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AI와HR_표지_36046_202411123
김창일 지음, 2024년 11월 29일, 91쪽, , 128*188mm

AI 기술이 HR 업무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채용, 평가, 보상 등 HR 전반에서의 변화를 탐구한다. HR 담당자들이 AI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실질적 전략과 윤리적, 법적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조직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적인 접근을 제시한다.


 


도시의미래와AI_앞표지_36027_20241104
이희정 지음, 2024년 11월 29일, 103쪽, , 128*188mm

4차 산업 혁명과 도시 문제 해결 과정에서 인공지능의 역할을 탐구한다. 스마트 시티와 AI 시티의 융합을 통해 기후 변화, 교통, 경제 등 복잡한 문제를 혁신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시민의 삶에 실질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해결책을 제공한다.


 


AI와광고트렌드_앞표지_36042_20241114
이윤우 지음, 2024년 11월 28일, 125쪽, , 128*188mm

AI 기술이 광고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다. 생성형 AI와 프로그래매틱 광고의 결합, 데이터 관리, 윤리적 문제를 중심으로 광고의 효율성과 신뢰성 향상 방안을 제시한다. AI와 인간의 협업을 통한 광고 산업의 미래와 발전 방향을 논의한다.


 


AI시대의창작_앞표지_36061_20241114
전영범 지음, 2024년 11월 26일, 123쪽, , 128*188mm

인공지능이 인간의 창의성을 확장하는 방식을 탐구한다. AI가 예술, 글쓰기, 음악 등 창작 산업에 미친 영향을 다루며, 기술의 발전이 창작의 미래를 어떻게 만들지 성찰한다.


 


AI와음악_앞표지_36051_20241114
박재록 지음, 2024년 11월 25일, 111쪽, , 128*188mm

인공지능 기술이 음악 창작과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AI는 작곡, 음성 합성, 믹싱, 마스터링, 음악 추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고 있다. AI와 음악의 만남이 창작과 감상의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살펴본다.


 


인공지능과고전읽기_앞표지_36055_20241114
강우규 지음, 2024년 11월 22일, 144쪽, , 128*188mm

AI 기술이 고전소설 연구와 교육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탐구한다. 디지털 분석, 딥러닝, 생성형 AI를 활용한 고전소설의 새로운 연구 방법과 교육 방안을 소개하며 AI가 고전소설을 향유할 수 있는 미래의 모델을 제시한다.


 


유몽영_앞표지L_21692
장조 (張潮) 지음, 백승도 옮김, 2024년 11월 20일, 302쪽, , , , 128*188mm

근현대 중국 문학가 린위탕(林語堂, 임어당)이 탁월한 표현 기법과 미학 의식을 극찬해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청나라 문인 장조의 소품 문집이다. 시, 격언, 산문 등 다양한 형식으로 삶의 정취를 총 219칙으로 엮어 담아냈다. 사소한 일상이나 사물을 소재로 담박하게 써 내려간 짧은 글에는 위트와 해학이 넘친다. 틈틈이 한 편씩 들춰 보고 음미하면 짧은 글 가운데 인생의 핵심을 발견할 수 있다. 옮긴이 백승도는 임의로 글을 나누거나 덧붙이지 않고 원서에 충실하게 옮기되, 원문의 문학성을 최대한 살렸으며, 글에 언급된 각종 전고를 자세히 주석으로 달아 독자들이 글의 깊이를 음미할 수 있도록 했다.



옥중금낭_앞표지L_24078
미상 지음, 서유경 옮김, 2024.11.15, 222쪽, , , , , , 사륙판(128*188)

과거를 보러 서울에 올라온 장한응은 아이들의 장난으로 곤경에 처한 맹인 점쟁이를 구해 준다. 점쟁이는 그 사례로 점을 쳐 주는데, 세 가지 액운을 예언한다. 불에 타 죽을 운수와 물에 빠져 죽을 운수, 옥에 갇혀 죽을 운수가 그것이다. 《옥중금낭》은 장한응에게 닥쳐오는 세 가지 액운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 대한 긴장을 담고 있다. 중심은 신혼 첫날밤 벌어진 살인사건이다. 알리바이를 입증 못해 옥에 갇힌 장한응. 진짜 범인은 누구인가?



AI와신용평가_앞표지_36043_20241112
최성민 지음, 2024년 11월 22일, 122쪽, , 128*188mm

AI 기술이 신용 평가에 미친 영향을 다룬다. 신용 평가의 전통적 방식에서 AI 도입 이후의 변화, 데이터 활용의 확장과 정확성 향상 등을 설명한다. AI의 공정성 문제와 해석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도 제시한다. 신용 평가 모형의 진화와 미래를 전망한다.


 


동유기_앞표지L_21682
오원태 (吳元泰) 지음, 진기환 옮김, 2024년 11월 20일, 411쪽, , , , 128*188mm

중국 민간에서 가장 유명한 팔선(八仙)에 대한 이야기다. 《서유기》 유행에 힘입어 탄생한 “사유기(四游記 )” 중 가장 성공한 작품이기도 하다. 이철괴를 비롯한 여덟 신선들의 수련(修鍊)과 득도(得道) 그리고 그들의 활약을 재미나게 그렸다.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며 권위에 항거하고, 선행에 보답하는 신선들의 삶을 통해 중국인들의 의식 구조와 사유(思惟) 방법 그리고 그들의 생활 감정과 중국인들이 꿈꾸는 이상 세계를 들여다볼 수 있다. 중국의 신선 사상과 도가 사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풍부하고도 자세한 주석을 추가했으며, 《삼재도회(三才圖會)》 권2 〈인물(人物)〉 편의 그림을 함께 수록해 독자들이 작품을 좀 더 생생히 맛볼 수 있도록 했다.



AI와 PR,도전과기회_앞표지_36054_20241105
박노일 지음, 2024년 11월 20일, 140쪽, , 128*188mm

AI 기술이 PR에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 공중과의 소통 방법, 고객 의사결정 과정, PR 전략의 혁신 등의 변화를 설명한다. AI 시대 PR 전문가의 역할, 윤리적 경계, 교육 방향 등을 논의하며 PR과 AI 협업의 미래를 제시한다.


 


AI데이터분석_앞표지_36058_20241107
구자룡 지음, 2024년 11월 20일, 152쪽, , 128*188mm

AI로 누구나 쉽게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도록 소개한다. AI의 빠른 데이터 처리, 패턴 인식, 비정형 데이터 분석의 장점을 설명한다. 챗GPT 등 다양한 AI 도구를 소개하고 데이터 품질, AI 모델의 한계, 결과 해석시 주의할 점 등을 설명한다.


 


AI시대질문의기술_앞표지_36049_20241029
김은성·이상협 지음, 2024년 11월 20일, 140쪽, , 128*188mm

질문의 역사와 AI 시대에 효과적인 질문 기술을 다룬다. 질문은 AI와의 소통에 필수적이며 질문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얻고 인간관계에서도 깊이 있는 소통을 이룰 수 있다. 질문은 호기심을 자극하고 정체성을 확인하게 하며, AI와의 관계를 발전시킬 기회를 제공한다. 질문 기술을 습득하고 새로운 관점을 얻을 수 있다.


 


요좌기행_앞표지L_24076
장석영 (張錫英) 지음, 한길로 옮김, 2024.11.8, 269쪽, , , , , , , 사륙판(128*188)

일본의 조선 침략이 노골화했을 때 수많은 민중들이 스스로 유민(流民)의 길을 택해 강을 넘기 시작했다. 영남을 대표하는 유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인 회당 장석영도 그중 한 사람이다. 그는 일제의 강제병합 이후 망명을 고려하며 중국의 단둥에서부터 선양, 하얼빈 등을 지나 러시아의 시베리아 일대까지 향했다. 《요좌기행》은 장석영의 시각에 포착된 당대 만주와 러시아 사회의 모습을 잘 담고 있는 동시에 식민지라는 야만의 시대를 살아가야 했던 구지식인들의 복잡한 내면이 잘 드러난 기행문이다. 이 시기 전통 지식인이었던 장석영의 복잡다단한 감정과 현실 극복 의지가 투영되어 있으며, 재외 한인 동포들의 처절하고 치열했던 삶을 생생히 담아냈다.



콩쥐팥쥐전_앞표지L_24077
미상 지음, 권순긍 옮김, 2024.11.8, 117쪽, , , , , , 사륙판(128*188)

오랜 시간 입에서 입으로 전해 온 콩쥐팥쥐 스토리는 1919년 출판인 박건회에 의해 정리되어 《대서두서(大鼠豆鼠)》라는 제목으로 처음 소설화됐다. 팥쥐의 사지를 찢어 죽인 후 젓갈로 담그는 등 아이들을 위한 동화에서는 볼 수 없었던 잔인한 장면을 그대로 담고 있는 오리지널 《콩쥐팥쥐전》이다. 오랜 시간 콩쥐팥쥐 이야기에 대해 연구해 온 권순긍 교수가 번역하고 해설했다. 콩쥐팥쥐 이야기의 다양한 양상을 살펴볼 수 있도록 민담과 동화 각 1편을 수록해 함께 소개한다.



피터키비_앞표지_08514
정혜윤 지음, 2024년 11월 11일, 133쪽, , 128*188mm

분석철학적 음악미학의 초석을 다진 피터 키비의 사상을 해설한다. 우리가 음악을 듣고 정서를 느끼는 주요 원인인 음악의 ‘정서표현성’, 음악의 소리 구조를 형식주의 관점에서 분석할 때의 이점 등을 설명한다. 음악을 철학적으로 사유하며 더 풍성하게 감상할 수 있는 길로 안내한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