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7


8966800572-1.jpg
김종하 지음, 2012년 8월 14일, 174쪽, , , , 18000원, 153*224mm

콘텐츠 비즈니스는 꿈과 열정만으로 성공할 수 없다. 콘텐츠 산업의 구조와 글로벌 지형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가격 결정, 유통 방법, 판매 촉진, 저작권, 계약, M&A 등 콘텐츠 비즈니스와 관련된 실무 내용을 빠짐없이 소개한다. 글로벌 콘텐츠 비즈니스의 현황과 향후 전망도 제시한다. 저자의 20년 현장 경험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인티 보기 1   2   3  

초판본김민부시선_표지자켓_120803
김민부 지음, 김효은 엮음, 2012년 8월 13일, 143쪽, , , , 16000원, 128*188mm

국민 가곡 <기다리는 마음>의 작사가가 바로 김민부다. 10여 년에 걸친 짧은 시작(詩作) 기간과, 남겨진 총 61편의 작품은, 31세로 마감한 그의 짧은 생애처럼 어느덧 쉽게 세상에서 잊혀 버렸다. 작품들은 시인이 마주하는 어둡고 창백한 일상, 거기에서 일어나는 우울하고 피폐한 시인의 심상을 직·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여기서 소개하는 시들로 그가 추구했던 순수성과 정직성이 영원히 기억될 것이다.

인티 보기 1  

초판본유치환시선_표지자켓_120802
유치환 지음, 배호남 엮음, 2012년 8월 13일, 193쪽, , , , 16000원, 128*188mm

일제강점기부터 해방기와 한국전쟁을 거쳐 1960년대 후반까지, 36년이라는 비교적 긴 시력(詩歷)을 가지고 방대한 작품을 남긴 유치환의 대표작 78편을 소개한다. 형이상학적 정신주의 시와 현실 참여의 시, 그리고 연시(戀詩)의 세 줄기를 접할 수 있다. 강인한 남성적 의지와 섬세한 여성적 감성을 함께 구비한 작품들을 맛볼 수 있는 기회다.

인티 보기 1   2  

초판본전봉건시선_표지자켓_120802
전봉건 지음, 최종환 엮음, 2012년 8월 13일, 167쪽, , , , 16000원, 128*188mm

모더니즘의 감각을 시력(詩歷)의 마지막까지 고수한, 전후 모더니스트 전봉건의 대표 시 60편을 소개한다. 전봉건은 상황의 비극성을 명분을 앞세운 절규로 드러내지 않고, 언어의 데생 작업을 한다. 묘사적 상상력이 전쟁을 전유하고 시각 영상으로 펴 보이는 전봉건의 시관(詩觀)을 통해, 독특한 지성으로 그려진 한국전쟁의 상흔을 엿볼 수 있다.

인티 보기 1   2  

초판본구상시선_표지자켓_120803
구상 지음, 오태호 엮음, 2012년 8월 13일, 154쪽, , , , 16000원, 128*188mm

“퇴폐주의적이며 악마주의적이요 부르조아적이요 반역사적이요 현실도피적이며 절망적이고 반동적인 시”.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이 구상의 시집 ≪응향≫에 내린 평가다. 문학적 분단을 야기한 ≪응향≫ 필화사건 후 월남한 그는 분단과 전쟁이 남긴 폐허를 명징한 시선으로 직시한다. 그가 결국 폐허 속에서 찾아낸 것은 절망이 아니라 초월이었다. 영원한 오늘을 응시하는 말씀의 구도자 구상의 작품을 만나 본다.

인티 보기 1   2  

지역방송콘텐츠기획
이근용·김영수 지음, 2012년 8월 10일, 222쪽, , , , 99원, 153*224mm

다매체, 소셜미디어 시대다. 그럼에도 지역방송이 필요한가? 무엇으로 사람들의 시선을 붙잡고, 어떻게 만들어 팔아야 할까? 학계에서 지역방송과 전통문화를 연구한 이근용과 KNN에서 오랫동안 경험을 쌓은 김영수가 답한다. 꼴, 탈, 누룩을 조명한 다큐멘터리가 성공한 비결과 생태, 음식, 종교, 문화유산으로 콘텐츠를 기획하고 수익을 높이는 방법을 공개한다.

인티 보기 1   2  

고사전_천줄_표지자켓_120727
황보밀 (皇甫謐) 지음, 김장환 옮김, 2012년 8월 8일, 172쪽, , , , 99원, 128*188mm

‘고사(高士)’는 ‘품행이 고상한 선비’ 또는 ‘재야의 은군자’를 뜻하는 말이다. 이 책은 중국 고대 필기류 인물전기집 가운데 하나로 총 91조의 짤막한 고사로 이루어져 있다. 그 내용은 요(堯) 시대의 피의(被衣)로부터 위 말(魏末)의 초선(焦先)까지 청고(淸高)한 고사들의 언행과 일화를 수록하고 있다. 현존하는 최초의 ‘은일전집’으로 후대 중국의 은일문학(隱逸文學)을 형성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친 작품이다.

인티 보기 1  

현대세계의인간운명_표지자켓_사상_120924
니콜라이 베르댜예프 (Николай А. Бердяев) 지음, 조호연 옮김, 2012년 8월 8일, 168쪽, , , , 99원, 128*188mm

베르댜예프가 바라본 인간의 운명은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었다. 그는 현대 사회 인간이 처한 위기의 탈출 방법을 제시한다. 그것은 바로 문제의 근원인 인격을 회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길을, 인격과 공동체의 원칙을 결합하는 ‘인격주의적 사회주의’라고 부른다.

인티 보기 1  

대춘부_천줄_표지자켓_120803
박종화 (朴鐘和) 지음, 방인석 엮음, 2012년 8월 6일, 179쪽, , , , 12000원, 128*188mm

역사소설가로 많은 작품을 남긴 박종화의 대표작이다. 병자호란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배경으로, 모함, 의로운 죽음, 기회주의적 태도 등 현실에 맞선 인간의 다양한 삶의 방식을 세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박종화는 이 작품을 통해 식민지 시대 패배감에 휩싸인 우리 민족에게 민족의식의 회복과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하고자 했다.



16세기무신앙문제_천줄_표지자켓_120807
뤼시앵 페브르 (Lucien Febvre) 지음, 김응종 옮김, 2012년 8월 6일, 154쪽, , , , 99원, 128*188mm

프랑수아 라블레가 무신론자인가 하는 구체적인 ‘문제’에서부터 출발한다. 뤼시앵 페브르는 “문제를 제기한다는 것, 그것은 역사학의 시작이요 끝이다. 문제가 없으면 역사가 없다”며 ‘문제사’를 제창했다. 문제를 제기하고 증명해 나가는 과학적인 방법을 도입해 신생 사회과학과 대등한 ‘과학’의 대열에 동참하려는 의지를 볼 수 있다. 역사 방법론적으로 많은 교훈을 얻을 수 있는 책이다.

인티 보기 1  

저널리즘 생존 프레임
김사승 지음, 2012년 8월 4일, 374쪽, , , , 25000원, 153*224mm, 2013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저널리즘의 의미와 생존 방식을 대화, 생태, 전략이라는 세 가지 프레임으로 제시한다. 대화 프레임은 내부 생산 조직에, 생태 프레임은 외부 환경에, 전략 프레임은 이 둘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생존 프레임의 목적은 저널리즘을 둘러싼 환경 변화를 예측 가능한 변화로 구성하는 것이다. 프레임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조합하는가가 저널리즘 생존의 관건이다.

인티 보기 1   2   3   4   5  

초판본김소월시선_표지자켓_120727
김소월 지음, 이숭원 엮음, 2012년 8월 3일, 180쪽, , , , 99원, 128*188mm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서정시인 김소월. 우리 민족의 보편적 정서인 ‘한’을 전통적인 민요조의 리듬으로 풀어내 한국 현대시사에 일획을 그었다. 시인과 평론가 100명이 선정한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시인 중 맨 앞을 김소월이 차지한 것도 무리가 아니다. 그러나 그의 시를 앞에 두면 이러저러한 수식어도 다 빛을 잃는다. 초판본 그대로의 <진달래꽃>을 음미하다 보면 어느새 가슴 한 자락이 저릿해진다. 특별한 시어나 화려한 기교보다 강한 소월의 진정한 매력이다.

인티 보기 1   2   3  

TV뉴스이렇게취재한다
김구철 지음, 2012년 8월 2일, 402쪽, , , , 23000원, 153*224mm

최초의 뉴스 취재 가이드북이 출간 6년 만에 개정되었다. 김구철 기자는 동아방송대학에서의 취재론 강의와 KBS연수원에서의 방송보도론을 토대로 이 책을 집필했다. 직접 취재 현장을 누비며 얻은 경험을 솔직하고 담백하게 정리했다. 이번 개정판은 지상파 판도 변화, 종편의 출현, 방송 기술 발전으로 인한 취재, 제작 시스템 변화 등 달라진 방송 환경을 담았다.

인티 보기 1   2   3  

아랍위성텔레비전
마완 크레이디·조 칼릴 (Marwan M. Kraidy·Joe F. Khalil) 지음, 이효성 옮김, 2012년 8월 1일, 296쪽, , , , 99원, 153*224mm

아랍 텔레비전 산업은 470여 개의 초국적 위성 채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3억 명에 달하는 아랍어 사용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다. 저자들은 광범위하고 실증적인 현장 조사를 실시했다. 업계의 주요 인물과 인터뷰했으며 원어 자료와 데이터를 분석했다. 아랍 텔레비전의 소유, 재무, 제작, 채널, 편성, 배포, 시청자, 정치·사회·문화적 영향력 등이 생생하게 그려진다.

인티 보기 1   2   3  

텔레비전 포맷의 세계
앨버트 모란 (Albert Moran) 지음, 정윤경 옮김, 2012년 8월 1일, 412쪽, , , , 99원, 153*224mm

글로벌 프로그램을 어떻게 지역화할 것인가? 전 세계로 유통된 포맷이 각기 다른 모습으로 지역화되는 현상을 정치, 경제, 문화, 수용자 차원에서 살펴본다. 엔터테인먼트, 드라마, 시트콤, 뉴스 등 거의 모든 장르를 분석했고, 유럽, 남미, 중동, 아시아 등 전 세계를 포괄했다. 앨버트 모란은 다양한 학자들의 새로운 시각을 모아 텔레비전 포맷 연구의 백과사전을 완성했다.

인티 보기 1   2  

한국 축제와 지역문화 콘텐츠
류정아 지음, 2012년 7월 31일, 190쪽, , , , 99원, 153*224mm

무엇이 축제의 부가가치를 만들어 내는 것일까? 지역정체성이 해답이다. 류정아는 다양한 축제 사례를 분석했다. 전통과 역사부터 농특산물과 공예, 공연 예술까지 지역문화자원이 어떻게 축제 콘텐츠로 활용되는지 분석했다. 성과도 있지만 문제도 많았다. 설익은 아이디어만으로는 어떤 일도 벌일 수 없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20년의 현장 연구는 지역 활성화의 돌파구를 제시한다.

인티 보기 1   2   3   4  
툴바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