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7


유주현작품집_표지
유주현 (柳周鉉) 지음, 이승하 엮음, 2010년 3월 15일, 247쪽, , , , 12000원, 128*188mm

신문 연재 소설가로 성공한 작가 유주현. 그러나 그의 단편 소설은 당대 사회상과 인간의 모순을 실존주의적 관점에서 충실히 드러낸다. 그의 작가 정신이 잘 드러난 문제작 중 그동안 소개되지 않은 7편의 단편을 엮었다.



오유권작품집
오유권 (吳有權) 지음, 윤송아 엮음, 2010년 3월 15일, 237쪽, , , , 12000원, 128*188mm

40여 년의 농촌 생활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농촌의 실상을 묘파하며 농민의 생생한 육성을 녹여 낸 오유권. 그의 작품은 한국 농촌 사회 현실을 측정하는 바로미터이자 한국 농민 문학의 향방을 가늠하는 시금석이다.

인티 보기 1  

엄흥섭작품집
엄흥섭 (嚴興燮) 지음, 차선일 엮음, 2010년 3월 15일, 273쪽, , , , 12000원, 128*188mm

카프 맹원으로 카프 해체 뒤에도 카프 이념을 앞세우며 문학 행보를 펼친 반주류 작가 엄흥섭. 아직 엄흥섭의 작품 세계를 만나 보지 못한 독자에게 ‘엄흥섭’이라는 잊힌 작가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그의 대표작 <흘러간 마을>, <숭어>, <과세(過歲)>, <정열기(情熱記)>, <귀환일기>를 엮었다.

인티 보기 1  

손소희작품집_표지
손소희 (孫素熙) 지음, 손보미 엮음, 2010년 3월 15일, 217쪽, , , , 12000원, 128*188mm

손소희의 작품 변화 양상을 잘 보여 주는 <리라기>, <닳아진 나사>, <창포 필 무렵>, <그날의 햇빛은>을 엮었다. 이 작품들은 각각 역사 사건을 배경으로 한 남녀 애정의 문제, 전쟁 이후 황폐해진 현실을 살아가는 인간 군상의 모습, 서정적 세계를 바탕으로 하는 인간성의 문제, 몽환적 세계 인식을 통한 죽음 또는 운명과의 대결을 그린다.



선우휘작품집_표지
선우휘 (鮮于輝) 지음, 강정구 엮음, 2010년 3월 15일, 291쪽, , , , 12000원, 128*188mm

1950년대 행동주의, 휴머니즘, 실존주의를 대표하는 작가 선우휘의 <불꽃>과 <깃발 없는 기수>를 엮었다. 공산주의를 등지고 월남해 기자로서 활동하며 사회 부조리를 현장에서 바라본 경험이 작품에 고스란히 묻어 난다.

인티 보기 1  

서기원작품집
서기원 (徐基源) 지음, 이훈 엮음, 2010년 3월 15일, 189쪽, , , , 12000원, 128*188mm

이상을 좇아 산화한 인간 군상을 그리는 서기원의 대표 단편 <암사지도>, <이 성숙한 밤의 포옹>, <박명기(薄明記)>, <상속자>, <반공일>을 엮었다. 등단작 <암사지도>에서 보듯 저자는 전후의 경험을 특징적으로 다룬다. 아무것도 할 수 없는 현실에서 등장인물들의 방황과 일탈은 결국 자멸로 이어지지만 여느 청춘소설과는 다르게 억압적 상황과 인간의 탐욕을 윤리적 선택과 결단으로 풀어 간다. 서기원의 단편을 통해서 독자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치열한 질문을 던지게 될 것이다.



박순녀작품집_표지
박순녀 (朴順女) 지음, 최강민 엮음, 2010년 3월 15일, 259쪽, , , , 12000원, 128*188mm

이 책은 1960년대에 작품 활동을 시작한 소설가 박순녀의 주옥같은 단편을 모은 책이다. 박순녀는 섬세한 여성의 정체성 자각을 바탕으로 지적인 문체를 구사하면서 당대 사회와 역사로 소설의 공간을 확대시킨 리얼리즘의 소설 세계를 보여준다.

인티 보기 1  

격정시대_표지
김학철 (金學鐵) 지음, 고명철 엮음, 2010년 3월 15일, 255쪽, , , , 12000원, 128*188mm

김학철의 문학은 한반도와 중국을 가로지르는 공간성을 확보하고 있어, 동아시아의 복잡다기한 근대적 문제들을 배타적인 민족주의적 관점이 아니라 민중의 국제적 연대를 통해 반식민주의 문학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간직하고 있다. 여기에는 무엇보다 김학철이 지속적으로 복원하고 있는 조선의용군의 항일 무장 독립 투쟁의 역사적 동력을 동아시아의 평화적 가치를 확산시키는 데 적극적으로 전화시켜야 한다는 과제가 제기된다.



김동리작품집_표지
김동리 (金東里) 지음, 정호웅 엮음, 2010년 3월 15일, 213쪽, , , , 12000원, 128*188mm

김동리 문학의 가장 두드러진 특성은 어려운 상황 속에 들었지만 끝끝내 자신을 지켜내는 강한 주체가 그 세계의 중심에 우뚝 서 있다는 점이다. 그 강한 주체는 무당, 주모, 낙백한 전향자 등 하나같이 주변부 존재로서 중심부를 장악한 지배질서 밖으로 밀려났으며 동시에 스스로 그 같은 소외를 선택한 외로운 존재다.

인티 보기 1   2  

강용준작품집_표지
강용준 (姜鎔俊) 지음, 권채린 엮음, 2010년 3월 15일, 217쪽, , , , 12000원, 128*188mm

<철조망>에서 <광인일기>에 이르기까지 인간 존재를 둘러싼 광기와 구속의 역사 속에서 개인은 과연 자유로울 수 있는가를, 강용준의 소설은 끊임없이 우리에게 질문하고 있다. 그 질문에 대해 여전히 명쾌한 해답을 제시하지 못하는 작금의 현실이야말로 강용준의 소설이 계속해서 읽히는 이유다.

인티 보기 1   2  

푸엔테오베후나
로페 데 베가 (Lope de Vega) 지음, 김선욱 옮김, 2010년 3월 15일, 140쪽, , , , , 99원, 128*188mm

정의라는 상대적인 개념을 판별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기준 중 하나는 그것이 얼마나 공동체의 질서 유지에 기여하느냐 하는 것이다. 개념 혹은 약속이란 것이 본래 공동체를 빼놓고 생각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작품은 현실적인 이해관계들의 절묘한 균형을 이뤄내는 ‘정의’를 보여준다. 당대 스페인의 정치· 경제· 문화적인 갈등 상황과 해결을 절묘하게 그려낸 로페 데 베가의 대표작이다.

인티 보기 1  

유디트_표지
프리드리히 헤벨 (Friedrich Hebbel) 지음, 윤도중 옮김, 2010년 3월 15일, 158쪽, , , , , 99원, 128*188mm

여주인공 유디트는 위기에 처한 민족과 조국을 구하기 위해 적장인 홀로페르네스에게 몸을 바치고 그를 죽인다. 표면적인 줄거리는 간단하지만 유디트의 홀로페르네스 살해 동기를 자세히 살펴보면 그리 간단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 조국을 구한다는 원래의 동기가 그대로 유지되지 않고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 변화를 주목해야 이 작품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과연 유디트를 행동하게 만든 힘은 무엇일까?

인티 보기 1  

아비드 에디팅 바이블
박상욱 지음, 2010년 3월 11일, 554쪽, , , , 38000원, 220*265mm

전문가용 디지털 영상 편집 시스템인 아비드 미디어 컴포저. 국내 최초 미디어 컴포저 유저이자 전문 교육 강사인 저자가 초보자도 쉽게 배울 수 있도록 미디어 컴포저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현업에서 다진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영상 편집에 관한 노하우도 제공한다. 차근차근 예시를 따라 하다 보면 어느새 미디어 컴포저를 마스터할 것이다.



헬스 커뮤니케이션
테레사 톰슨 · 얼리샤 도르시 · 캐서린 밀러 · 롯산 패롯 (Teresa L. Thompson · Alicia M. Dorsey · Katherine I. Miller · Roxanne Parrott) 지음, 이병관 · 백혜진 옮김, 2010년 3월 10일, 534쪽, , , , 99원, 153*224mm

이 책은 헬스 커뮤니케이션이 어떤 학문인지 설명하는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커뮤니케이션학·의학·공중보건학자, 정부·기업 출신 연구자들이 지금까지 수행된 헬스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연구와 이론, 방법론을 고찰하고, 앞으로 이루어질 연구를 전망한다. 헬스 커뮤니케이션을 공부하는 이들, 연구와 실무와의 연결점을 모색하는 이들에게 탁월한 지침서다.

인티 보기 1   2  

뉴스 크리틱, 100편의 진단서
김재동 지음, 2010년 3월 10일, 283쪽, , , , 18000원, 153*224mm

왜 인터뷰한 인물의 목선이 잘려 보였을까? 왜 산나물을 캐는 현장에서 기자는 신사복을 선택했을까? 왜 헤드라인 뉴스 화면의 무게중심이 아래로 쏠려 보였을까? 허점이 드러나는 영상 취재와 미숙한 영상 표현을 실무적 차원에서 비평해 원인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한다.

인티 보기 1  

Çѱ¹±ºÀÇ Æò»ý±³À° Ç¥Áö.indd
박효선 지음, 2010년 3월 10일, 344쪽, , , 99원, 153*224mm, 2010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그동안 군 내에서 직접 인적자원개발계획을 기획하고 추진한 저자가 수많은 국방부 자료와 관련 인물들에 대한 인터뷰를 바탕으로 1945년 건군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군 평생교육 정책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시기별로 분석한 박사학위논문을 책으로 내놓았다. 평생교육 영역에서 제대로 연구된 적 없는 한국군 평생교육 정책사를 체계적으로 연구한 첫 연구물로 평가된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