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26


김주완 지음, 2007년 11월 30일, 285쪽, , , , 99원, 153*224mm

20여 년간 지역신문기자로 살아온 기자의 고민과 삶을 담은 책이다. 촌지, 살롱이 되어버린 기자실, 왜곡보도로 일그러진 한국 기자사회를 솔직하게 그렸다. 신문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에서 고군분투하는 그의 일상과 그 일상 속에 감춰진 한국지역사회의 풍경을 만난다.

인티 보기 1  

린 스미스 (Lyn Smith) 지음, 신호창 옮김, 2007년 11월 30일, 320쪽, , , , 18000원, 153*224mm

회사 내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원들 간에 업무 향상을 위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법과 전략을 제시한 책. 특히, 기업 내에서 각 직책에 맞춘 업무전달 및 업무성과 평가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실질적 업무 증진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인티 보기 1  

x9788956710648.jpg
조기숙 지음, 2007년 11월 30일, 276쪽, , , 99원, 153*224mm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우리나라의 교육제도에 대해 좋은 정책이 없어서가 아니라, 좋은 정책이 현장에서 제대로 실행되지 못한 것이 문제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는 책. 미국교육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지은이는 우리나라 입시와 대학교육의 실체를 밝힘과 동시에 우리 교육의 발전적이고 실현 가능한 대안들을 내놓고 있다.



이현우·강두필·구승회·김병희·김선남·김철호·안주아·오창우·윤태일·이재록·이화자·이희복·전영우·조창연·차유철 지음, 2007년 11월 26일, 343쪽, , , , 99원, 188*258mm

문학, 음악, 미술, 영화 등의 문화예술 콘텐츠에 비해 논의가 빈약했던 광고 분야에서, 방송광고 장르 이론을 정립과 기초 자료와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 책. 콘텐츠로서 방송광고 장르에 따른 체계적인 창작 기법과 크리에이티브에 필요한 전략적인 방법을 기술했다.

광고를 담은 매체인 방송에서 장르 연구의 외연을 찾았으며, 그 콘텐츠를 광고 부분까지 넓혔다는 점이 주목할 만 하며. 방송광고의 맥락에서 장르에 대한 진지하고도 본격적인 탐색과 논의를 통해, 미디어 텍스트의 생산자와 수용자를 소통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닦고 있다.



송낙원 지음, 2007년 11월 23일, 218쪽, , , , 99원, 153*224mm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초에 이르는 현대 미국 영화산업의 구조와 경영전략을 분석한 책. 그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된다. ‘파이낸싱 시스템의 변화’, ‘멀티플렉스 극장의 증가’, ‘윈도의 확장’이 그것이다. 또한 이러한 할리우드 영화산업의 구조 변화가 한국 영화산업과 비교해 어떤 유사점과 상이점을 보이는가를 고찰하고, 한국 영화산업의 현재를 진단하며 미래의 발전에 필요한 조언을 정리했다.

인티 보기 1  

Jinbong Choi 지음, 2007년 11월 23일, 260쪽, , , , 99원, 153*224mm

Media, Culture and Korea is a concise and insightful textbook covering news media, advertising, film, popular culture and communication culture in South Korea. Media, Culture and Korea also explores how, and to what extent, international news media actually affect to frame the national images of two Koreas. Further this text contains updated and expended coverage of research findings and a review of changing trends in media use of South Korean people including online newspaper, melodrama film, cable TV, and cellular phone, as well as news media. This text is ideal for use in a wide rage of higher-education courses and will be of equal value to anyone interested in global news coverag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nd Asian media and popular culture.



장소원·신선경·이홍식·신선경 지음, 2007년 11월 20일, 156쪽, , , , 12000원, 153*224mm

방송언어를 명실상부한 표준어로 갈고 닦기 위해, 더할 것도 덜할 것도 없이 꼭 알아야 할 핵심만 정리한 책. MBC와 국립국어원이 공식 추천하는 방송 글쓰기 가이드북으로서 방송의 보도, 프로그램, 자막 글쓰기를 바르고 정확하게 쓰기 위한 실전 노하우를 담았다.



전북도민일보 편집부 지음, 2007년 11월 20일, 136쪽, , , , 28000원, 188*258mm

전북도민일보 편집에 사용되는 기본 원칙, 제목, 레이아웃, 사진, 그래픽, 표기준칙 등을 정리한 편집 스타일북. 제목 표현의 기본 및 작성의 원칙, 레이아웃, 그리드 시스템, 기사요소별 처리방법 등 신문 편집에 필요한 내용들을 실제 편집 그림을 통해 쉽게 익힐 수 있게 하였다.



구종상·이준호·유승관 지음, 2007년 11월 15일, 240쪽, , , , 99원, 153*224mm

시민참여방송 이론을 바탕으로 국내외 퍼블릭 액세스 방송의 설립과 운영 실태를 현장 조사를 통해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실제 시민참여방송의 설립과 운영계획에 대한 실질적인 방안을 중심으로 접근하여, 이론적 기반 위에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시민방송을 설립할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제안한다.

인티 보기 1  

신인섭·김병희 지음, 2007년 11월 15일, 464쪽, , , , 99원, 153*224mm

대표적인 광고학자 신인섭과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출신의 젊은 학자 김병희가 의기투합했다. 한국 광고 120주년을 맞아, 불모지로 남아 있던 한국 근대 광고의 역사를 광고 걸작 100개를 선정하여 정리한 것.

신인섭은 실증주의적 접근 방법으로 자료의 고증과 역사적 사실에 충실을 기하여 한국 광고사로서 신뢰성을 높였고, 광고 창의성과 문화에 관심이 많은 김병희는 해석주의적 접근 방법으로 개별 광고물의 표현 양식과 문화적 의의를 설명하는 데 치중하여 내용적 깊이를 더했다.

인티 보기 1  

안드레아스 쉼헨 외 (Andreas Schuumlmchen) 지음, 한태학 옮김, 2007년 11월 15일, 134쪽, , , , 99원, 153*224mm

우리나라와 유사한 이원 방송 시스템을 지향하고 있는 독일의 방송실무 전문가들이 방송사의 기업비밀에 속한다고 하는 방송프로그램의 기획과 편성에 관한 노하우를 공개했다. 특히 독일의 대표적 공영방송사인 ARD와 ZDF, 그리고 상업방송 SAT.1와 RTL 및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Pro 7 등 상업방송과 공영방송 양측의 사례와 전략을 모두 대변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치열한 방송시장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고자 하는 방송 실무자들과 실무 중심적 관점에서 방송프로그램 기획과 편성을 연구하고자 하는 연구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박장순 지음, 2007년 11월 12일, 238쪽, , , , 99원, 153*224mm

문화콘텐츠 수출·수입 데이터에서 위기의 실체를 확인하고 드라마투르기와 유통 이데올로기적 관점에서 이를 분석한 책. 총2부 10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롤랑바르트와 레비스트로스의 신화론을 기초로, 한류가 끝나지 않는 문화 신화가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주디스 윌리암슨 (Judith Williamson) 지음, 박정순 옮김, 2007년 11월 11일, 386쪽, , , , 99원, 153*224mm

광고는 상품과 우리가 교환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그 속으로 우리를 끌어들인 다음, 우리 스스로 상품이 되도록 만든다. 이 책은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 수 있는지 그 의미교환 방식을 구조주의적 분석틀을 통해 보여주고, 이것이 어떻게 우리의 사전지식과 연계되어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수행하는지 말하고 있다.

총8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10여 건이 넘는 광고의 세밀한 사례 분석을 통해 상품을 기호로 변환시키는 다양한 광고기법을 보여주며,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광고의 의미작용 방식과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적확하게 보여준다.

인티 보기 1   2  

조앤 쉐프 번스타인 (Joanne Scheff Bernstein) 지음, 임연철 외 옮김, 2007년 11월 10일, 331쪽, , , , 28000원, 153*224mm

마케팅의 새로운 이론과 과정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책. 변화하는 환경과 소비자 가치에 직면한 예술경영자와 공연 마케팅 담당자 스스로 통찰력을 개발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예술기관이 현재는 물론 미래에도 존속하고 번영하기 위한 노하우를 제공하고 있다.

인티 보기 1  

이화자 지음, 2007년 11월 6일, 234쪽, , , , 99원, 153*224mm

광고는 인간의 욕망을 자극하여 상품판매를 시도하지만, 반대로 공익광고처럼 이러한 욕망을 절제하기도 한다. 광고가 어떻게 욕망을 자극, 통제하고 인간에게 만족을 주는가. 이 책은 국내외 저명한 광고 100여 편을 통해 육체, 건강, 섹스, 미(beauty), 나이, 권력, 일과 놀이 등의 카테고리로 나눠 인간의 욕망과 광고 간 상호 영향력의 메커니즘을 살펴보고 있다.

인티 보기 1   2  

해럴드 A. 이니스 (Harold A. Innis) 지음, 김문정 옮김, 2007년 11월 5일, 329쪽, , , , 99원, 153*224mm

‘어떻게 미디어가 인간의 의식과 사회에 영향을 미쳤는가’ 하는 계속되는 철학적 물음에 하나의 답을 제시해줄 수 있는 의미 있는 저작. 지은이 이니스는 문자 문화 이전의 구술 전통에서부터 다양한 글쓰기와 인쇄 형태를 거쳐 20세기 중반 전자 미디어에 이르기까지 인류 문화의 발자취를 따라가고 있다.

인티 보기 1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