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0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지음, 2007년 5월 28일, 361쪽, , 25000원, 148*224mm



1130432386-1.jpg
안토니 R. 프랫카니스·엘리엇 아론슨 (Anthony Patkanis·Elliot Aronson) 지음, 윤선길·정이현·최환진·문철수 옮김, 2007년 5월 28일, 332쪽, , , , 99원, 153*224mm

내 뜻은 그게 아닌데, 이성적으로 생각하면 해서는 안 될 일을 어느새 나는 또 저지르고 말았을까? 어떻게 사람들은 그들이 원하는 것을 기꺼이 하도록 만드는가? 저자는 자신도 모르게 일상적으로 매일 사용되고 또 남용되고 있는 설득에 관하여 수없이 많은 가설들을 세우고 수천 가지 실험을 실시했다. 그리고 메시지의 설득력이 어디에서 오는지, 어떻게 다른 사람들을 조종하고 순종시키는지 밝히고 있다.

인티 보기 1  

미디어경제와문화_5-2
SBS 엮음, 2007년 5월 25일, 224쪽, , , 15000원, 151*224mm

인티 보기 1  

여보내말에상처받았어
상생화용연구소 엮음, 2007년 5월 21일, 266쪽, , , , 99원, 153*224mm

말 때문에 상처받고 말때문에 싸우다가 언제부터인가 서로에게 이야기하기를 멈춘 부부, 지극히 평범한 대화조차 나누지 못하는 ‘마음다공증’ 부부들에게 진정어린 말하기 방법을 알려주는 책.

자녀문제, 경제문제, 고부간 갈등 등 생생한 현장 사례를 통해 우리만의 독특한 문화속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식 부부 대화법의 문제와 대응법을 알려준다. 당신은 평생의 반려자에게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 자가진단 테스트를 통해 서로가 어떤 배우자인지 진단해보고 부부만의 소통방식을 찾아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인티 보기 1   2  

¥ì©£AoA¨¢¨¬n¥ì©£¢¯A¡ío¨¬¢¬A¢´_C¡ÍAo.ai
스티브 헐피시·제이미 파울러 (Steve Hullfish·Jaime Fowler) 지음, 김준철 옮김, 2007년 5월 21일, 260쪽, , , , 38000원, 188*258mm

색을 어디에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작품의 전달력도 달라진다. 이 책은 현장에서 색 보정 전문가로 활동한 지은이들이 쓴 ‘색 보정 실용 입문서’ 다. 전문가들 인터뷰, 실전 문제, 비디오와 영화 산업 현장에서 전해주는 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색 보정이라는 새로운 영역에 쉽고 재미있게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세계는이광고에놀랐다_앞 (1)
유영실 지음, 2007년 5월 21일, 304쪽, , , , 99원, 153*200mm

칸, 클리오, 뉴욕, 아태 광고제 등에서 소위 ‘상 받는’ 크리에이티브들은 무엇이 다를까. 지은이는 ‘품질이 입증된’ 국제 광고제의 수상 작품들을 카테고리별로 묶어 우수 크리에이티브의 15가지 공통점을 뽑아냈다. 우리의 광고를 세계화하고자 하는 예비·현직 광고인에게 유용한 참고자료이다.

인티 보기 1   2  

방송기획제작기초_앞
설진아 지음, 2007년 5월 17일, 351쪽, , , , 22000원, 188*258mm

방송통신 융합시대가 되어도 기획과 제작은 여전히 영상물 창조산업의 핵심이다. 경쟁력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텔레비전 영상미학과 제작 단계를 섭렵하고 있어야 한다. 이 책은 방송 기획 제작의 기초를 다져주고 현장에서 필요한 정보를 쉽게 알려주는 핸드북이다. 텔레비전 제작을 배우려는 초보자가 꼭 알아야 할 내용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인티 보기 1   2  

문화콘텐트제작_앞
김정우 지음, 2007년 5월 15일, 227쪽, , , , 99원, 153*224mm

콘텐츠의 범주에 들어가는 다양한 장르들에 대한 개별적인 개발 방법론들은 다각도로 개발되어 왔으나 콘텐츠라는 큰 범주 내에서 그것을 개발하는 통합적인 관점의 방법론은 아직도 개발되지 못한 인상이다. 이 책에서는 콘텐츠 제작과 관련된 기초적인 사항들을 콘텐츠 산업화의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점검해 보았다.

총 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에서는 미디어와 콘텐츠의 관계에 대해 2부에서는 라이팅이라는 기본적인 기술과 그것에 필요한 자질과 과정들을 3부에서는 콘텐츠 라이팅을 하는 주체에 관하여 4부에서는 하나의 콘텐츠가 어떻게 기획되고, 그것이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가를 설명하고 있다.

인티 보기 1  

오키 유키히로·기시 시즈에·다나카 히로시 (靑木 幸弘·岸 志津江·田中 洋) 지음, 이수범·강지연 옮김, 2007년 5월 10일, 480쪽, , , , 27000원, 153*224mm

브랜드란 소비자에 의한 상품세계의 인식 방식을 의미한다. 소비자가 어떤 상품세계를 인식하는가, 그것이 브랜드의 본질적인 의미인 것이다. 이 책은 브랜드에 관한 여러 주제 가운데서도 특히 브랜드 구축과 광고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에 관한 것을 다루고 있다.

이론편, 방법편, 사례편 3부로 나눠져 있으며, 브랜드 구축의 기본 틀이나 브랜드 구축에서의 광고커뮤니케이션의 역할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비롯해 브랜드를 구축할 때의 구체적인 조사방법과 커뮤니케이션방법의 검토, 그리고 내외의 구체적인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사례의 분석을 통해 여러 가지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인티 보기 1  

정현선 지음, 2007년 5월 10일, 320쪽, , , , 99원, 153*224mm

미디어 교육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이 역사, 사회, 문화적 과정을 통해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가를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본문은 먼저 비판적 리터러시를 위한 미디어 교육의 3가지 모델과 미디어 교육에 대한 문화 연구와 상황학습 이론의 시각을 살펴본다.

그런 다음 비판적 미디어 분석의 실제를 다양한 문제의식을 제공하며 이야기한다. 특히 미디어 교육의 다양한 접근법이 실제 교수학습 장면에서 어떻게 실현되는가를 영국의 학교와 청소년 방송국에서 이루어진 미디어 교육 사례 연구를 통해 면밀히 분석한다.



이각규 지음, 2007년 5월 10일, 305쪽, , , , 99원, 188*258mm

저자의 20여 년 풍부한 현장 경험과 이론을 바탕으로 쓰여진 이벤트 실무 지침서이다. 이벤트 프로젝트 업무의 전체 구조와 흐름을 파악하고, 다양한 사례를 통해 그 실제를 보다 생생하게 익힐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각 장 말미에 둔 핵심 포인트와 실무 체크 포인트를 통해 실무자들의 즉각적인 현장 활용을 가능케 했다.

다양한 이벤트 입문자에게는 이벤트프로젝트 업무의 전체구조와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고, 실무자들에게는 현장 업무를 진행할 때마다 필요한 내용을 참고하고 실무체크포인트로 활용하여 성공하는 이벤트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뒀다.



정인숙 지음, 2007년 5월 7일, 317쪽, , , , 99원, 176*248mm

방송정책 연구의 동향과 이론, 방법론을 한눈에 읽을 수 있는 미디어 연구의 길라잡이. 방송정책 결정구조와 정책 과정에 관한 이론 같은 초기 연구부터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신매체 도입과 경쟁에 관한 이론, 콘텐츠 공급과 이용에 관한 이론까지 미디어 정책 분야의 배경 이론을 다루었다. 해당 이론을 적용한 국내 연구를 사례로 들어 방송정책 연구의 길라잡이가 되도록 구성했다.



신정원·이영주·이동연·심광현·전규찬·임학순·홍성욱·홍성태 지음, 2007년 5월 7일, 234쪽, , , , 15000원, 153*224mm

예술의 패러다임을 새롭게 구상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를 다룬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연구소 총서> 시리즈.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예술 창작과 유통, 수용 환경 및 이와 연관된 이론, 교육, 정책적 주제들을 제시한다. 예술정책, 예술교육, 예술생산에 대한 새로운 고민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준다.

인티 보기 1  

¼¼»ó¿¡¼­°¡À彬¿îµðÁöÅнó׸¶_Ç¥Áöout [º¯È¯µÊ]
박성현 지음, 2007년 5월 7일, 88쪽, , , , 99원, 143*224mm

디지털 시네마의 핵심 원리를 통하여 동영상의 기술과 원리를 알기 쉽게 설명한 책이다. 영상 콘텐츠의 종류와 디지털 시네마 시스템, 향후 한국 영화산업의 미래에 관한 기본 개념을 사진과 함께 압축적으로 제시했다.

영상 제작이나 콘텐츠 비즈니즈 종사자들이 실무에서 자주 부딪히는 궁금증들을 푸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는 실용 핸드북이다. 영상에 관심은 있지만 영상의 디지털라이징 즉, 동영상에는 아직 익숙지 않은 많은 영상인, 그리고 영상 관련 분야에 입문하려는 예비 영상인, 그리고 오피니언 리더로서 조금 더 앞서 미래의 멀티미디어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알아보고자 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씌어졌다.



x9788956710204.jpg
캐롤린 B. 톰슨 (Carolyn B. Thompson) 지음, 김규동 옮김, 2007년 05월 07일, 237쪽, , , 99원, 153*224mm



김희진 지음, 2007년 5월 5일, 308쪽, , , , 99원, 188*258mm

도쿄 디즈니랜드, 유니버설 스튜디오를 비롯한 15개의 일본 테마파크를 분석한 책. 일본의 테마파크는 그 규모나 경제적 측면, 시장 환경이 우리와 비슷한 점이 많다. 소득 증가와 여가생활의 확대로 복합 엔터네인먼트 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요즘 일본은 훌륭한 벤치마킹 대상이 된다. 지역 문화 개발을 통한 경제 발전을 모색하는 지자체 문화 사업 실무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책.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