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7


디지털 영화제작 3.0
스콧 빌럽스 (Scott Billups) 지음, 손보욱 옮김, 2009년 3월 3일, 322쪽, , , , 99원, 188*258mm

전문 영화인으로서 꼭 알아야 할 디지털 영화 제작에 관한 모든 것. 단순히 디지털 촬영 기법이나 편집 장비를 소개하는 것이 아니다. 할리우드에서 감독으로 활동 중인 저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현실적인 제작 노하우를 제공한다. 질 낮은 디지털 영화에서 벗어나 디지털 미학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문화연구와 담론분석_표지
크리스 바커·다리우시 갈라신스키 (Chris Barker·Dariusz Galasinski) 지음, 백선기 옮김, 2009년 2월 28일, 310쪽, , , , 22000원, 153*224mm

세계를 이해하고 문화를 구성하는 주요 수단은 무엇일까? 문화연구는 언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문화연구는 죽은 텍스트에 침몰해 살아 있는 주체들의 발언을 분석하는 데는 실패했다. 비판적 담론분석은 말하는 인간들에 관한 연구다. 이 책은 비판적 담론분석이 문화연구를 어떻게 진전시키며, 젠더와 민족성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얼마나 향상시키는가를 상세히 고찰한다.

인티 보기 1   2  

광고PR실학연구2-1호_앞표지
이시훈 외 지음, 2009년 2월 28일, 212쪽, , 20000원, 188*258mm

≪광고PR실학연구≫는 “경전 해석 위주의 비현실적인 학문 풍토를 반성하고 경학(經學)을 넘어선 경
세학(經世學)을 꿈꾸었던 실학자들의 포부를 우리의 공부에 접맥하고자”한다. 그리하여 연구 논문이 제시하는 광고PR의 실무적 의의를 가장 중요한 평가 준거로 삼는다.

이론 그 자체만을 위한 논의의 생산을 지양하며, 현장의 체험에서 얻은 실무적인 노하우와 연구자로서 연마한 지식을 정교하게 조화시킴으로써 광고PR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또 하나의 연구 광장을 만들어가고자 한다.

인티 보기 1  

기업과 위험커뮤니케이션_표지
페터 비데만 (Peter M. Wiedemann) 지음, 송해룡 옮김, 2009년 2월 28일, 93쪽, , , , 99원, 188*258mm

기업을 위한 위험 커뮤니케이션을 폭넓게 연구한 책이다. 위험을 바라보는 상이한 관점과 평가를 제시하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전략과 사례를 설명한다. 무엇보다 사고 발생이라는 단순한 위기 상황을 넘어서 기업 전체의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현실적인 해결책을 찾는 데 초점을 두었다.

위험이 발생했을 때, 기업은 제때에 논평하고 명확히 설명해야 한다. 위험을 뒤늦게 알아채고 극복하려면 기업은 큰 손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 이 책은 위험을 바라보는 상이한 관점을 설명하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사례를 제시한다. 사고 발생이라는 단순한 위기 상황을 넘어서 기업 전체의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는 데 초점을 두었다.



문화다양성협약과 한국영화_앞표지
이동연·김성일·손상민·권선영 지음, 2009년 2월 28일, 206쪽, , , , 99원, 188*258mm

2007년 3월 18일 문화다양성협약이 발효되었다. 이 협약은 각국이 문화권을 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장치다. 문화다양성을 지키는 것은 한국영화의 생존을 위한 길이기도 하다. 문화를 자본의 논리로 해석하는 신자유주의 세계화가 문화 획일화를 진행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문화다양성협약이 발효된 배경과 진행 과정, 의의를 설명하고 한국영화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애니메이션 시나리오_표지
진 앤 라이트 (Jean Ann Wright) 지음, 한창완·이승진 옮김, 2009년 2월 27일, 467쪽, , , , 29000원, 176*248mm

발상부터 제작, 완성 후 활동까지 시나리오 작법 강좌를 한 권에 담았다. 스토리보드와 대본, 단계별 체크리스트와 연습문제도 포함하고 있어, 자신의 캐릭터를 창조하고 매체에 맞게 발전시켜 하나의 작품으로 완성하기까지 돕는다.

인티 보기 1  

8984991406-2.jpg
천성호 지음, 2009년 2월 27일, 774쪽, , , 99원, 153*224mm, 2009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개화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110년에 이르는 한국 야학운동사를 현장실천가의 입장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했던 야학을 통해 야학이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아울러 시대의 변화와 함께 앞으로 야학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도 전망해 본다.

인티 보기 1  

야학비판_표지_앞_0708
이장원 지음, 2009년 2월 25일, 176쪽, , , 15000원, 153*224mm

1980년대 팸플릿 형태의 복사물로 나와 운동권 학생들 사이에서 은밀히 돌아다니던 ‘야학비판’의 원문을 복원했다. 이 팸플릿은 ‘무림-학림’에 이어 ‘야비-전망’으로 이어지는 학생운동 논쟁에 불을 당겼다. 훼손된 원문을 복원해 그대로 살렸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저자의 각주를 일부 추가했다. 1980년대 야학운동과 학생운동의 한 단면을 볼 수 있는 자료이다.



하이퍼텍스트3.0
조지 P. 란도 (George P. Landow) 지음, 김익현 옮김, 2009년 2월 20일, 662쪽, , , , 99원, 153*224mm, 2010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자크 데리다의 ‘탈중심’과 롤랑 바르트의 ‘읽기’ 텍스트 대 ‘쓰기’ 텍스트 개념을 중심으로 하이퍼미디어에서의 현대 문학이론을 다루는 책이다. 특히 하이퍼텍스트의 테크놀로지와 형식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며 탈식민주의 관점에서 인터넷 관련 테크놀로지의 전 지구적 확산과 사회적·정치적 함의를 살펴본다.

인티 보기 1  

VOD
황부군·최성진 지음, 2009년 2월 17일, 230쪽, , , , 99원, 153*224mm

이 책은 방송통신 융합에 의해 나타난 새로운 유형인 VOD 서비스의 종류와 VOD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VOD 시스템 및 유무선 전송 네트워크에 대해 다룬다. 국내외 VOD 서비스의 현황과 전망, 국내 사업자 기반의 VOD 이용 행태를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VOD 서비스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인티 보기 1   2  

0324_명심보감
범입본 (范立本) 지음, 조기영 옮김, 2009년 2월 15일, 203쪽, , , , 12000원, 128*188mm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초학 입문용 교재로 손꼽히는 <명심보감>. 여러 판본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청주본을 완역했다. 불교 관련 내용이 거의 누락되어 있는 초략본과는 달리 완본인 청주본은 유교·불교·도교의 내용을 아우르고 있어 동양사상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1000개가 넘는 상세한 주석을 통해 다른 중국 고전과 <명심보감>의 다른 판본과의 비교를 꾀했다.

인티 보기 1  

0330_인간의_삶
레오니트 안드레예프 (Леонид Н. Андреев) 지음, 이수경 옮김, 2009년 2월 15일, 142쪽, , , , 12000원, 128*188mm

창작된 지 100년이 넘었지만 <인간의 삶>이 제기하는 인생의 본질적 문제는 오늘도 생생한 현재성을 유지하고 있다. 유려한 번역은 안드레예프의 문체까지 섬세히 전달한다. 솔직하고 진지한 담론을 심도 있게 분석한 작품 해설은 안드레예프 자신과 그 문학 세계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처음 읽으면 난센스 같고, 다시 읽으면 불쾌한 난센스 같고, 서른 번 정도 읽어야만 이 작품을 바보 천치가 아닌, 자유로운 형식의 희곡을 추구하는 인간이 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티 보기 1  

한국사회의미디어출현과수용
김영희 지음, 2009년 2월 6일, 364쪽, , , , 99원, 153*224mm, 2010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2010년 한국언론학회 희관언론상

우리나라에 신문, 잡지, 서적, 라디오, 텔레비전은 언제, 어떻게 등장했을까? 최초의 근대 신문이 등장한 개화기부터 일제 강점기와 미군 점령기를 거쳐 텔레비전이 확산된 1970년대까지 한국사회의 미디어 출현과 수용 현상을 고찰한다. 각 시기의 매체 보급 실태와 수용 양상을 살펴 미디어가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체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사회적·역사적으로 분석한다.

인티 보기 1   2  

한국광고홍보학보 11-1
한국광고홍보학회 지음, 2009년 1월 30일, 344쪽, , 22000원, 176*248mm



316동물철학_아웃
장 바티스트 드 라마르크 (Jean-Baptiste de Lamarck) 지음, 이정희 옮김, 2009년 1월 15일, 221쪽, , , , 99원, 128*188mm

다윈의 자연선택 이론과는 다른 진화론인 개체의 필요에 의해 생물이 진화한다는 획득형질 이론을 담고 있다. 또한 독립된 과학으로서 생물학의 기반을 잡고, 심리학적 토대를 정립하는 데까지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그의 이론은 용어의 해석이 애매하고, 오해의 소지가 많다는 맹점을 지니고 있지만 이를 고려하고 보면, 생명에 대해 일생을 바쳐 진지하게 탐구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던 한 사상가의 고뇌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인티 보기 1   2   3  

320조이카의_아파트_아웃
미하일 불가코프 (Михаил А. Булгаков) 지음, 정막래 옮김, 2009년 1월 15일, 194쪽, , , , , 99원, 128*188mm

20세기의 도스토옙스키라고 불리는 불가코프는 이미 장편소설 ≪거장과 마르가리타≫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그는 3막으로 구성된 이 희곡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속물적인 모습과 세태풍자를 통해 1920년대 소비에트의 시대적, 사회문화적 현상을 문학적으로 날카롭게 표현하고 있다.


툴바로 바로가기