한 기초 지식과 역량을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데이터의 중요성, 데이터과학자와 데이터분석가의 차이, 코딩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 등 핵심 역량을 설명한다. 데이터과학자의 비즈니스와 공공 영역에서의 역할과 그들이 직면하는 문제를 다룬다.


 


광고마케팅과인공지능시대_앞표지_36129_20250114
권오범 지음, 2025년 1월 24일, 194쪽, , 128*188mm

AI가 광고 전략과 소비자 행동 분석에 미친 영향을 다룬다. 생성형 AI가 광고 캠페인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개인화된 광고와 최적화된 메시지 전달 방식을 설명한다. AI의 법적, 윤리적 문제와 광고 제작의 부작용을 논의하며, 광고업계의 향후 전략을 제시한다.


 


미디어이론으로본AI_앞표지_36110
김동민 지음, 2025년 1월 24일, 107쪽, , 128*188mm

AI와 미디어 이론의 융합을 탐구하며 AI가 인간의 사고와 창의성을 확장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매클루언과 위너의 이론을 바탕으로 AI의 철학적 의미와 과학적 유물론을 결합해, AI가 인간의 확장으로서 어떤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지 분석한다.


 


AI와음악의변화_앞표지_36092_20250114
심인섭 지음, 2025년 1월 24일, 102쪽, , 128*188mm

인공지능이 음악 창작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AI는 음악 창작의 파트너로서 창의성을 확장한다. AI는 음악의 멜로디, 리듬, 화성 등의 핵심 요소를 처리하며 사용자 맞춤형 경험을 제공한다. AI가 창작의 한계를 극복하고 창작의 즐거움을 극대화하는 도구로서 음악가와 협력하는 미래를 제시한다.


 


삼설기_앞표지L_24083
미상 지음, 신희경 옮김, 2024.01.17, 254쪽, , , , , , 사륙판(128*188)

우리나라 최초의, 유일한 방각본(坊刻本) 단편집이다. 가사와 소설, 동물 우화 등 다양한 형식을 가진 아홉 개의 독립된 단편이 수록되어 있는 《삼설기》는 서구 문예 미학의 ‘소설(집)’ 개념을 빗겨가는 문제적인 텍스트다. 운문과 산문, 이야기와 소설이 서로 담을 쌓지 않고 열린 공간에서 함께 향유되었던 우리 문학장의 모습을 그대로 담고 있기 때문이다. 형식뿐만 아니라 내용도 문제적이다. 대부분의 방각본이 대중 독자의 요구를 반영해 당대에 인기 있었던 영웅의 일대기를 다룬 것과 달리 《삼설기》는 평범한 인물들을 내세웠다. 시집 못 간 불구의 노처녀부터 말단 초포수에 이르기까지. 《삼설기》가 문제 삼는 것은 19세기의 ‘생활’이다.



AI와가상현실_앞표지_36090_20250109
문제웅 지음, 2025년 1월 24일, 159쪽, , 128*188mm

AI와 VR의 융합이 가져올 변화를 탐구한다. AI는 사용자 경험을 개인화하고, VR은 몰입감을 제공한다. 두 기술의 결합은 교육, 의료,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연다. AI와 VR은 콘텐츠 제작 자동화, 실시간 피드백 제공, 자연스러운 상호작용 등 혁신적인 솔루션을 통해 미래의 혁신을 이끌 수 있다.


 


크리에이티브를위한AI_앞표지_36083_20250109
표수연 지음, 2025년 1월 22일, 144쪽, , 128*188mm

AI 기술이 창작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AI는 인간의 창의적 작업을 보조하고 혁신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AI가 창의성의 본질을 대체할 수 없으며, 인간만이 가진 독창적 사고와 경험은 여전히 중요하다. AI는 도구로서 인간의 잠재력을 확장하지만, 진정한 창의성은 여전히 인간의 상상력과 감성에서 나온다.


 


AI와악의평범성_앞표지_36095_20250110
이인미 지음, 2025년 1월 22일, 113쪽, , 128*188mm

AI의 발전과 그에 따른 철학적, 윤리적 문제를 탐구한다. 해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 개념을 바탕으로 AI의 목적, 인간 노동의 역할, 자유, 평등, 책임 등 중요한 가치들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분석한다. AI가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과정에서 그 윤리적 의미와 AI의 도덕적 책임을 진지하게 고찰한다.


 


지만지드라마리틀맬컴_앞표지_26616
데이비드 홀리웰 (David Halliwell) 지음, 김철리 옮김, 2025년 1월 10일, 219쪽, , , , , , 128*188mm

1965년 런던의 유니티 시어터에서 마이크 리 연출로 초연되었고 그해 말 개릭 시어터에서 재공연되었다. 1974년 영화화되어 베를린국제영화제 은곰상을 수상했다. 이 희곡은 신념을 관철하려는 과정에서 저지른 과오를 깨닫는 주인공의 모습을 독특한 블랙 코미디 형식으로 보여 준다. 작가 데이비드 홀리웰은 영국왕립연극학교에서 공부한 뒤 1962년부터 연극 무대에서 연기, 연출을 겸하며 작품을 쓰기 시작해 29세에 쓴 <리틀 말콤>으로 연극사에 길이 남을 극작가가 되었다.

 



생태문명을위한교육원리_앞표지_10160_20240709
남미자 · 이윤영 · 이희진 · 정용주 지음, 2024년 12월 31일, 161쪽, , , 128*188

근대 석유 문명, ‘성장’ 중심 근대 교육 패러다임, ‘인간’ 중심 근대 환경 교육의 한계에서 탈주하기 위한 일곱 가지 교육 원리를 제시한다. 이 교육 원리를 실제 교육 현장에서 실천한 사례를 들여다봄으로써 전환의 전제와 조건이 무엇인지 드러낸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