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23


김연수 지음, 2008년 3월 31일, 192쪽, , , , 99원, 148*224mm

중요하고 긴박했던 현장의 최전선을 지켜야 하는 사진기자로 20여년간 그 중심에 서 온 ≪문화일보≫ 사진부장 김연수가 밝히는 그의 저널리즘, 기사, 후회, 보람 그리고 꼭 밝히고 싶었던 이야기를 모았다. 저널리스트를 통해 한국의 현대사를 재조명하는 ‘한국의 저널리스트’ 시리즈 중 하나로, 현대사를 몸으로 체험한 저널리스트의 삶과 고민을 그린다.

인티 보기 1  

샤언 무어스 (Shaun Moores) 지음, 임종수·김영한 옮김, 2008년 3월 31일, 240쪽, , , , 99원, 153*224mm

우리 일상사가 미디어와 어떻게 상호 교섭하는지 그 역사성을 탐구한다. TV, 라디오, 위성TV가 가정에서 어떻게 이용되는가를 분석하고,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가 우리의 시간과 공간, 장소를 어떻게 바꾸었는지 보여준다. 역사 자료와 주요 사상가의 개념을 통해 미디어를 둘러싼 삶의 양식과 권력작용을 고찰한다.

인티 보기 1   2  

김창혁 지음, 2008년 3월 31일, 156쪽, , , , 99원, 148*224mm

‘얘기가 통하는 보수’, ‘DNA가 보수인 사람’이라고 스스로를 밝히는 ≪동아일보≫ 논설위원 김창혁이 털어놓은 그의 저널리즘, 기사, 후회, 보람 그리고 꼭 밝히고 싶었던 이야기이다. 저널리스트를 통해 한국의 현대사를 재조명하는 ‘한국의 저널리스트’ 시리즈 중 하나로, 현대사를 몸으로 체험한 저널리스트의 삶과 고민을 그린다.



x9788958870289.jpg
오카노 유키에·와타나베 스미코·하세가와 게이 지음, 서기재 옮김, 2008년 3월 28일, 395쪽, , , 23000원, 153*224mm

34명의 연구자가, 많은 연구자들의 업적을 반영하여 일본의 매매춘에 대해 역사적 계보를 밝히며 젠더 문제에 접근한다. 과연 성(性)의 의미는 무엇이며, 그것은 어떻게 발달하였고,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지에 대한 해답을 문학을 통하여 제시한다.



하이브리드컬처연구소 지음, 2008년 3월 24일, 270쪽, , , , 18000원, 153*224mm

인티 보기 1  

톰 앨스틸(Tom Altstiel)ㆍ진 그로(Jean Grow) 지음, 김병희ㆍ김유경ㆍ이귀옥ㆍ이상훈ㆍ한규훈 옮김, 2008년 3월 13일, 500쪽, , 25000원, 188*258mm

카피라이터가 되려 하거나 광고를 처음 배우는 학생, 그리고 크리에이티브 디렉터가 되려는 카피라이터를 위한 책이다. 콘셉트와 타깃을 정하여 카피를 쓰는 광고 전략과 광고 전략을 성공시킬 수 있는 디자인 표현 전략을 실었다. 각각의 단계마다 필요한 전략과 조언이 있어 각 단계에서 필요한 부분들을 모두 배우고 나면, 실제 광고를 만들 때 전체를 보면서 세세한 항목들을 체크하는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김기태 지음, 2008년 3월 12일, 250쪽, , , , 99원, 153*224mm

저작권은 마땅히 보호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악용할 소지와 저작권 보호의 본질 자체를 외면한 채 무단 이용으로 이득을 취하려는 무차별적인 상술이 난무하고 있다. 지극히 상식적인 배려에 바탕을 둔 문화적 판단이야말로 저작권 분쟁에 도입되어야 할 절대 기준이다. 시대의 요구에 맞추어 정비해야 할 것인 무엇인지 분야별로 살피고 개선해 나가는 한편, 제도권 교육에서도 올바른 저작물 이용 및 저작권 보호의 당위성을 가르치는 풍토가 조성되어야 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현행 저작권법에서 특히 문화산업 실무에서 맞닥뜨릴 수밖에 없는 현안을 중심으로 100가지 주제를 선정했다.

인티 보기 1  

곤살로 프라스카 (Gonzalo Frasca) 지음, 김겸섭 옮김, 2008년 3월 10일, 370쪽, , , , 99원, 153*224mm

비디오게임이 현실 비판적인 대안미디어가 될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또한 베르톨트 브레히트가 말하는 ‘배움의 재미’, ‘깨달음의 재미’를 비디오게임의 ‘재미’에 적용한다. 1부에서는 비디오게임에 대해 설명한다. 2부에서는 서사론과 게임론에 대해 분석하고, 대안미디어로 기능하는 게임을 소개한다. 생소한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문의 용어를 정리해 부록으로 실었다.

인티 보기 1   2   3   4  

김주호 지음, 2008년 3월 10일, 362쪽, , 25000원, 188*258mm

PR는 히트 상품을 만들고, 통상 규제를 철폐시키고, 기업의 파산을 막고 국민을 애국자로 만들고, 통상 규제를 철폐시키고, 기업의 파산을 막고, 국민을 애국자로 만들고, 인권 운동의 선도자가 되기도 한다. 아무리 정책이나 상품이 좋아도 그 사실을 국민이나 소비자가 알아주지 않는다면 정책이나 상품이 성공하기 어렵다.

과거에는 광고가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각광을 받았지만 사회가 다변화되어 커뮤니케이션 구조가 복잡하고 다양한 목표 공중이 생겨나면서 PR의 중요성이 커져가고 있다. 다시 말해 광고에 비해 PR가 유용하다기보다 PR를 필요로 하는 곳, PR가 광고를 보완하는 영역이 많이 늘어났다고 할 수 있다.

인티 보기 1   2   3  

김은경·유민호·조명배 지음, 2008년 3월 7일, 122쪽, , , , 99원, 188*220mm

인티 보기 1  

안병찬_앞표지
안병찬 지음, 2008년 3월 6일, 190쪽, , , , 99원, 153*224mm

한국의 저널리스트가 자신의 지난날을 돌아보고 스스로를 말한다. 현장기록에 몸을 바치는 르포르타주 저널리스트를 꿈꾸며 평생 리얼리즘을 추구해온 행동주의 휴머니스트 안병찬. 그가 털어놓은 나의 저널리즘, 나의 기사, 후회, 보람 그리고 꼭 밝히고 싶었던 이야기… 저널리스트를 통해 한국의 현대사를 재조명하는 ‘한국의 저널리스트’ 시리즈 중 하나로, 현대사를 몸으로 체험한 저널리스트의 삶과 고민이 생생하게 그려진다.



고승철 지음, 2008년 3월 6일, 170쪽, , , , 99원, 153*224mm

경영학을 전공한 경제기자로 ‘삶과 재화’의 상관관계를 깊이있게 파헤쳐온 ≪동아일보≫ 전문기자가 그의 저널리즘, 기사, 후회, 보람과 꼭 밝히고 싶었던 이야기를 펼쳤다. 저널리스트를 통해 한국의 현대사를 재조명하는 ‘한국의 저널리스트’ 시리즈 중 하나로, 현대사를 몸으로 체험한 저널리스트의 삶과 고민을 그린다.

인티 보기 1  

이수연 지음, 2008년 2월 29일, 204쪽, , , , 99원, 153*224mm

한류 드라마를 통해 표출되는 아시아 여성의 욕망과 그 욕망이 구현되는 과정을 고찰했다. 일본, 중국, 대만, 홍콩, 한국의 여성 팬을 인터뷰하여 한류 드라마 수용 현실을 제시하고, <겨울연가>, <대장금> 등 대표 드라마 15편을 분석해 텍스트의 구조와 특성을 밝힌다.

인티 보기 1   2  

함성원 지음, 2008년 2월 29일, 175쪽, , , , 99원, 188*243mm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인 UCC. 이 책은 목적에 따라 어떻게 UCC를 기획, 제작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전략과 방법을 소개한다. 저자는 기존에 성공한 UCC를 통해 3S(Simple, Surprise, Smile) 전략을 발견했다. 이를 통해 아이디어 발상부터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유포까지 구체적인 노하우를 알려준다. UCC를 광고 홍보 목적으로 사용하려는 전문가나, 공모전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유용하다.

인티 보기 1  

존 미니·케이트 셔스터 (John Meany·Kate Shuster) 지음, 허경호 옮김, 2008년 2월 28일, 390쪽, , , , 23000원, 153*224mm

의회식 토론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길라잡이. 초보자나 경험 있는 토론자 모두에게 유용한 토론의 기술, 논증의 방법, 주장의 실례, 반박의 전략을 소개한다. 각 장에는 반복적인 학습과 훈련을 위한 연습 문제도 제시했다. 설득 연설, 패널 토의, 대중 토론, 공개 포럼 등 다양한 토론 형식과 말하기 방법을 실어 일상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능력도 키울 수 있다.

인티 보기 1   2  

박정배·서영일 지음, 2008년 2월 28일, 196쪽, , , , 13000원, 153*224mm

현업에서 활동한 경험과 학교현장교육, 산학협력과정에서 습득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예술경영인을 위해 광범위한 예술과 경영 분야에서 이해하고 있어야 할 내용을 골라 알기 쉽게 설명했다. 공연 기획 및 예술경영을 전공하는 학생과 경영이론의 기초가 필요한 실무진에게 권한다.

예술 마케팅, 관객 조사 및 관객 개발, 예술 경영과 e비즈니스 전략 등 경영 분야 이론을 집중적으로 서술했다. 경영과 마케팅 이론을 재구성 한 도해를 통해 쉽게 이해하고, 바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다. 학습목표와 연습문제 등 학생들이 예술경영에 대한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구성해 교재로서도 활용도가 높다.

인티 보기 1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