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5


로서와_로써가_헷갈리니_앞표지
중앙일보 어문연구소 우리말 바루기 팀 엮음, 2006년 1월 18일, 120쪽, , , , 99원, 188*100mm

제16회 한국어문대상을 수상한 <한국어가 있다> 전 3권의 내용을 그 쓰임새에 따라서 분류한 책이다. <한국어가 있다>의 내용을 보완하고 새롭게 편집하여, 작은 핸드백에도 넣을 수 있는 크기의 포켓북으로 펴냈다. ‘한국어, 그렇구나’라는 부제가 붙은 이 시리즈는, 첫 번째 책인 <로서와 로써가 헷갈리니?>를 시작으로 총 6권으로 나누어 출간될 예정이다.

2003년 3월부터 약 2년간 중앙일보에 연재되었던 ‘우리말 바루기’를 바탕으로 꾸몄다. 실생활과 관련된 우리 말과 글 가운데 잘못 알고 있거나 헷갈리기 쉬운 것을 골라 알기 쉽게 설명했으며, 관련 사진을 함께 실었다.



오카다 스스무 (岡田晉) 지음, 강상욱·이호은 옮김, 2006년 1월 15일, 192쪽, , , , 99원, 153*224mm

영상의 기본적인 개념을 정리한 개론서. 일본 큐슈예술공과대학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영상학에 관한 다수의 책을 발표한 오카다 스스무의 <영상학 서설>을 우리말로 옮겼다. 영상학에 있어 일본의 대표적인 학자인 지은이는 일생을 통해 영상에 대한 집착과 노력을 보였고, 이 책은 그러한 노력의 결과로 탄생한 대표작이다.

영상학의 의미와 대상을 정립하고, 영상과 세계 그리고 영상과 인간의 관계를 통하여 영상의 시공간적 함의를 설명했다. 또한 영상의 커뮤니케이션적 작용과 문화적 문제 등을 다루었다. ‘영상학에 관한 기본적인 개론서를 만들겠다’는, 한 실천적 학자의 사명감이 느껴지는 책이다.



요시미 순야 (吉見俊哉) 지음, 안미라 옮김, 2006년 1월 13일, 229쪽, , , , 15000원, 153*224mm

15번의 강의를 청강하는 듯한 형태로 짜여져 있다. 이 횟수는 대학 등에서 이 책을 텍스트로 사용할 경우 한 학기의 수업 일정에 대응하는 분량에 해당한다. 그리고 15회는 각각 ① 방법으로서의 미디어, ② 역사로서의 미디어, ③ 실천으로서의 미디어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방법론에서는 20세기에 이루어진 다양한 미디어의 이론적 연구의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역사편에서는 신문, 전화, 영화, 라디오, 텔레비전이라는 개별적 미디어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한다. 그리고 마지막 실천편에서는 이들의 이론적.역사적 고찰을 보다 현대적인 문제로 이어나가고 있다.

인티 보기 1  

한국언론학회 지음, 2006년 1월 7일, 545쪽, , , , 52000원, 188*258mm



김인숙 지음, 2006년 1월 5일, 160쪽, , , , 99원, 153*224mm

국내외 주요 미디어 기업 사례를 전략적 차원에서 접근해 성공과 실패 요인을 분석했다. 저자에 따르면 성공한 기업은 차별화된 전략으로 끊임없이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한다. 지식in 서비스로 네티즌을 사로잡은 네이버, 미니홈피로 붐을 일으킨 싸이월드, 독자 스스로 돈을 내게 만든 오마이뉴스 등이 그 사례다.

반면 실패한 기업은 과도한 욕심을 부렸거나 사용자의 편의를 무시했고 수익 모델에 대한 전망과 준비가 부족했다. 브랜딩에 사업의 사활을 걸었던 e-토이즈, 일방적인 유료화 정책으로 외면당한 프리챌, 유료화했지만 들을 거리가 없는 벅스뮤직, 식상한 기사로 기존 독자들마저 등 돌리는 딴지일보 등이 그 사례다.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엮음 지음, 2006년 1월 2일, 195쪽, , 20000원, 153*224mm



한국주관성연구학회 지음, 2005년 12월 31일, 207쪽, , 21000원, 153*224mm



디지털 미디어와 사회 연구 엮음 지음, 2005년 12월 31일, 255쪽, , 24000원, 153*224mm



이시앙 첸·앤소니 펑·고이치 이와부치·마이클 킨·필립 키틀리·키발 J. 쿠마·제프 리랜드·이동후·타니아 림·유리 리우·앨버트 모란·요세피나 M.C. 산토스·아모스 오웬 토마스 (Yi-Hsiang Chen·Anthony Fung·Koichi Iwabuchi·Michael Keane·Philip·Keval J. Kumar·Geoff Lealand·Dong-Hoo Lee·Tania Lim·Yu-li Liu·Albert Moran·Josefina M. C. Santos·Amos Owen Thomas) 지음, 황인성 옮김, 2005년 12월 30일, 299쪽, , , , 19000원, 153*224mm

아시아 11개 나라의 사례연구를 통해 아시아 지역에서의 프로그램 포맷 흐름 규모와 방향, 그러한 흐름이 각 지역에서 가지는 경제적이고 문화적인 의미와 중요성, 나아가 그것이 아시아 지역 전체적인 맥락에서 가지는 의미 등에 대해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뉴테크놀로지, 탈규제, 사유화, 그리고 경제침체 등의 현상들이 아시아 내 텔레비전 산업들 사이의 경쟁을 어떻게 과열시키는지, 그리고 이러한 현상의 결과로 나타나는 프로그램 포맷 모방, 복제, 각색 등의 문제가 어떻게 시작되고 발전되어왔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이기현·성숙희·윤호진·김영덕·김대호 지음, 2005년 12월 30일, 141쪽, , , , 17500원, 153*224mm

미디어 선진국에서는 새로운 융합으로 어떻게 전통적 산업과 문화의 경계를 허물고 있는지, 또 네트워크와 서비스, 콘텐츠의 융합은 수용 과정에 어떠한 변화 요인으로 작용하는지에 대한 본격 사례 분석 연구서이다.



신인섭·신기혁 지음, 2005년 12월 30일, 129쪽, , , , 99원, 153*224mm

광고매체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한국어와 영문 용어를 모아 풀이한 용어집이다. 광고를 처음 시작하거나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했다. 설명, 그림, 표 등을 곁들여 친절하게 풀어낸 용어들이 많다.



권호영 지음, 2005년 12월 30일, 141쪽, , , , 9000원, 153*224mm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매체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케이블TV와 위성방송은 이미 뉴미디어라는 말이 어울리지 않고, 인터넷도 일반화된 대중적인 매체로 자리잡았다. 이 책은 이러한 디지털 기술과 더불어 점차 다양화되는 미디어별 시장 규모, 광고 지출액, 소비자 지출액 등을 비교 분석한 연구서이다.



김영덕 지음, 2005년 12월 30일, 220쪽, , , , 15000원, 153*224mm

일본 대중문화 분야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방송 개방의 사회적 영향력을 해부하고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을 연구한 지침서. 한일방송 교류의 카테고리를 편의상 저널리즘 영역에 해당하는 보도 부문을 제외하고 프로그램 교류, 공동 제작, 방송사 교류, 특파원 교류, 자본 교류 등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였다.



하윤금 지음, 2005년 12월 30일, 117쪽, , , , 7500원, 153*224mm

방송영상 산업의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한 투자 환경 개선의 문제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민간투자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투자 방법들을 모색해 보았다. 민간투자를 저해하는 방송영상 산업의 환경을 살펴보고, 방송영상 산업의 세계 시장과 국내 시장 전망, 그리고 국내 방송영상 산업의 현황을 분석했다.



이기현·이동훈 지음, 2005년 12월 30일, 152쪽, , , , 9000원, 153*224mm

한국 사회 여러 분야에서 쟁점이 되었던 네 가지 주제, 즉 경제, 정치, 문화, 미디어 부문과 관련된 텔레비전 프로그램 내용을 분석하고 있다. 특히 경제 분야의 부동산 관련 뉴스 보도, 정치 분야의 6자 회담 관련 보도, 문화 분야의 웰빙 관련 프로그램, 미디어 분야에서 케이블 채널과 프로그램 등급제를 연계한 분석 등을 다루고 있다.



은혜정 지음, 2005년 12월 30일, 151쪽, , , , 10500원, 153*224mm

멕시코는 남미로 가기 위한 교두보이면서 동시에 남미인들에게는 미국으로 가는 관문이기도 하다. 이 책은 라틴 아메리카로의 한류 진출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타진해보는 연구이다. 시장을 정확히 알기 위해 시장 분석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였다.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