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1


토마스 가드 (Thomas Gad) 지음, 정연욱 옮김, 2007년 5월 5일, 269쪽, , , , 99원, 153*224mm

책의 목적은 기업이나 상품 그리고 한 개인이 가지고 있는 브랜드의 차별화 코드를 충분히 이해하고 그것을 마케팅과 기업 경영에 즉시 활용할 수 있게끔 구체적인 툴을 제시하는 것이다.

4-D 브랜딩은 브랜드의 강점과 약점을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혁신적인 네 가지 차원의 모델을 제시한다. 따라서 브랜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비즈니스 활동의 범위와 스펙을 명확하게 해준다.

인티 보기 1   2  

커뮤니케이션북스 편집부 엮음 지음, 2007년 4월 30일, 408쪽, , 22000원, 188*258mm

한국광고홍보학회에서 99년 2월부터 연 4회 발행하는 학회지 9-2호. 지하철 모니터 방송 광고 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회사 상하직원의 성 차이에 따른 리더십과 직무만족 연구, 카피라이팅에 있어 통제와 카피산출 유형에 관한 연구 등의 논문이 실려 있다.



영화인지기호학_앞
워렌 벅랜드 (Warren Buckland) 지음, 조창연 옮김, 2007년 4월 27일, 239쪽, , , , 99원, 153*224mm

‘영화인지기호학’이란 한마디로 영화를 인지학 혹은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기호학적 시각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1960년대부터 2000년대에 이르는 영화인지기호학의 연구 현황을 살피고, 미국의 인지적 영화이론의 취약점을 조명함으로써, 영화연구에서 후기이론(Post-Theory)의 등장을 예고한다.

책은 ‘인지영화이론’과 ‘현대영화이론’ 간에 전면적 대립은 생산적이지 못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본론으로 들어가 인지과학의 통찰과 언어학, 그리고 기호학을 통합하는 현대영화이론의 영역을 상세히 다룬다.

지은이는 언어분석의 전통과 인지과학 간의 상호 작용을 영화인지기호학의 작업에 유기적으로 연결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콜린(M. Colin)의 인지적 영화 의미론, 카세티(F. Casetti)와 메츠(C. Metz)의 영화 언명이론, 오딘(R. Odin)의 인지 화용론적 영화이론, 콜린과 샤토우(D. Chateau)의 인지적 영화 구문론 연구들을 촘스키(N. Chomsky)의 변형생성문법의 틀 속에서 발전시킨다.



듣기_표지_최종_0404_앞
주디 브라운넬 (Brownell, Judi) 지음, 이시훈·한주리 옮김, 2007년 4월 20일, 559쪽, , , , 99원, 170*245mm

잘 듣기 위해서는 청취, 이해, 기억, 해석, 평가, 반응 등 일련의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 점에서 출발한 이 책은 3부에 걸쳐 듣기에 대한 개론적 논의, HURIER 모델과 관련된 듣기의 원칙과 기술, 관계 형성을 위한 반응과 다양한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듣기 방법을 소개한다.

10개의 장마다 풍부한 사례분석, 기술 소개, 응용, 자기 평가, 개별 연습문제와 그룹 연습문제들을 제시하여, 학생과 교사들의 학습교재는 몰론 일반인들의 자기계발서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인티 보기 1   2   3  

김정섭기자의-산업리포트_표지_out_앞
김정섭 지음, 2007년 4월 20일, 448쪽, , , , 99원, 176*248mm

이 책은 주5일 시대를 맞아 ‘블루오션’으로 떠오른 한국의 미디어-엔터테인먼트산업의 최신 현장 정보와 이슈, 현황을 제시하며 한류산업의 오늘과 내일을 다각도로 분석, 전망하고 있는 책. 지상파방송-케이블TV-지상파DMB-통신사-신문사-영화업계가 상호작용하며 진화하고 있는 모습을 해부하고 있다.

인티 보기 1  

손창용·여현철 지음, 2007년 4월 20일, 552쪽, , , , 29000원, 176*248mm

급변하는 디지털 시대의 흐름을 적극 반영해 『한국 케이블TV 산업론』의 2차 개정판이 내왔다. 앞선 개정판이 ‘아날로그 케이블 TV 산업론’이라면 이번 2007년 개정판은 ‘디지털 케이블TV 산업론’이다.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과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에 케이블TV는 어떻게 변했고 또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정책, 규제, 사업자, 콘텐츠 환경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또한 DMB, IPTV, 방송법 개정을 비롯해 케이블TV의 공익성 등 케이블산업계의 핫이슈도 함께 정리하고 있다. 이번 개판에서는 독자의 편의를 위해 책의 판형과 디자인을 대폭 개선했으며 200여 개의 표와 그림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김미현 엮음, 2007년 4월 16일, 477쪽, , , , 65000원, 153*224mm

Korean cinema is already more than a century old. As with the film histories of other countries, Korean film history has always been closely linked to the formation of modern society. Thus, Korean film history must be part of the same social and historical foundation that modern society is based on. In Korea, films were only an exotic spectacle when first introduced. Then, when Korean filmmakers had just started making films, they had to go through severe censorship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various military governments. It has not been an easy journey for Korean cinema to grow into a world-renowned success story.
It had to survive many external and internal threats and moments of crisis. It is natural that many people are eager to know how the domestic film market share soared from a mere 15.9 per cent in 1993 to 60per cent in 2004, the box-office quadrupled over one decade, and such diverse films are made. The key to success has been creativity and powerful content, supported by the greatest accomplishment of the Korean film industry: the abolition of restrictions and censorship. There is also the common experience of national division and the history of dictatorship. Some foreign film professionals ask me what policy was required to achieve Korea’s success. I always give them the same answer: if there is any restriction, abolishing it is a prerequisite, as freedom of expression is more effective than any other support. The history of the Korean cinema itself proves this.



정재왈·김종헌·박지선·오진이·우연·윤보미·이건수·이규석·정명주 지음, 2007년 4월 15일, 176쪽, , , , 13000원, 153*224mm

해외문화예술을 들여오거나 우리 것을 해외 시장에 소개할 때 알아야 할 사항들을 소개한 책이다. 성공적인 국제문화예술 교류를 위한 분야별 전문가들의 실전 노하우를 담았다. 재원마련을 위한 국제정보 찾기, 시장조사, 기획 전략 및 교섭, 계약, 장르별 창구들, 아트마켓(Arts Market) 등과 관련한 실무에 관해 상세히 다룬다.

본문은 크게 ‘교류실무’와 ‘교류창구’, 두 분야로 나누어 구성했다. 교류실무는 연극, 무용 등의 비영리예술과 상업예술을 포괄한다. 다른 분야와 달리 음악(클래식)은 외국 것을 들여오는 수용 측면을 강조했다. 교류창구는 공연예술과 시각예술로 다시 세분화된다. 재원마련을 위한 국제정보 찾기, 시장조사, 기획 전략 및 교섭, 계약, 장르별 창구들, 아트마켓(Arts Market) 등이 주 내용으로 담겼다.



티모시 보셔스 (Timothy A. Borchers) 지음, 이희복·차유철·안주아·신명희 옮김, 2007년 4월 15일, 495쪽, , , , 99원, 176*248mm, 2008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수사학의 이론과 실제를 통해 사람과 사회,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입문자들에게 이론적 통찰을 제공해 주는 수사학 입문서. 읽는 이들로 하여금 효과적인 커뮤니케이터가 어떻게 될 수 있는지를 습득케 하는 것은 물론,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수사학의 효과와 함의에 대해 평가할 수 있도록 씌여졌다.

인티 보기 1   2   3  

김창룡 지음, 2007년 4월 6일, 222쪽, , , , 15000원, 153*224mm

온라인 매체 시대에 기자가 갖춰야 할 소양과 취재요령, 기사작성법 등을 풍부한 최신 사례 중심으로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 시대에 걸맞는 인터넷형 기사 작성법과 언론법제 상식 및 실제 판례는 예비 언론인뿐 아니라 현직에 종사하는 언론인들에게까지 유용한 지식이 될 것이다.



x9788956710600.jpg
페르베즈 K. 아미드, 모하메드 라피크 (Pervaiz K. Ahmed, Mohammed Rafiq) 지음, IMC연구회 옮김, 2007년 04월 03일, 402쪽, , , 99원, 153*224mm

인티 보기 1  

백선기 지음, 2007년 4월 1일, 258쪽, , , , 25000원, 153*224mm

이 책은 미디어 보도에 대한 보도 태도와 그의 근저에 있는 이데올로기를 밝혀낸다. 프랑스의 롤랑 바르트라는 기호학자가 프랑스 사회의 여러 부문들과 장르들에서 숨은 이데올로기를 찾아내는 데 평생을 헌신했듯이, 저자 백선기 교수는 한국 사회에서의 언론보도들이 지니고 있는 보도 경향과 패턴들을 밝혀내고자 했다, 이 책은 그러한 패턴 속에 내재되어 있는 숨은 의미와 이데올로기를 찾아내는 데 주력하고 있다.



린다 리 케이드 (Lynda Lee Kaid) 엮음, 송종길·이호영 옮김, 2007년 3월 30일, 710쪽, , , , 35000원, 188*258mm

이 책은 현재의 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구와 이론에서 가장 중요하고 의미 있는 핵심들을 정리하고 있는 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바이블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정치학 분야의 학자와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지침서다. 본문은 커뮤니케이션, 정치학, 저널리즘, 마케팅 등의 연구 성과뿐만 아니라 이론과 방법론,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와 연구 대상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배경부터, 역사, 구조 등 기본 지식을 소개한 다음, 정치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 여론과 수용자,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변화와 인터넷의 역할 등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정재왈·김선화·김준기·송한샘·오진이·윤동진·이순녀 지음, 2007년 3월 23일, 176쪽, , , , 13000원, 153*224mm

문화예술 홍보를 처음 접하는 실무자들을 위한 업무 매뉴얼. 기획자, 기자, 홍보담당자 등 총 일곱 명의 각 분야 전문가들이 자신의 경험에서 얻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쓴 책이다. 홍보부서와 담당자의 역할에서부터 홍보 전략, 예산 구성, 평가에 이르기까지 실제 언론홍보를 담당하는 데 필요한 업무 내용이 상세히 소개돼 있다.

어떻게 하면 언론과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을까, 언론 매커니즘을 어떻게 이해할까, 구체적인 홍보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 등, 다양하고 폭넓은 여러 사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해, 홍보 입문자들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전문가들이 모여 집필한 만큼 그 내용이 충실하고 실용적이다. 서울 소재 공연장 안내 지도, 옥외광고 총정리, 홍보비 편성의 실제, 프레스투어 공식일정, 언론매체 리스트 등이 담긴 부록도 유용하다.



더그 뉴섬·주디 밴슬라이크 터크·딘 크럭크버그 (Doug Newsom·Judy Vanslyke Turk·Dean Kruckeberg) 지음, 박현순 옮김, 2007년 3월 23일, 636쪽, , , , 99원, 176*248mm

이론적 관점에서 PR전략과 전술을 설명하고 활용방안을 설명한다. 또한 최근 업계 동향과 국제적 관점의 변화에 관한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고 있는 책. PR의 기본 개념과 전 과정을 논리적으로 엮었으며, 최신 PR사례를 제시하고 그 윤리적, 이론적 의미를 논한다.

크게 2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드시 알아야만 하는 것과 알아 두면 유용한 내용을 실무 관점에서의 PR(PR in Practice), 이론과 리서치 관점(Theory and Research Perspective), 국제적 관점(Global Perspective), 그리고 윤리적 관점(Ethical Perspective)으로 구분하여 눈에 띄게 편집했다. 또한 학습 목표와 핵심 요약, 토론 주제 등을 제시하여 학습효과를 높였다.

인티 보기 1  

8984997153-1.jpg
이명자 지음, 2007년 3월 23일, 270쪽, , , , 18000원, 153*224mm

1945년 이후 북한에서 전개된 영화사를 시대와 작품, 영화사적 사건별로 정리한 책. 북한영화사와 사회를 이해하려는 학생과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각 시기별 주요 사건과 영화적으로 기억될 만한 작품 중심으로 구성했다.

기존에 출간되었던 북한영화 관련 책들이 문예정책에 초점을 맞춘 것과 달리, 북한의 문예정책과 사회문화사, 그리고 영화사를 복합적인 시각으로 그리고자 했다. 객관적인 통계 자료는 부록의 영화 및 영화사의 주요 사건 연보에 담아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상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했다.

인티 보기 1   2   3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